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ing Participa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4초

생태 감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학교 에너지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f Sustainable Energy Managemen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Eco-Audit)

  • 남영숙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3호
    • /
    • pp.102-11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proper plans for sustainable energy management in schools through applying school eco-audit to energy field. This study is performed by literature review and the analysis of case study. This study analyzes the energy-saving model school according to the three cores of eco-audit such as school administration system,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cological policy, an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chool administration system for energy education programs, the participation of all the school staff is very low, and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is unsatisfactory.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 program is mainly managed by teacher-oriented method not by learner-oriented one. The effect on the education of energy-saving program is a little improved in cognitive area, but is insufficient in affective area. Third, in the aspect of the ecological policy, the practical energy-saving effect in schools is unsatisfactory, and shows the difficulty of continuing application of the program. Consequently,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the energy-saving program with the eco-audit for sustainable energy management in schools. Implementation of the energy eco-audit in school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s teaching-learning method could achieve extended effect for the earth environmental conservation.

  • PDF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성폭력예방 기능성 게임 (A Study on Applying Design Thinking to Serious Game for Sexual violence prevention)

  • 정혜인;양용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19-327
    • /
    • 2017
  • 이 연구는 교사들을 위한 성폭력예방교육을 대체할 기능성 게임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게임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대상자의 분석과 새로운 교육서비스로 성폭력예방 기능성 게임의 활용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디자인씽킹의 방법론에서 고든기법과 서비스 블푸프린트 기법이 적용되었다. 대상자 분석에서 나온 결과는 기능성 게임의 목적에 부합하는 요소와 재미 및 지속적인 교육이 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또한, 성폭력예방교육과 함께 기능성게임 참여자에게 교육이수 확인도 제안되었다.

친환경 학교건축물 인증사례를 통한 실내환경 평가항목에 대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bout Assessment Items of the Eco-friendly Certified Schools' Indoor Environment through the Cases)

  • 이용환
    • KIEAE Journal
    • /
    • 제9권1호
    • /
    • pp.3-10
    • /
    • 2009
  • There are more interests and studies to change the buildings into eco-friendly spaces as the present age recognizes nature-friendly environment more and more. In response to this trend, the government reinforces regulations for the variety of the eco-friendly buildings using a certification system. The eco-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which was started only for residing since 2002, and this has been now for schools that are the spaces of the stud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since March 2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eco-friendly buildings, and to popularize and activate those as developing and making up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evaluation items, detailed standards to evaluate them more precisely by analysing eco-friendly planning features and data of the eco-friendly certificated schools. This study selected 15 eco-friendly certified schools among the schools certifi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es since 2005, and analyzed evaluation result. After the analysis, I had a thorough grasp of the point distribution of the each building, analyzed the cause of the low points or no points, and tried to find the improvements. There should be continuing adjustment and complement for the evaluation items and detailed standards, and these should be applied to models as well as certified schools. Active public relations are also needed to educate the public and elevate their participation.

PRESENT AND FUTURE DEVELOPMENTS OF PORTS IN ASIA AND THE PACIFIC

  • Ha, Dong-Woo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45
    • /
    • 2002
  • The continuing pace of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trend toward larger and faster ships is evident as shipping lines compete in seeking economies of scale in the global market and ports. become increasingly reliant on sophisticated equipment. Across the Asia and Pacific region some of the worlds most modern container ships are calling at an extensive network of mainline and feeder ports. This paper shows that during the period from 1999 to 2011, Asian container trade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more rapidly than the world average, i.e., 7.2 per cent per annum compared with the world average of 6.3 per cent. It is forecast that the total volumes of international containers handled at the ports in Asia and the Pacific will increase at an average growth rate of 7,2 per cent per annum. In order to handle the anticipated port container traffic in 2011, new container berths are required in nearly every country in the Asia and the Pacific region. This will entail very significant capital investment requirements. If countries in the UNESCAP region are to position their ports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next decade,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lement more robust strategies to address important issues including prioritisation of port development projects, promotion of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n ports, emphasis on productivity and preparation for intermodal integration and logistics growth.

