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ual Problems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6초

분수의 연산과 크기 비교에서 맥락 문제와 비맥락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문제해결 방법 분석 (Analysis on the Problem-Solving Methods of Students on Contextual and Noncontextual problems of Fractional Computation and Comparing Quantities)

  • 범아영;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3호
    • /
    • pp.219-23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분수의 연산과 크기 비교에서 맥락 문제와 비맥락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와 해결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6학년 19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맥락 비맥락 문제를 각각 7문항씩 검사도구로 이용하였다. 또 이 중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수에서 맥락 문제와 비맥락 문제 사이에 성취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맥락 문제와 비맥락 문제해결 방법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비맥락 문제의 풀이에서는 분수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한 해결 방법이 대부분 나타났고, 맥락 문제의 풀이에서는 다양한 해결 방법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분수의 곱셈이나 나눗셈에서는 비례식을 이용한 풀이 및 비의 개념을 이용한 풀이, 분수에 자연수의 곱셈 나눗셈을 이용한 풀이 등 학생들의 사전 경험이나 직관에 의한 해결 방법이 나타났다.

'맥락성' 관점에서 본 수학교과서의 문제 분석 (An Analysis on Mathematics Textbook Problems Focusing on 'Contextualization')

  • 김민경;박은정;허지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25
    • /
    • 2012
  • 본 연구는 Freudental의 수학관에 근거한 RME가 표방하는 현실 속 풍부한 맥락적 상황들로 이루어진 관점으로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 및 미국(3종) 교과서에서 제시된 문제의 맥락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맥락성의 요소를 일상성, 다양성, 수학적 잠재성으로 도출하여 맥락문제를 분류하여 분류된 문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교과서는 미국 교과서에 비해, 맥락문제가 차지하는 비율 뿐 아니라, 과정별 맥락성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요소별 성향을 잘 나타내고 있는 문항을 분석, 기술함으로써 추후 교과서 개발 뿐 아니라, 문항 개발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자기적응형 소프트웨어를 위한 목표 기반의 외부상황 평가 기법 (Goal-based Evaluation of Contextual Situations for Self-adaptive Software)

  • 김재선;박수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3호
    • /
    • pp.316-334
    • /
    • 2006
  • 기존의 컴퓨팅 패러다임에서 개발자들은 잘 정의되고 고정된 실행 환경을 가정하고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그러나 실제 실행 환경은 복잡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상황들을 완벽하게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로 인해서 원하는 입력 값만을 가정하고 구현한 소프트웨어는 실행 중에 실패(failure)가 발생되기 쉽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자기적응형 소프트웨어(self-adaptive software)는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대해서 적응하여 실행 중의 실패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자기적응형 소프트웨어는 우선 적응의 필요성을 판별하기 위해서 실행 중에 외부 상황을 평가해야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외부 상황의 문제를 판별하기 위한 추상화(abstraction) 기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서 문제 자체를 판별하는 데에 한계가 발생된다. 그리고 판별 가능한 외부 상황 문제의 확장성을 지원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으로 목표(goal) 기반의 외부 상황 평가 기법을 제안한다.

An Interpretation of the Urban Folly in Gwangju, South Korea Through the Lens of Contextual Novelty

  • Lee, Min Jung;Lee, Dong-Eo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157-164
    • /
    • 2016
  • Urban regeneration, which implies a certain type of change from what has previously existed, requires fundamental understandings of previous problematic ways of thinking for a meaningful change, as well as a new philosophy that is thought to support that change. This means a change in philosophy is needed to discuss 'newness' in urban regener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plores the philosophies which shaped traditional cities as well as a philosophy that may be able to suggest changes to contemporary cities. This paper further proposes contextual novelty as necessary to pursue. This contextual novelty does not deny modern cities' problems but embraces them and carries them into contemporary cities. Arguing for qualitative novelty, this paper argues that contextualism, which explores the complex relationships of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ors of a given event, can help us to understand contemporary cities' heterogenic characteristics.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of novelty in contemporary discourse of urban regeneration by using the philosophy of contextualism. Finally a recent example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city of Gwangju, South Korea is interpreted using the concept of contextual novelty.

The Textbook Analysis on Probability: The Case of Korea, Malaysia and U.S. Textbooks

  • Han, Sun-Young;Rosli, Roslinda;Capraro, Robert M.;Capraro, Mary 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27-140
    • /
    • 2011
  • "Statistical literacy" is important to be an effective citizen ([Gal, I. (2005). Towards "probability literacy" for all citizens: Building blocks and instructional dilemmas. In: G. A. Jones (Ed.), Exploring probability in school: Challeng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p. 39-63). New York: Springer]). Probability and statistics has been connected with real context and can be used to stimulate students' creative abilitie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extent that textbooks in three countries include experimental probability concepts and non-routine, open-ended, application and contextual problems. How well textbooks reflect real application situations i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students can employ probability concepts when solving real world problems. Results showed that three textbook series did not mention experimental probability. Furthermore, all of text-books had more routine, close-ended, knowing, and non-contextual problems.

