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Based Access Control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초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역할 기반 접근제어에서 발생하는 상황 충돌 (Context Conflicts of Role-Based Access Control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남승좌;박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7-52
    • /
    • 2005
  • 기존의 응용에 따라 보호 객체들에 대한 접근을 역할들로 분류하여 역할을 중심으로 접근제어를 수행하는 역할 기반의 접근제어에 사용자 및 환경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접근제어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중요 정보와 자원에 대하여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환경에 유연하면서 강력한 접근제어의 수행에 관하여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에 대한 정의와 중요한 의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와 자원, 환경을 고려한 유연한 접근제어 방법을 제시하고,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접근에 대한 충돌을 찾아내고 해결 방안을 제안한다. 상황 정보의 분류와 정의를 이용하여 상창 정보를 접근제어에 적용하는 방법과 상황 정보를 접근제어에 이용하였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분류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이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 정의와 분류론 이용하여 적절한 사용자가 적절한 객체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사용을 보장하는 보안 정책과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의한 객체 접근의 단순 접근제어가 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의 상황과 연관된 객체, 자원,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상황 인식 기반의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접근 제어 시스템 (An Access Control System for Ubiquitous Computing based on Context Awareness)

  • 이지연;안준선;도경구;창병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5A권1호
    • /
    • pp.35-44
    • /
    • 2008
  •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이나 무선 네트워크들에 의한 무분별한 자원 접근은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접근 권한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머가 각 응용 프로그램에 맞는 접근 권한 규칙을 정책 파일로 작성하고 이를 실행시키는 접근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접근 제어 시스템인 CACM(Context-awareness Access Control Manager)은 상황 인식 기반의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프레임워크인 JCAF을 바탕으로 구현하였다. CACM은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정책 파일을 바탕으로 접근을 제어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정책 파일을 정적 분석하여 잘못된 정책 파일 규칙 알려주는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발된 유비쿼터스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공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컨텍스트 접근 제어 고찰 (Context Access Control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정헌만;이세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5-18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정보 보안 문제를 접근 제어 기법을 중심으로 두가지 방식에 대한 연구 형태를 분석 고찰하며, 기존 연구들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상황 인식 서비스 플랫폼 개발시 핵심적으로 고려해야할 중요 요소를 설계할 때 필요한 레퍼런스를 제안한다. 첫 번째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역할 기반 접근 제어 방식을 적용하는데 문제점을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연구 방향에 대한 고찰이다. 두 번째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상황 정보는 개인의 정보 보호에 관련해 중요한 사항이므로, 여기에 역할 기반 접근 제어 방법을 적용하여 해결하는 연구이다. 이러한 두 가지 연구 방향은 상황 인식 서비스 플랫폼 설계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CASA 기반의 동적 접근 제어 기법 (A CASA-Based Dynamic Access Control Scheme for Ubiquitous Environments)

  • 김경자;장태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05-211
    • /
    • 2008
  • 기존의 상황 인식 서비스 모델에서는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사용자의 인증으로만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였으나,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가 빈번하게 변화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상황 변화에 따른 리소스 접근제어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 따라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동적으로 제어하고자 한다. 접근 제어는 기존의 CASA(Context-Aware Security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하지만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리소스 접근 권한을 제한할 수도 있다. 즉, 주위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사하여 주위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접근 권한을 달리 부여하여 기존의 상황 인식 서비스보다 리소스에 대한 강인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보안통제가 강화된 접근제어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e of Access Control System with Enforced Security Control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엄정호;박선호;정태명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1-8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하에 각종 정보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황인식 기술 및 직무-역할 기반의 접근제어 시스템(CAT-RACS)을 설계하였다. CAT-RACS은 상황정보에 따른 정책 구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황-역할 개념과 정보의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보안등급 속성을 추가한 접근제어 모델(CA-TRBAC)을 적용하였다. CA-TRBAC는 사용자의 직무와 역할이 접근제어 조건에 합당할지라도 상황이 접근제어 조건에 부합하지 않거나, 역할과 직무가 접하려는 객체의 보안등급과 일치하지 않거나 하위 등급일 경우에는 접근을 허가하지 않는다. CAT-RACS는 상황인식 보안 매니저를 통해 사용자 인증과 접근제어 등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황정보 융합 매니저를 통해 상황인식 보안 서비스 제공과 보안정책 구성에 필요한 상황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보안정책 매니저를 통해 CA-TRBAC 정책, 사용자 인증 정책, 보안 도메인 관리 정책을 관리한다.

u-헬스케어를 위한 상황기반 동적접근 제어 모델 및 응용 (Context-based Dynamic Access Control Model for u-healthcare and its Application)

  • 정창원;김동호;주수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6호
    • /
    • pp.493-506
    • /
    • 2008
  • 본 논문은 역할 기반 접근 제어 모델 연구를 통해 u-헬스케어 환경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상황 기반의 동적 접근제어 모델을 제안한다. 동적 보안 도메인 관리를 위해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였고, 동적 접근제어를 위한 상황 정보는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러프집합 이론을 근거로 의사결정 테이블에서 지식감축을 통해 의사결정 규칙을 정의하고, 생성된 규칙을 동적 접근제어 모델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u-헬스케어 응용을 통해 상황기반 동적 보안 서비스의 수행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 동적 접근 제어 모델은 u-헬스케어 환경에서 보안 도메인에 따라 적합한 보안 서비스와 보다 유연한 접근제어를 제공한다.