  • PDF

3단계 공급사슬게임을 위한 협조적 게임이론의 적용 (Cooperative Game Theory Application for Three-Echelon Supply Chain)

  • 이동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5-24
    • /
    • 2019
  • Fair Allocation of profits or costs arising from joint participation by multiple individuals or entities with different purposes is essential for their continuing involvement and for their dissatisfaction reduction. In this research, fair allocation of the profits of forming a grand coalition in Three-Echelon Supply Chain (TESC) game that is composed of manufacturer, distributor and retailer, is studied. In particular, the solutions of the proportional method of profit, the proportional method of marginal profit, and Shapley value based on cooperative game theory are proved to be in the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the core. The proportional method of profit and the proportional method of marginal profit are often used because of their ease of application. These methods distribute total profit in proportion to profits or marginal profits of each game participant. In addition, Shapley value can be defined as the average marginal profit when one game player is added at a time. Even though the calculation of the average of all possible marginal profits is not simple, Shapley value are often used as a useful method.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he solution of the incremental method, which calculates the marginal cost of adding game players in the order of manufacturers, distributors and retailers, does not exist in the core.

온라인 공익 프로젝트와 사용자의 상호작용관계에 관한 연구: 알리페이의 앤트 프레스트를 분석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Online Public Benefit Projects and Users: Alipay's ANT FOREST Focuses on Analysis)

  • 조효룡;염택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13-521
    • /
    • 2020
  • 온라인 공익프로젝트 '앤트 프레스트'는 2016년 8월부터 운영이 시작되었고, 사막화지역에 1억 이상의 나무를 심었으며, 공익활동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온라인은 통신망이 발달하여 생성된 산물이며, 이를 바탕으로 진행된 공익 프로젝트도 전통적인 공익활동과 달리 공익사업의 투신보다 공익지원정신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온라인 공익을 지지하는 사용자와 온라인 공익진행과정의 상호작용관계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온라인 공익을 지지하는 핵심요소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고, 핵심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를 4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온라인 공익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온라인 공익의 특징을 파악한다. 둘째, 앤트 프레스트의 공익 성격에 대해 판단하고, 프로젝트 진행과정을 조사한다. 셋째, 앤트 프레스트의 이용률을 검토하고, 이용자의 속성에 대해 분류한다. 넷째,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온라인 공익프로젝트와 사용자의 상호작용관계를 연출한다. 그 결과, 온라인 공익프로젝트는 사용자, 운영자, 협조자로 인하여 공익과정을 완성하며, 사이버 공간에서 에너지 수집하는 과정과 현실의 공익행위 완성을 연결시키는 중요한 요소가 참여도이며, 참여도로 인하여 사용자가 공익 프로젝트를 지속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산림탄소사업의 이행 가능 요건에 관한 연구: 사유림 벌기령 연장형 산림경영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ditions for Facilitating Forest Carbon Project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A Forest Management Project Case with E xtended Rotation Age in Private Forests)

  • 박민영;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440-452
    • /
    • 2021
  • 본 연구는 산림탄소상쇄사업에 참여한 사유림 산주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조건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산주가 벌채 시기를 연장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늦추는 벌기령 연장형 산림탄소상쇄사업을 지속할 가능성은 산림탄소상쇄권에 대한 보상가격이 높을수록, 산림의 경제적 가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익적 가치를 더 생각하는 산주일수록, 그리고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탄소상쇄권에 대한 수용가능 보상가격(Willingness To Accept, WTA)을 다중양분형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바, 벌기령을 60년까지 연장할 경우 17,039원/tCO2이었으며, 벌기령을 100년으로 연장할 경우 23,070원/tCO2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사유림의 산림탄소상쇄사업 참여와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산림탄소상쇄사업을 통해 공편익을 제공하는 사유림 산주가 부담할 수 있는 기회비용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숲의 공익가치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제도 초기에 진입한 산주들이 WTA에 대한 수용 및 참여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에, 초기 진입 산주의 지속적 참여를 이끄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 -2차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Based on Accreditation Experience -Focused on the Second Accreditation Index of Childcare Centers-)

