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tent Based

검색결과 12,865건 처리시간 0.038초

이벤트와 관련된 주변 관광지 자동 추천 알고리즘 개발 (Automatic Recommendation of Nearby Tourist Attractions related to Events)

  • 안진현;임동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07-413
    • /
    • 2020
  • 관광객이 관광 도중에 각종 문화제, 전시회, 공연 등의 이벤트에 참여하는 경우가 있다. 관광객이 이벤트에 참여 후 다음 관광지를 결정하게 되는데, 관광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수단은 지도 서비스, 블로그와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이 존재한다. 지도 서비스를 활용하면 관광객이 현재 위치한 장소 주변의 관광지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 이는 위치 기반 관광지 추천으로 활용될 수 있다. 블로그 등은 관광지의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관광객이 이벤트의 내용과 관련된 관광지를 찾을 수 있다. 이는 내용 기반 관광지 추천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위치 기반 추천의 경우 이벤트의 내용과 관련이 없이 단순히 가까운 관광지가 추천이 될 수 있고, 내용 기반 추천의 경우 거리가 먼 관광지가 추천이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위치와 내용을 모두 고려하는 관광지 추천 서비스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의 장점만을 취하기 위해 한국관광공사 LOD(Linked Open Data), 위키피디아, 국어사전 등에 기반하여 위치와 내용을 모두 고려한 관광지 추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관광지의 설명글로부터 명사들을 추출한 뒤 다른 관광지의 명사들과 비교를 하여 동일한 명사가 많이 있을수록 내용이 관련이 있다고 판단한다. 정확히 동일한 명사가 없어도 위키피디아에 있는 키워드를 활용하여 관련된 명사가 존재할 경우에도 관련이 있다고 판단한다. 각 관광지의 위도와 경도를 기준으로 거리를 계산한 뒤 사용자가 선택한 가중치로 상기 내용 기반 관련도와 선형결합하여 추천순위를 계산한다.

의미 기반 검색을 위한 이미지 내용 모델링 (Image Content Modeling for Meaning-based Retrieval)

  • 나연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2호
    • /
    • pp.145-156
    • /
    • 2003
  • 현존하는 대부분의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은 칼라, 모양, 텍스처 특징을 이용한 유사도-기반 검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신경과학 이미지 데이타베이스의 경우, 이미지에 대한 전역적 평균 특징 값을 기반으로 한 유사 이미지의 검색이 임상 병리학자들에게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신경과학 데이터베이스 상의 이미지에 대한 실용적인 내용 기반 검색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내부 내용이나 의미를 표현하는 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미지들에 대해 보다 유용한 검색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내용과 그에 관련된 개념 지식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객체지향 메시지 경로 식을 이용하여 이러한 고급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연산의 의미를 기술한다. 제안된 기법은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므로 보다 강화된 내용 검색을 위해 이미지 내용에 대한 보다 많은 의미를 점진적으로 추가해 나갈 수 있다.

다중레벨 벡터양자화 기반의 유사도를 이용한 자동 음악요약 (Automatic Music Summarization Using Similarity Measure Based on Multi-Level Vector Quantization)

  • 김성탁;김상호;김회린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6권2E호
    • /
    • pp.39-43
    • /
    • 2007
  • Music summarization refers to a technique which automatically extracts the most important and representative segments in music cont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evaluate a technique which provides the repeated part in music content as music summary. For extracting a repeated segment in music content, the proposed algorithm uses the weighted sum of similarity measures based on multi-level vector quantization for fixed-length summary or optimal-length summary. For similarity measures, count-based similarity measure and distance-based similarity measure are proposed. The number of the same codeword and the Mahalanobis distance of features which have same codeword at the same position in segments are used for count-based and distance-based similarity measure, respectively. Fixed-length music summary is evaluated by measuring the overlapping ratio between hand-made repeated parts and automatically generated ones. Optimal-length music summary is evaluated by calculating how much automatically generated music summary includes repeated parts of the music content. From experiments we observed that optimal-length summary could capture the repeated parts in music content more effectively in terms of summary length than fixed-length summary.

내용중심 대학 교양영어교재 사용결과 분석 (College English Education Using a Content-based English Textbook)

  • 박준언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3권2호
    • /
    • pp.233-254
    • /
    • 2003
  •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using a content-based English textbook in teaching English to Korean college students. The textbook reflected the recent trend in EFL/ESL development that subject matters should be taught as part of the language instruction.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to college students at the end of the semester revealed an encouraging result that this new type of ELT college textbook is effective in helping Korean college students prepare for learning their subject areas through English. Based on this positive outcome, a suggestion is made that the current general purpose college English teaching curriculum be shifted toward a content-based specific purpose type to accommodate the increasing demand of learning subject areas through English in colleges in Korea.

