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 duration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31초

조조가온기간이 시설재배 오이의 생육과 수량 및 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al Early-Morning Heating Periods on the Growth and Yield of Cucumber and Heating Load)

  • 권준국;강남준;이재한;강경희;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5-250
    • /
    • 2004
  • 본 연구는 조조가온기간이 시설오이의 생육과 수량 및 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일출전에 난방온도를 올려서 $12^{\circ}C$에서 $16^{\circ}C$로 올려서 가온하는 기간을 2시간, 1시간 및 0시간을 비교하였다. 보온커텐을 열기 직전$(08:50\~09:00)$의 엽온은 조조가온을 하지 않는 것에 비해 1시간 가온이 $3.3^{\circ}C$, 2시간 가온이 $4.1^{\circ}C$각각 높았다. 오이 잎의 광합성, 기공전도도 및 증산량은 2시간 조조가온이 가장 좋았으나 1시간 가온과의 차이가 근소하였고 조조가온을 하지 않은 것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오이 잎의 무기성분함량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2시간, 1시간, 0시간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정식 이후의 초기생육은 1시간과 2시간 가온이 비슷하게 빨랐으나 조조가온을 하지 않는 것은 현저히 저조하였다. 과실 수량은 조조가온을 하지 않는 것에 비해 1시간 가온이 $11\%$, 2시간 가온이 $15\%$ 각각 증가되었다. 연료소모량은 조조가온하지 않는 것에 비해 1시간 가온이 $12\%$, 2시간 가온이 $22\%$ 각각 많았다. 생산물의 증수량과 연료소모량을 감안할 때 조조 가온하지 않는 것에 비해 가온한 것이 경영상 유리하였다.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 처리가 '감홍' 사과의 저온저장 중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Sprayable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on Fruit Quality Attributes in Cold Stored 'Gamhong' Apples)

  • 유진기;김대현;이진욱;최동근;한증술;권순일;권헌중;강인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9-283
    • /
    • 2013
  • 본 연구는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Harvista) 처리가 국내 육성품종인 '감홍' 사과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체살포용 1-MCP 처리 후 수확시에 과실의 산 함량은 1-MCP 수확 10일전 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으나 다른 과실품질 요인들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저장동안 '감홍' 사과의 품질변화를 보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1-MCP 처리 과실들의 경도와 산 함량이 무처리 과실보다 높게 유지되었으나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내생 에틸렌 발생량은 수확시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이 낮은 에틸렌발생을 보였으나 무처리 과실들은 저장 180일에는 $58.3{\mu}L{\cdot}L^{-1}$로 급격히 증가한 반면 1-MCP 처리 과실들은 $18.24{\sim}25.03{\mu}L{\cdot}L^{-1}$로 현저히 낮은 발생량을 보였다. 따라서 '감홍' 사과에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 처리가 저장기간동안 과실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1-Methylcyclopropane 처리가 토마토 선도유지 효과 및 색소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igmentation of Tomato Fruit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 이윤석;정대성;;신중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00-608
    • /
    • 2010
  • 토마토 에틸렌 발생 억제제인 1-Methylcyclopropane(1-MCP) 처리 방법 및 저장 온도에 따른 토마토의 선도 유지 그리고 토마토 과색의 주요 성분인 엽록소 및 라이코펜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확한 토마토는 무처리 그리고 $1.0{\mu}L/L$ 1-MCP를 사용하여 20시간 한번 처리 또는 매일 한 번씩 지속 처리를 통하여 각각 12, 17, $23^{\circ}C$에 저장하여 토마토의 색소 성분의 변화와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토마토 외피 색변화, 에틸렌 발생, 그리고 경도는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1-MCP 처리에 대한 품질변화 지연효과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량감모율은 저장 기간 동안 1-MCP처리 유무와 관계없이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음에 따라 증가하는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 및 라이코펜 함량 변화는 a specific extinction coefficient absorbance를 사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각 저장 온도별 1-MCP 처리구가 엽록소 손실 및 라이코펜 형성에 지연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더욱이 매일 지속적인 1-MCP 처리구는 초기 한번 1-MCP 전처리구 보다 두드러진 숙도 변화가 낮아짐을 보여 주었으며 과피별로 pericarp 부분이 placenta 부분 보다 1-MCP 처리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는 표피를 접하고 있는 외부 환경 1-MCP 물질이 pericarp 부분에 sorption을 통해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리라 판단된다. 실험 결과 저온 온도에서 적정한 농도의 1-MCP를 매일 처리한 토마토의 품질 유지 및 색소 성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dium chloride와 sodium carbonate를 첨가한 yellow alkaline noodle sheet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Yellow Alkaline Noodle Sheet Added with Sodium Chloride and Sodium Carbonate)

