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ual Polarit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Extracting Multiword Sentiment Expressions by Using a Domain-Specific Corpus and a Seed Lexicon

  • Lee, Kong-Joo;Kim, Jee-Eun;Yun, Bo-Hyun
    • ETRI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838-848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pproach to automatically generate Korean multiword sentiment expressions by using a seed sentiment lexicon and a large-scale domain-specific corpus. A multiword sentiment expression consists of a seed sentiment word and its contextual words occurring adjacent to the seed word. The multiword sentiment expressions that are the focus of our study have a different polarity from that of the seed sentiment word. The automatically extracted multiword sentiment expressions show that 1) the contextual words should be defined as a part of a multiword sentiment expression in addition to their corresponding seed sentiment word, 2) the identified multiword sentiment expressions contain various indicators for polarity shift that have rarely been recognized before, and 3) the newly recognized shifters contribute to assigning a more accurate polarity value.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approach achieves improved performance of the sentiment analysis system that uses an automatically generated lexicon.

주관적 웰빙 상태 측정을 위한 비정형 데이터의 상황기반 긍부정성 분석 방법 (Analyzing Contextual Polarity of Unstructured Data for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 최석재;송영은;권오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1호
    • /
    • pp.83-105
    • /
    • 2016
  • 의료IT 서비스의 유망 분야인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주관적 웰빙 서비스(subjective well-being service) 구현의 핵심은 개인의 주관적 웰빙 상태를 정확하고 무구속적이며 비용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설문지에 의한 자기보고나 신체부착형 센서 기반의 측정 방법론은 정확성은 뛰어나나 비용효율성과 무구속성에 취약하다. 비용효율성과 무구속성을 보강하기 위한 온라인 텍스트 기반의 측정 방법은 사전에 준비된 감정어 어휘만을 사용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감정어로 볼 수 있는 이른바 상황적 긍부정성(contextual polarity)을 고려하지 못하여 측정 정확도가 낮다. 한편 기존의 상황적 긍부정성을 활용한 감성분석으로는 주관적 웰빙 상태인 맥락에서의 감성분석을 할 수 있는 감정어휘사전이나 온톨로지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더구나 온톨로지 구축도 매우 노력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상에 사용자의 의견이 표출된 비정형 텍스트로부터 주관적 웰빙과 관련한 상황감정어를 추출하고, 이를 근거로 상황적 긍부정성 파악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기본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 감정어휘사전을 준비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디지털 감정어휘사전인 SentiWordNet을 사용하였다. 둘째, 정신건강지수를 동적으로 추정하는데 필요한 비정형 자료인 Corpora를 온라인 서베이로 확보하였다. 셋째, Corpora로부터 세 가지 종류의 자원을 확보하였다. 넷째, 자원을 입력변수로 하고 특정 정신건강 상태의 지수값을 종속변수로 하는 추론 모형을 구축하고 추론 규칙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론 규칙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추론하였다. 본 연구는 감정을 분석함에 있어,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상황적 감정어를 적용하여 특정 도메인에 따라 다양한 감정 어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창성이 있다.

웰니스워드넷: 비정형데이터와 상황적 긍부정성에 기반하여 주관적 웰빙 상태를 무구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워드넷 개발 (WellnessWordNet: A Word Net for Unconstrained Subjective Well-Being Monitor ing Based on Unstructured Data and Contextual Polarity)

  • 송영은;남수현;권오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3호
    • /
    • pp.1-21
    • /
    • 2016
  • 주관적 웰빙 서비스(subjective well-being service)는 Wellness IT의 주요 서비스이며 개인의 주관적 웰빙 상태를 무구속적이고 비용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감성어휘사전을 활용할 수 있으나 감성어만으로 주관적 웰빙 상태를 측정할 수는 없으며 웰니스 어휘 사전이 별도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기존의 감성어휘사전은 동일한 감정어에 대해 한가지만의 감성값을 제공함으로써 그 용어를 사용한 사람의 특징에 따라 감성값이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존하는 감성어휘사전 중에서 표현력이 가장 뛰어난 SenticNet을 기반으로 하여 SenticNet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스트레스, 우울, 분노, 행복감 등 웰니스 상태를 추정한 결과를 추가한 WellnessWordNet 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사람들을 대상으로 WellnessWordNet 에 근거한 웰니스 상태 추정 정확도를 검증해 보았다. 본 논문의 독창성은 WellnessWordNet 웰니스 상태 언어에 대한 값을 제공할 뿐더러, 성별이나 연령과 같은 사람의 특성에 따라 다른 감성값을 제공하는 최초의 감성어휘사전이라는 것이다.