전자상거래 활용 및 만족에 관한 연구 - 국가 간 비교 분석 - (Consumer Adoption and Satisfaction with E-Commerce - A Cross-Country Study -)

  • 이동원;안중호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1-21
    • /
    • 2001
  • The unprecedented growth of Internet technologies has made resources on the World-Wide-Web(WWW) instantly accessible to various user communities. While e-commerce has become as an important issue with the growth of the Internet, there are insufficient empirical research efforts concerning its status in Korea. The United States, in contrast, has made significant efforts in making empirical research regarding this issue.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not only how these contextual differences influence consumer satisfaction with the purchased products/services, but also what contextual constructs make consumers satisfied or dissatisfied.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the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consumer satisfaction between a developed country(i.e., United States) and a developing country(i.e., Korea) with regard to e-commerce.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contextual problems need to be solved before e-commerce provides real benefits for consumers and businesses.

  • PDF

지역사회역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사회의 질 증진에 주는 함의 (A Multi-level Study of Contextual Effects of Community Capacity on Health Status among Seoul Residents: Focused on Social Quality)

  • 정민수;조병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4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of community capacity to health in a metropolitan area in Korea. To do so, a multi-level model to verify the contextual effects of community capacity is presented. Methods: The study materials are the "The 4th Seoul Citizens Health Indicators Surveys" on 404 dong in Seoul. The community capacity indicators were developed in two strata: individual-level indicators with community identity domain; and community-level indicators with participation in community organizations, number of non-profit organizations, degree of organizing of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and volunteer activities. Results: Higher unhealthy probability occurs among those with lower community capacity at the community level, lower individual income, and lower community satisfaction at the individual level. It contributed to explaining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howed that there were contextual effects of the community going beyond the compositional effects of the individual. Conclusions: In the process of building community capacity, a community autonomously finds pending issues and solves related problems, and in so doing, raises the social quality and establishes the conditions for health promotion. Thus, the significance of neighborhood needs to be discovered and created in a new way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capacity.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의 실행 적합성 평가 - 맥락 요소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Practical Implementability of Records Management Metadata Standard: With Special Emphasis on its Contextual Elements)

  • 설문원;조은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5-243
    • /
    • 2010
  • 이 논문은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 중 특히 맥락 관련 요소를 실행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들이 국가기록원이 개발 보급한 표준 RMS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RMS 데이터 테이블, 장기보존포맷 기술규격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둘째, 표준 RMS를 운영 중인 4개 공공기관과 국가기록원 RMS 운영센터를 방문하여 RMS를 통한 데이터 조회와 면담을 토대로 메타데이터 축적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공표준 측면과 RMS 기능 개선 측면으로 나누어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문서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문맥 광고 시스템 (Contextual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Document Clustering)

  • 이동광;강인호;안동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5B권1호
    • /
    • pp.73-8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문서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동음 이의어와 핵심단어 선정 실패로 인해 발생하는 자동 광고 시스템의 오류를 해결하는 광고 키워드 추출방식을 제안한다. 먼저 대규모 뉴스기사를 대상으로 유사한 내용을 가지며 동일한 광고 키워드와 연관이 있는 기사들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광고 키워드에 대한 문맥 정보를 구축한다. 또한 광고 대상물에 대한 광고주의 요약 정보나 광고 대상 웹페이지를 분석하여 광고 키워드에 대한 문맥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을 보인다. 이렇게 구축된 문서 분류와 광고 키워드용 문맥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대상 문서가 속한 문서 분류를 추정하여 단어들의 의미적인 애매성을 해결하고, 추정한 문서 분류와 관련 있으면서 문맥적으로 중요성을 가지는 핵심 단어들을 선정하여 광고 키워드를 추출한다. 상용 광고 시스템과의 비교 분석 결과 신문 기사나 일반 블로그를 대상으로 최소 21%의 성능 향상을 얻었다.

목표 시나리오를 이용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외부상황 평가 모델 (Evaluation Model of Business process Contextual Situations using goal-scenario)

  • 백수진;고종원;송영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43-50
    • /
    • 2011
  • 초기에 예측하지 못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비즈니스 활동 모니터링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벤트 처리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과 실시간 조기 경보 비즈니스 활동 모니터링은 고정된 환경을 가정하여 설계 시 룰 기반으로 표현하여 경보 여부를 결정하거나, 이벤트 속성값이 입력되는 매시점마다 측정하여 경보를 내리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환경에서의 새로운 외부 상황 문제에 대한 발생 범위와 심각한 정도 등을 판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추상화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시나리오의 서비스 요구를 기존의 실행중인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보장하도록 목표 시나리오를 이용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외부상황 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다. 외부 상황에 따른 새로운 요구사항을 목표 시나리오 기반으로 분석을 하고, 유사 프로세스 모델을 찾아 유사도와 연관도를 합하여 파악한 뒤 프로세스를 사전에 중단 시키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