  • 김순태;장학길;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3-38
    • /
    • 2007
  • 밀가루에 소금을 0, 2 및 4%를 첨가하였을 경우, Mixograph의 peak time은 밀가루의 종류에 관계없이 소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박력분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Peak height와 width at peak도 소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강력분과 중력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Width at 8 min의 경우에는 모든 밀가루에서 소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ium carbonate를 0, 0.5, 1.0 및 1.5의 농도로 밀가루에 첨가하여 Mixograph 특성을 관찰한 결과 밀가루의 종류에 관계없이 0.5% 첨가 시 peak time이 거의 2배정도 증가하였다가 그 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다시 감소된 반면, peak height는 sodium carbonate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ixograph peak time과 단백질 함량 및 침전가와는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으나, peak height, width at peak 및 width at 8min과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반죽의 초기호화온도, 최고점도, 최소점도, 최종점도는 밀가루의 종류에 관계없이 소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최고점도, 최소점도 및 최종점도는 모든 밀가루에서 sodium carbonate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기호화온도와 보수율 및 알칼리수 흡수율과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보수율과 최고점도, 최소점도 및 최종점도와는 모두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동굴처분 방식을 사용하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자연 환기 타당성 평가 (The Feasibility of Natural Ventilation in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Using Rock Cavern Disposal Method)

  • 김진;권상기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3-192
    • /
    • 2005
  • 자연환기는 처분장의 작업 환경 및 위생, 부유 방사성 핵종의 노출 등과 같은 안전문제에 있어 자연환기 자체만으로는 기계적 강제 환기에 비해서 덜 효과적이지만 처분장 내의 수분제거, 작업 환경 조성과 관련하여 라돈 (Rn) 가스의 희석과 같은 향후 처분장의 장기적 환경을 위해서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환풍기와 같은 환기 설비를 이용해야하는 기계환기에 비해 경제적으로 매우 효과적 일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 처분장의 건설 및 운영 기간동안 자연환경 조건에 따라 처분장에 스스로 생기는 자연 환기의 타당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자연 동굴을 통한 자연환기 유사에 의해 밝혀진 증거들과, 수직갱을 갖는 산악 도로터널에서의 자연 환기 측정, 그리고 주어진 자연환기 압력에 의한 공기 발생량 계산 등을 통해서 자연 환기는 한국형 지하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잠재적으로 매우 유익함을 알 수 있다. 효과적으로 유도된 자연 환기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내에 발생하는 열과 습도, 그리고 라돈 가스를 제어하기에 경제적으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자연환기를 통해 처분장의 전반적 열적 특성은 개선될 수 있고, 수분으로 포화된 공기는 효과적으로 건조되고 그 건조상태 유지 기간은 확장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20대 성인의 스마트폰 의존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Dependence among Adults in Their 20s)

  • 박정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95-204
    • /
    • 2020
  • 본 연구는 20대 성인의 스마트폰 의존 관련 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중 20대, 3,68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 상관관계, 가중치를 적용한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은 스마트폰 의존도가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β=.18, p=.000)과 빈도(β=.04, p=.000), 게임(β=.15, p=.000), 영상시청(β=.09, p=.000), 모바일 쇼핑(β=.05, p=.000), 업무(β=.05, p=.010), 이메일(β=.13, p=.000), 스포츠 배팅(β=.07, p=.000)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듣는 것(β=-.07, p=.000), 성인물 사용(β=-.07, p=.000)은 스마트폰 의존을 감소시키는 요인이었고,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β=.01, p=.358)와 메신저(β=-.02, p=.330)는 스마트폰 의존도의 유의한 관련 요인이 아니었다. 그러나 메신저는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 유형이었고, 업무와 강한 상관관계를 가졌다(r=.55, p=.000). 본 연구를 통하여 20대 성인의 스마트폰 의존과 관련된 스마트폰 사용행태가 아동이나 청소년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대 성인의 스마트폰 의존을 올바로 이해하고, 의존 조기발견과 예방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치간 삭제 후 불소 및 수산화인회석 도포 시 법랑질 표면의 함량 및 결정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surface content and crystal structure after fluoride gel or hydroxyapatite paste application on stripped enamel)