상황인식 기반 적응적 접근제어 보안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Model Design of Adaptive Access Control based Context-Aware)

  • 김남일;김창복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11-219
    • /
    • 2008
  • 본 논문은 기존의 접근제어 모델을 확장하여 상황인식 기반 접근제어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xoRBAC와 CAAC와 같은 상황인식기반 보안모델에 대한 최근연구들을 조사하였다. 정확한 정책평가를 위해 기존의 CAAC 보안모델에 상황브로커와 파인더 컴포넌트를 추가하였다. 이 보안모델에 의해 더욱 명확한 정책결정을 위해 상황정보 및 상황결정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접근된 자원에서 또 한번의 사용자 이벤트를 판단하여, 접근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자원들을 제어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보안모델은 역할에 따른 특정정책과 제약조정을 통해 다양한 보안등급 및 접근권한방식을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 PDF

상황제한 RBAC 모델을 이용한 U-헬스케어 접근권한 제어모델 설계 (Design of U-Healthcare Access Authority Control Model Using Context Constrain RBAC Model)

  • 김창복;김남일;박승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33-242
    • /
    • 2009
  • 의료정보는 환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뿐 아니라 환자의 생명에도 직결되기 때문에, 견고하고 유연한 보안모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u-헬스케어 환경은 사용자 상황변화가 다양하기 때문에, 보다 더 유연하고 세밀한 접근 권한제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u-헬스케어 영역에서 상황타입(Context Type)과 상황제한(Context Constraint)을 정의하고, 의료정보의 비밀등급, 사용자의 권한등급, 사용자의 역할, 사용자 상황에 따른 권한 변경 등을 정의하였다. 또한, 사용자 역할을 기반하여 상황정보 변화에 적용할 수 있는 상황기반 접근제어 모델을 설계하였다. 상황기반 접근제어 모델은 K2BASE를 이용하여 자원과 권한의 관계성과 접근 포인트로 부터 도달 가능한 모든 자원에 대한 권한을 분석하였다. 상황기반 접근제어 모델은 u-헬스케어 영역에서 상황을 기반으로 권한변경과 역할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고, 권한이 부여된 자원에 의미적으로 연결된 자원을 획득할 수 있어, 상황변화가 다양한 u-헬스케어 영역에서 유연하고 적응적인 접근제어 모델로서 적용 가능할 것이다.

  • PDF

A Universal Model for Policy-Based Access Control-enabled Ubiquitous Computing

  • Jing Yixin;Kim, Jin-Hyung;Jeong, Dong-W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권1호
    • /
    • pp.28-33
    • /
    • 2006
  • The initial research of Task Computing in the ubiquitous computing (UbiComp) environment revealed the need for access control of services. Context-awareness of service requests in ubiquitous computing necessitates a well-designed model to enable effective and adaptive invocation. However, nowadays little work is being undertaken on service access control under the UbiComp environment, which makes the exposed service suffer from the problem of ill-use. One of the research focuses is how to handle the access to the resources over the network. Policy-Based Access Control is an access control method. It adopts a security policy to evaluate requests for resources but has a light-weight combination of the resources. Motivated by the problem above, we propose a universal model and an algorithm to enhance service access control in UbiComp. We detail the architecture of the model and present the access control implementation.

사물인터넷 센서퓨전 환경에서 동적인 상황을 고려한 데이터 접근제어 정책 (Access Control Policy of Data Considering Varying Context in Sensor Fusion Environment of Internet of Things)

  • 송유진;서아리아;이재규;김의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9호
    • /
    • pp.409-418
    • /
    • 2015
  • IoT 환경에서는 정확한 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수집된 정보를 추론하여 새로운 정보, 즉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 센싱 되는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상황인식을 통한 정보의 접근제어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접근을 허가하는 접근권한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승인되지 않은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에의 접근 제약(접근제어 정책)을 둔다. 이를 위해 기존에 연구된 CP-ABE 기반의 상황 정보 접근제어 기법에 대해 분석한 후, 상황 정보의 범위에 동적인 상황을 포함시켜, 확장된 다차원 상황 속성(Context Attribute)을 반영하는 접근제어 정책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인 상황을 고려한 접근제어 정책을 IoT 센서퓨전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해 데이터의 다양성 확보 및 정확한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고, 기존 상황 속성의 확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