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s Protection

검색결과 1,057건 처리시간 0.034초

집단지성 콘텐츠에 적합한 저작권 인증 기법 (The Method of Digital Copyright Authentication for Conten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 윤성현;이근호;임희석;김대룡;김정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85-193
    • /
    • 2015
  • 지혜 콘텐츠는 사람의 경험과 아이디어로 구성된다. 지혜 마켓은 [1] 지혜 콘텐츠를 거래하는 온라인 상거래 모델로 일반인들도 쉽게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지혜 콘텐츠는 그 자체가 사람의 생각이기 때문에 유사하거나 중복된 콘텐츠가 많이 존재하게 된다. 기존의 저작권 보호 기법은 주로 원저자의 권리 보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집단지성 콘텐츠는 여러 사람의 도움으로 만들어진 콘텐츠이기 때문에 개별 저작권을 통합 및 제거할 수 있는 동적인 저작권 보호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지성 콘텐츠에 적합한 집단 저작권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집단 저작권 등록, 추가 그리고 검증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유사한 콘텐츠를 통합하거나 또는 개별 콘텐츠에 대한 집단 권리가 필요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Management Mechanism for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 in Smart Phone

  • Jang, Eun-Gye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3-50
    • /
    • 2015
  • In order to protect important information of smart phone from these security threats, this paper has studied a mechanism for protecting information from the leakage of various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phone. This paper has configured the basic protection scope for the information protection and applied real time encodement when new contents were created. Also, this paper has applied a security function so that the content of the protected scope can be managed and erased remotely in preparation for loss and burglary.

웹 컨텐츠 변경 탐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dified Web Contents Detection System)

  • 김영선;장덕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1-97
    • /
    • 2004
  • 전자상거래는 컨텐츠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외부로부터 불법적 침입을 받을 수 있는 컨텐츠에 대한 보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전자상거래 컨텐츠의 대한 침해 방지를 그동안 수동적인 형태의 보호에서 이제는 적극적인 형태의 보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래서, 해커들의 불법적인 컨텐츠 침입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 컨텐츠에 대한 침입이 발생함과 동시에 시스템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컨텐츠 감시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의 웹 컨텐츠 변경 탐지 시스템은 웹에 대한 개별적인 모니터링을 처리하여 소요되는 자원 및 인력의 손실을 방지하는데 있다. 그리고, 웹 환경의 컨텐츠 보안의 취약성과 정보 노출에 대한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여 컨텐츠의 빠른 지원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컨텐츠 보안 취약성을 정보 노출을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저작권 보호를 위한 폐쇄형 OSP 콘텐츠 자동 검색 방법 (Automatic Contents Tracking on Closed-type OSP for Copyright Protection)

  • 박경수;김원겸;김상진;유원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49-145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터넷상의 웹하드나 P2P와 같은 폐쇄형 OSP(Online Service Provider)에서 불법으로 유통되고 있는 콘텐츠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다운로드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OSP의 웹 페이지를 파싱(Parsing)하여 태그(Tag)와 유일한(Unique)한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콘텐츠의 게시 정보를 얻거나 액션을 취해 웹 페이지를 제어한다. 또한, IE(Internet Explorer) 이벤트(Event) 함수에 포함되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각 제어 단계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윈도우 기반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윈도우의 컨트롤ID 및 기타 윈도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의 보호에 관한 연구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을 중십으로-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on-line digital contents industry -focused on on-line digital contents industry development act-)

  • 강성주
    • 정보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55-67
    • /
    • 2004
  • 디지털콘텐트산업은 정보화사회의 핵심적인 기반산업분야이나 복제의 용이성으로 디지털코텐츠를 법적으로 보호하지 않는다면 우리사회가 필요로 하는 디지털콘텐츠의 개발의욕을 저하시켜 산업발전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콘텐츠제작자의 법적보호는 국가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조치일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콘텐츠제작자의 법적보호를 위하여 탄생한 법이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법이다.