부정(否定)의 모습: 상위언어적 부정은 실험상 어떻게 다른가? (Faces of Negation: How is Metalinguistic Negation Experimentally Different?)

  • 이정민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9권2호
    • /
    • pp.127-153
    • /
    • 2015
  • Negative expressions have their semantic function of classical negation as a pure reverser of truth-values. They also have various kin and foes of their pragmatic functions such as association of bad feelings (Russell 1948), emphasis/attenuation by negative polarity items, sarcasm, and metalinguistic negation (MN). This paper explores how MN and descriptive negation (DN) differ and whether the difference creates pragmatic ambiguity (Horn 1987) or reflects merely contextual variations of one logical negation (Carston 1996). To test the debate, this paper treats certain degree modifiers licensed exclusively by MN as in Mia-ka POTHONG/Yekan yeppu-n key an-i-a [external neg] (vs. modifier NPIs like cenhye 'at all', licensed only by DN) and contrasts them with bad utterances of the MN modifiers in [short form neg] sentences (not for MN) such as Mia-ka POTHONG an yeppu-e. The ERP results of the well-formed vs. ill-formed conditions evoked the N400 at Cz in written stimuli and the N400 near the center on both hemispheres in spoken stimuli.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nomalies are meaning-related and tend to support the pragmatic ambiguity.

  • PDF

감정 표현구 단위 분류기와 문장 단위 분류기의 결합을 통한 주관적 문장 분류의 성능 향상 (Combining Sentimental Expression-level and Sentence-level Classifiers to Improve Subjective Sentence Classification)

  • 강인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4B권7호
    • /
    • pp.559-566
    • /
    • 2007
  • 주관적 문장이란 주관적인 내용을 포함한 문장으로써 저자의 제품이나 사건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다. 주관적 내용임을 나타내는 주관적인 표현은 문장 전반적으로 골고루 나타날 수도 있지만 일부 한정된 영역에서만 발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분류를 위해서는, 문장 전체를 고려하는 정보 외에 사실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주관적 혹은 객관적 표현구 정보의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장 전체를 이용한 분류 결과와 감정 표현구를 이용한 분류 결과를 결합하여 주/객관적 문장 분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 문장은 여러 개의 표현구를 가질 수 있어 복수개의 표현구 단위 결과를 얻게 되며 기계 학습을 응용하여 문장 단위 결과와 결합한다. 실험을 통한 결과, 표현구 단위 결과물 중 최대값을 가지는 두 가지 결과와 문장 전체를 이용한 결과를 합침으로써 2.5% 성능 향상된 79.7%의 정확률을 얻을 수 있었다.

영역별 맞춤형 감성사전 구축을 통한 영화리뷰 감성분석 (Sentiment analysis on movie review through building modified sentiment dictionary by movie genre)

  • 이상훈;최정;김종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2호
    • /
    • pp.97-113
    • /
    • 2016
  • 인터넷상의 데이터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는 빅데이터 분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정형 데이터분석이 가진 한계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비정형 데이터 분석 분야 중 하나인 텍스트마이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텍스트를 기반으로 문장의 긍정, 부정을 판별하고 분류하는 감성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연장선 상에서, 본 연구는 감성분석에 사용되는 감성사전을 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하여 구축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데이터가 속한 영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범용 감성사전을 감성분석에 사용할 경우, 해당 영역에서 쓰이는 단어 또는 감정 표현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감성분석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감성분석에 있어서 영역 맞춤형 감성사전의 사용 시 데이터 영역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해 분석의 정확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리뷰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대표적 영화정보 사이트 IMDb에서 발생된 약 2년간의 영화리뷰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영화 장르별 사용되는 단어의 의미가 각각 다를 것을 고려하여 영화를 '액션', '애니메이션', '코메디', '드라마', '공포', '과학공상' 6개 장르로 분류했다. 맞춤형 감성사전 구축을 위한 핵심 기법으로 SO-PMI(Semantic Orientation from Point-wise Mutual Information)를 활용하였으며, 어휘 간 극성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형용사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분석결과 맞춤형사전을 활용한 감성분석 예측정확도는 영화 장르별로 상이했다. '애니메이션'을 제외한 5개 장르에서 기존의 범용 감성사전대비 맞춤형 감성사전의 예측정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영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사전 구축을 통한 감성분석의 예측의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향후 감성사전 구축 시 동사, 부사 등 다양한 품사의 어휘를 추가하여 감성분석 예측정확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