  • 김상철;홍현실;황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07-41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간삭제 후 불소 및 수산화인회석 페이스트의 치면 도포에 대한 법랑질 표면의 결정구조 및 재광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치간삭제 후 1.23% 인산화 불소 및 10% 수산화인회석 페이스트를 치면에 도포한 후 법랑질 표면의 결정구조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법랑질 표면의 칼슘, 인, 불소 함량 등의 변화를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SD)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10% 수산화인회석 페이스트 도포한 군에서 칼슘함량이 증가하였고 (p < 0.01), 치간 삭제 후 거칠었던 법랑질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워졌으며 법랑질 결정구조가 작고 치밀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치간삭제 후 불소 및 수산화인회식 도포가 치면 결정구조 및 재광화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olydioxanone/pluronic F127 담체에 유입된 골막기원세포의 조골활성 (OSTEOGENIC ACTIVITY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IN A THREE DIMENSIONAL POLYDIOXANONE/PLURONIC F127 SCAFFOLD)

  • 이진호;오세행;박봉욱;하영술;김덕룡;김욱규;김종렬;변준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478-484
    • /
    • 2009
  • Three-dimensional porous scaffolds play an important role in tissue engineering strategies. They provide a void volume in which vascularization, new tissue formation, and remodeling can occur. Like any grafted materials, the ideal scaffold for bone tissue engineering should be biocompatible without causing an inflammatory response. It should also possess biodegradability, which provides a suitable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for the cell function together with the capacity for gradual resorption and replacement by host bone tissue. Various scaffold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for bone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including naturally derived materials, bioceramics, and synthetic polymers. The advantages of biodegradable synthetic polymers include the ability to tailor specific fun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steogenic activity of periosteal-derived cells in a polydioxanone/pluronic F127 scaffold.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successfully differentiated into osteoblasts in the polydioxanone/pluronic F127 scaffold. ALP activity showed its peak level at 2 weeks of culture, followed by decreased activity during the culture period. Similar to biochemical data, the level of ALP mRNA in the periosteal-derived cells was also largely elevated at 2 weeks of culture. The level of osteocalcin mRNA was gradually increased during entire culture period. Calcium content was detactable at 1 week and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up to the entire duration of culture. Our results suggest that polydioxanone/pluronic F127 could be a suitable scaffold of periosteal-derived cell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숙지황과 가시오가피 복합추출물(OPB)이 난소절제 흰쥐의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rbal Formulation (OPB), Rehmannia Glutinosa Libosch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Extracts on Bone Density and Bone Biochemical Marker in Ovariectomized Rats)

  • 김정근;김세원;이병의;황현환;권종석;고선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35-43
    • /
    • 2007
  • 본 연구는 숙지황과 가시오가피 복합추출물 (OPB)이 난소절제 흰쥐의 골밀도 및 골대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3주된 20마리의 Sprague-Dawley 암컷 흰쥐를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었고, OPB의 골밀도 및 골대사 변화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난소절제 후 3일 후부터 OPB를 100 mg/kg씩 8주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pQCT 방식으로 골밀도, 골함유량, 골강도를 측정하였고, 혈청 중 CTx (C-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난소절제 후 대조군의 골밀도는 $-29.8{\pm}3.0%$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OPB의 투여에 의해 $-21.4{\pm}2.3%$로 억제되었다. 골강도의 변화에서는 anti-fracture 값과 anti-twisting 값이 대조군에 비해 OPB 처리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혈청 중 골흡수 지표인 CTx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OPB 처리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숙지황과 가시오가피의 복합 추출물인 OPB가 난소를 절제한 흰쥐에서 골 소실을 억제하므로 임상에서 난소절제 후 또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개선제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과실비대기 담수처리가 참회의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logging during Fruit Enlargement on the Quality and Yield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 신용섭;연일권;최진국;최성국;최부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1-145
    • /
    • 2000
  • 참외의 과실비대기 집중호우에 따른 품질 및 수량과의 관계를 구명코자 착과후 20일경 농업용수를 이용하여 참외 재배이랑 표면으로부터 20cm가 될 때까지 흙탕물을 조성한 후 4, 10 15시간 담수구와 무담수구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처리 7일 후 과육부의 당도는 무담수구의 12.6Brix에 비하여 5, 10, 15시간 담수처리구에서 4.7∼5.6Brix 정도 현저하게 낮았다. 과육의 경도는 처리 7일 후의 조사에서는 무담수구와 5시간 담수구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10, 15시간 담수처리구에서는 현저히 낮았으며, 처리 13일 후의 조사에서는 담수시간과 관계없이 담수처리에서 과실의 경우가 매우 낮았다. 과일의 부패과율은 처리7일 후의조사에서는 처리간은 차이가 없었으나 처리 13일 후의 조사에서는 담수시간이 길수록 부패과율이 높았다. 무담수구에 비하여 담수구에서 노균병과 흰가루병 발생은 증가하였고 작은각시들명나방은 감소하였는데, 담수시간이 길수록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였다. 10a당 상품수량은 무담수구의 616.2kg에 비하여 5, 10, 15시간 담수처리에서 각각 33%, 45%, 66%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