  • PDF

IPTV 방송 콘텐츠의 보호 기술 (IPTV Contents Protection Technology)

  • 이완복;노창현;우제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6
    • /
    • 2005
  • 최근 정보통신부가 발표한 IT839 전략에 따르면, 향후 방송과 통신의 융합 흐름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특히, 광대역 통합망(BCN) 환경이 구축되면 IPTV 서비스는 더욱 많은 수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성공적인 사업화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방송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PTV 방송 서비스의 특성과 그에 따라 요구되는 콘텐츠 보안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IPTV의 기본 보안 모델을 제시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기존의 CAS, DRM 기술을 적용하는데 어떠한 한계점들이 있는 지를 분석한다.

  • PDF

웹 이미지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워터마킹 시스템 (Digital Watermarking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of Web Image)

  • 조정원;정승도;이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682-368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원본 이미지에 저작권자의 저작권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하고 차후 불법적인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숫자와 로고로 구성된 워터마크 생성, 삽입 및 검출, 검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시스템은 콘텐츠의 특성과 저작권자의 요구에 따라 워터마크를 숫자 또는 로고로 선택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저작권 보호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관리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 워터마킹의 적용을 통한 소유권 및 저작권 보호는 궁극적으로 문화콘텐츠 등의 콘텐츠 제작 의뢰자로 하여금 제작 의지를 강화하여 제작 의뢰 건수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혜콘텐츠 공동저작권 보호에 적합한 블록체인 기반 부인봉쇄 다중서명 기법 (The Blockchain based Undeniable Multi-Signature Scheme for Protection of Multiple Authorship on Wisdom Contents)

  • 윤성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7-12
    • /
    • 2021
  • 지혜콘텐츠는 여러 사람들의 경험과 아이디어로 창작되고 지역 제한이 없는 인터넷 기반 소셜 플랫폼에서 소비된다. 기존의 저작권 등록 시스템은 전문 제작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효력은 해당 국가에 종속된다. 블록체인은 서비스에 종속적이고 P2P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합의에 의해서 수정 및 삭제할 수 없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지혜콘텐츠의 공동저작권 보호에 적합한 블록체인 기반의 부인봉쇄 다중서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공동저작자들의 공통키 생성, 다중서명 생성 및 검증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부인봉쇄 서명은 서명자의 도움 없이는 서명을 검증할 수 없는 기법이다. 제안한 기법은 콘텐츠 구매 프로토콜에 적용되어 자동화된 수익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블록체인 기반 다중서명 검증을 통해서 모든 공동저작자들은 수익분배의 공정성을 부인할 수 없다.

웹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제공하는 통합 메타데이터 기반의 다중 CMS 시스템 (Integrity Metadata Based of Multi CMSs System Providing Protection Copyright of Web Contents)

  • 조영복;이영진;손녕;이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6C호
    • /
    • pp.520-528
    • /
    • 2008
  • 현재 웹 콘텐츠의 다양화로 인해 콘텐츠의 관리를 위한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각 업체의 CMS는 서로 다양한 형태의 메타데이터로 관리되고 있어, 웹 콘텐츠의 중복이 심각한 실정이다. 또한 일부 CMS에서 부분 지원하는 콘텐츠 보호만으로 풍부한 웹 콘텐츠의 저작권 기술을 보호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호 이질적인 CMS의 연동을 통한 웹 콘텐츠의 중복을 해결 하였다. 또한 각 CMS를 기반으로 공유된 콘텐츠는 콘텐츠의 보호를 위해 웹 콘텐츠 인증코드를 이용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을 기반으로 콘텐츠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지원함으로 다량의 콘텐츠 사용에 매우 안전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DRM 시스템의 호환성을 위한 보호프로파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to Be Protection Profile for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DRM Systems)

  • 조혜숙;이광우;전웅렬;이윤호;김승주;원동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1호
    • /
    • pp.1-12
    • /
    • 2009
  • 오늘날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은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한 디지털 콘텐츠의 재배포, 불법 복제를 금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현재 DRM 시스템은 상호 호환성 부족으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이한 DRM 시스템의 상호 호환을 위한 연동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이한 DRM 시스템 호환을 위해서 공통평가기준에 따른 보호프로파일을 개발한다. 특히 이러한 개발을 위해 기존에 개발된 보호프로파일을 이용해서 개발에 적용시킴으로써 시간 효율과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적임을 분석을 통하여 보인다. 개발된 보호프로파일은 콘텐츠 제공자 및 사용자 권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안전한 저작권을 유지할 수 있는 요구사항을 도출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