• 제목/요약/키워드: Contrast agent mol phanto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3초

조영제 희석률에 따른 조영증강 자기공명혈관조영검사의 신호강도 평가 (Evaluation of the signal intensity of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in accordance with the dilution rate of the contrast agent)

  • 최관우;서성미;손순룡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124-5130
    • /
    • 2014
  • 조영제의 희석률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를 분석하여 조영증강 자기공명혈관조영검사 시 점도와 삼투압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신호강도를 높여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영제가 혈관에 주입되면 혈액과 희석되어 mol 농도가 변화되고, 그에 따라 신호강도의 변화를 일으킴에 착안하여 phantom을 제작하였다. phantom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실험은 2013년 11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조영제를 희석한 군(30명)과 희석하지 않은 군(30명)으로 구분하여 뇌혈관의 신호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조영제 mol 농도 변화에 따른 phantom의 신호강도는 0.0125mmol부터 급격히 증가하다 20mmol에서 최고점을 이룬 후 200mmol부터 평형을 이루었다. 임상실험에서도 조영제를 희석하여 검사한 영상의 신호강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 1000mmol 조영제 사용에 비해 500mmol로 희석하여 사용함이 최고점인 20mmol에 근접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조영제를 희석하여 사용함으로써 점도와 삼투압을 저하시키고, 영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므로 임상적용의 유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초음파 조영제의 합성 및 합성된 초음파 조영제의 특성 분석 (Synthesis of Ultrasound Contrast Agent: Characteristics and Size Distribution Analysis)

  • 이학종;윤태종;윤영일
    • Ultrasonography
    • /
    • 제32권1호
    • /
    • pp.59-65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초음파 조영제를 직접 합성하고 그 크기 및 소멸 시간 등의 특성을 분석하며, 기존의 초음파 조영제와의 영상을 비교하여 앞으로 초음파 조영제를 매개로 한 영상 유도 하 약물 및 유전자 치료제의 전달 시스템 구축의 기본을 갖추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초음파 조영제는 21마이크로 몰의 DPPC(1, 2-Dihex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_{40}H_{80}NO_8P$), 9 마이크로 몰의 콜레스테롤, 1.9 마이크로 몰의 DCP(Dihexadecylphosphate, $[CH_3(CH_2)_{15}O]_2P(O)OH$) 및 클로로포름 및 SF6 기체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약 12-24시간의 동결건조 후에 초음파 조영제는 SF6 기체와 초음파 처리(sonication) 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그 초음파 조영제의 크기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조정하였다. 합성된 초음파 조영제는 동적 광산란 측정법(dynamic light scattering measurement)을 이용하여 그 크기를 분석하였다. 한편 합성한 초음파 조영제의 소멸 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그 숫자를 합성 직후, 12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60시간, 72시간 및 84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초음파 조영제로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모형을 만들어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 조영제와 그 에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초음파 조영제는 동결건조-초음파 처리 방법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합성 할 수 있었다. 합성된 초음파 조영제는 154.2 nm의 정점 (peak)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합성 후 24시간부터는 입자의 숫자들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소노뷰와 합성된 초음파 조영제의 에코밝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소노뷰와 생리식염수 및 합성된 초음파 조영제와 생리식염수의 에코 밝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초음파 조영제를 직접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었고 그 크기 및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자기공명 Tailored-RF 경사자계반향영상법을 이용한 고양이 뇌에서의 First-Pass관찰 (First-Pass Observation using Tailored-RF Gradient Echo (TRFGE) MR Imaging in Cat Brain)

  • 문치웅;노용만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9-216
    • /
    • 1995
  • Recently, a new tailored RF gradient echo (TRFGE) sequence was reported. This technique not only enhances the magnetic susceptibility effect but also allows us to measure local changes in brain oxygenation. In this study, a phantom and cat brain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a 4.7 Tesla BIQSPEC (BRUKER) instrument with a 26 cm gradient system. We have demonstrated that the signal intensity (SI) of the TRFGE sequence vari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susceptibility contrast agent. Three capillary tub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d-DTPA (0.01, 0.05, 0.1 mMOI/l) were placed at the middle of a cylindrical water phantom. Using both TRFGE and conventional gradient echo (CGE) sequences, phantom images of the slices which contain all three tubes were obtained. For the animal experiment, cats were anesthetized and ventilated using halotane (0.5%) and a $N_2O/ O_2$ mixture (2:1), and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onitored and kept normal. For the observation of tue first pass of Gd- DTPA, imaging was started at t = 0. At t = 8 ~ 12s, 0.2 mMol/Kg Gd-DTPA was manually injected in the femoral vein. The imaging parameters were TRITE = 25/10 msec, flip angle = $30^{\circ}$, FOV = 10cm, image matrix size = $128{\times}128$ with 64 phase encodings and the image data acquisition window was 10 msec. SI-time curves were then obtained from a series of 30 images which were collected at 2 sec intervals using both CGE and TRFGE pulse sequences before, during, and following the contrast injection.

  • PDF

MRI sequence에 따른 GBCA 몰농도별 반응에 대한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GBCA Reaction by Mol Concentration Change on MRI Sequence)

  • 정현근;정현도;김호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2호
    • /
    • pp.182-19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GBCA(Gadolinium Based Contrast Agent)를 이용한 MRI 검사 시 다양한 MR 시퀀스에 따른 GBCA 몰농도별 조영증강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체 제작한 MR 팬텀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고자 하였다. MR 팬텀을 제작하기 위해 28개의 용기에 500 mmol Gadoteridol을 saline과 혼합하여 각각 500 부터 0 mmol 까지 몰농도를 서로 다르게 하였다. 제작된 MR phantom을 1.5T MRI 장비에서 물리학적 기전이 서로 다른 T1 SE, T2 FLAIR, T1 FLAIR, 3D FLASH, T1 3D SPACE, 3D SPCIR 시퀀스로 스캔하여 신호강도 변화를 측정 한 후 비교 분석 하였다. T1 Spin echo는 Total SI(Signal Intensity)가 15608.7, Max peak는 1 mmol에서 1352.6, T2 FLAIR는 Total SI가 9106.4, Max peak는 0.4 mmol에서 1721.6, T1 FLAIR에서는 Total SI가 20972.5, Max peak는 1 mmol에서 1604.9, 3D FLASH는 Total SI가 20924.0, Max peak는 40 mmol에서 1425.7, 3D SPACE 1mm는 Total SI가 6399.0, Max peak는 3 mmol에서 528.3, 3D SPACE 5mm는 Total SI가 6276.5, Max peak는 2 mmol에서 514.6, 3D SPCIR의 경우는 Total SI가 1778.8, Max peak는 0.4 mmol에서 383.8의 신호강도를 보였다. T1 SE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퀀스에서 몰농도가 높았을 때 보다는 대체적으로 일정이상 희석이 이루어진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또한 서로 다른 물리학적 기전의 다양한 MR시퀀스에서 GBCA의 조영증강 패턴 역시 모두 달랐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시퀀스에 따른 GBCA 농도별 반응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통하여 실제 임상에서의 조영증강검사에 있어서 효율적인 MR검사 프로토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