  • 조현옥;최인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1-324
    • /
    • 2011
  • 본 연구는 1차 평가인증지표를 토대로 평가인증을 받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인증 경험에 따라 평가인증의 운영과 제2차 평가인증 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차 평가인증에 통과한 40인 이상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 $X^2$ 검증,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 운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평가인증통과 후 사후 유지관리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에서만 나타났다. 인증경험이 없는 교사는 '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을, 인증경험이 있는 교사는 '보육교사의 의지 및 지속적 근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인증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은 보육환경 영역의 '예술활동자료', 운영관리 영역의 '보육시설의 운영방침 및 정보 안내', '원아에 대한 관리', '종사자의 근로계약', 건강과 영양 영역의 '식자재, 조리 및 배식과정의 위생적 관리', '아프거나 다친 영유아의 보호', '영유아와 종사자의 건강관리', '영유아를 위한 간식', 안전영역의 '영유아의 안전한 인계과정' 항목에서 평가인증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해 실현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평가인증 참여경험이 있는 교사가 제2차 평가인증지표의 실현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ading Movement and Newspaper in Education Activity)

  • 임성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09-231
    • /
    • 2015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의 신문 읽기 및 NIE 활동이 체계화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 지방자치단체나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독서 운동과 NIE 활동 간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 등이 실시되었으며, 참고 자료를 통해서는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개념, 문제점, 그리고 향후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습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자료 및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여섯째,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활성화 방안을 통한 지속적인 논의와 관심을 가지고 독서 운동과 연계한 프로그램이 개발 및 운영될 때 진정한 의미에서의 NIE 활동이 활성화 될 것이다.

재난안전 실무자의 스마트 재난관리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재난관리 민간참여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South Korean Disaster Officials' Readiness to Facilitate Public Participation in Disaster Management Using Smart Technologies)

  • 류현숙;김학경
    • 시큐리티연구
    • /
    • 제62호
    • /
    • pp.35-63
    • /
    • 2020
  • 최근 대형복합 재난 및 테러 등 발생으로 국가위기 및 재난관리의 중요성이 한층 증가되고 있으며, 재난 및 안전사고 강도와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정부의 재난 대응과 복구능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즉, 범사회적 재난안전 관리의 역량 강화 및 복원력 제고를 위해서는 국가 위주의 재난안전 관리가 아닌, 민간영역과·지역사회와의 협력적 체계를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최근 스마트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사례들을 볼 때, 새로운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민간의 참여확대가 현실적으로 가능해졌음을 알 수 있다. 실제 국가 재난 및 안전 관리 체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정보통신기술의 접목이 필수적이며, 특히 최근 스마트앱 사회연결망서비스(SNS) 등의 등장 및 이용 영향으로 기존 '명령과 통제' 방식의 재난 및 안전관리에도 변화가 요구되기 시작했다. 해외에서의 스마트 기술 기반 시민참여 사례로는 지난 2010년 아이티 대지진 당시 재난복구에 시민과 민간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이끈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 우샤히디(Ushahidi) 사례, 2011년 3월 일본 대지진과 지진해일 발생 시 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SNS 등을 통한 생사확인 등의 위기소통 사례, 2011년 5월 미국 조플린 토네이도 발생 시 페이스북 사이트를 통한 시민주도 실종자 찾기 및 생사확인 그리고 긴급구조와 지원 사례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2010년 부산해운대 오피스텔 화재 발생 시 시민의 동영상 촬영 및 뉴스 제공, 2012년 대풍 볼라벤 북상시 SNS를 통한 시민주도 정보 공유 및 확산,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카톡 등 SNS를 통한 생사확인 및 구조현황 공유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민간참여 확대가 재난 및 안전관리에 가져오는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민간참여에 대해 한국정부 재난안전 실무자가 느끼는 인식 및 기존 재난 및 안전관리에 스마트 민간참여를 수용할 수 있는 준비도(readiness)를 실증 조사해 분석하고자 한다. 스마트 민간참여 확대에 대비한 정부 재난관리 조직과 실무자의 준비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SMART 모델(System, Motivation, Ability, Response, Technology)을 제시한다. SMART 모델에 따라 재난안전 실무자의 법제도(System), 동기(Motivation), Ability(역량), 반응(Response), 및 기술(Technology) 등 5개 영역별 준비 수준을 측정, 분석해 향후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