  • PDF

스토리 기반의 정보 검색 연구 (Story-based Information Retrieval)

  • 유은순;박승보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4호
    • /
    • pp.81-96
    • /
    • 2013
  • 웹의 발전과 콘텐츠 산업의 팽창으로 비디오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의 정보 검색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동안 비디오 데이터의 정보 검색과 브라우징을 위해 비디오의 프레임(frame)이나 숏(shot)으로부터 색채(color)와 질감(texture), 모양(shape)과 같은 시각적 특징(features)들을 추출하여 비디오의 내용을 표현하고 유사도를 측정하는 내용 기반(content-based)방식의 비디오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영화는 하위 레벨의 시청각적 정보와 상위 레벨의 스토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저차원의 시각적 특징을 통해 내용을 표현하는 내용 기반 분석을 영화에 적용할 경우 내용 기반 분석과 인간이 인지하는 영화의 내용 사이에는 의미적 격차(semantic gap)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영화의 스토리는 시간의 진행에 따라 그 내용이 변하고, 관점에 따라 주관적 해석이 가능한 고차원의 의미정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토리 차원의 정보 검색을 위해서는 스토리를 모델링하는 정형화된 모형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소셜 네트워크 개념을 활용한 스토리 기반의 비디오 분석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를 표현하는 이 방법들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등장인물들의 관계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스토리 진행에 따른 등장인물들의 관계 변화를 역동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 둘째, 등장인물의 정체성과 심리상태를 보여주는 감정(emotion)과 같은 심층적 정보를 간과하고 있다. 셋째, 등장인물 이외에 스토리를 구성하는 사건과 배경에 대한 정보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스토리 기반의 비디오 분석 방법들의 한계를 살펴보고, 문제 해결을 위해 문학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서사 구조에 근거하여 스토리 모델링에 필요한 요소들을 인물, 배경, 사건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키 기반 블록 표면 계수를 이용한 강인한 3D 모델 해싱 (Robust 3D Hashing Algorithm Using Key-dependent Block Surface Coefficient)

  • 이석환;권기룡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1호
    • /
    • pp.1-14
    • /
    • 2010
  • 3D 콘텐츠 산업 분야의 급격한 성장과 더불어, 3D 콘텐츠 인증 및 신뢰, 검색을 위한 콘텐츠 해싱 기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영상 및 동영상과 같은 2D 콘텐츠 해싱에 비하여 3D 콘텐츠 해싱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키 기반의 3D 표면 계수 분포를 이용한 강인한 3D 메쉬 모델 해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기본적인 Euclid 기하학 변환에 강인한 3D SSD와 표면 곡률의 평면계 기반의 블록 표면 계수를 특징 벡터로 사용하며, 이를 치환 키 및 랜덤 변수 키에 의하여 최종 이진 해쉬를 생성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해싱 기법은 다양한 기하학 및 위상학 공격에 강인하며, 모델 및 키별로 해쉬의 유일성을 확인하였다.

Digital Content Certification and Management Technology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 Jang, Eun-Gye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21-128
    • /
    • 2021
  •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존의 콘텐츠 제공 업체에만 의존했던 디지털콘텐츠 시장이 유투브와 같이 사용자의 참여로 다양한 디지털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해 디지털콘텐츠 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왔지만, 저작자의 저작권과 콘텐츠의 무분별한 도용 및 사용으로 디지털콘텐츠 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콘텐츠를 보호하고 저작자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콘텐츠 관리 기술을 연구하였다. 제안 기술은 디지털콘텐츠와 저작권자를 보호하고 사용자를 식별하여 무분별한 디지털콘텐츠 접근과 도용을 방지한다. 디지털콘텐츠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블록체인의 인증기술로 활용되는 해쉬 함수를 활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디지털콘텐츠를 관리하여 무결성과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콘텐츠 중심 네트워킹에서 IGPT를 이용한 적시성 및 보안성 향상 방안 (A Method for Enhancing Timely-Delivery and Security Using IGPT in Content-Centric Networking)

  • 정승훈;박흥순;권태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11호
    • /
    • pp.743-754
    • /
    • 2014
  • 최근에 기존 IP기반과는 다른, 정보 중심 네트워킹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인 Content-Centric Networking(CCN)은 Van Jacobson에 의해 처음 제안되어 대표적인 정보 중심 네트워킹 패러다임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CCN은 콘텐츠 자체에 대한 접근과 전달에 목표를 두고 라우터에서 콘텐츠의 배분이 가능토록 하여 IP 방식보다 좀 더 빠르게 콘텐츠가 전달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CCN은 정보요청자 기준의 통신(pull-based)으로 사전 요청패킷의 전송없이 정보를 분배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PIT(Pending Interest Table)의 사용으로 DDoS 공격 등을 받을 시 PIT 메모리 오버로드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CCN에서 요청패킷 없이 정보를 전달하는 push-based 기법과 PIT 오버로드 상황에서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도록 Interest Group Pushing Table(IGPT)을 활용한 정보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데이터 전송의 신속성 및 보안성 향상 측면에서 기존의 기법보다 동일 시간동안 많은 양의 콘텐츠 전송이 가능하다.

MPEG-4 기반 대화형 복수시점 영상콘텐츠 저작 시스템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Authoring System based on MPEG-4)

  • 이인재;기명석;김욱중;김규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209-212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authoring system based on MPEG-4. The MPEG-4 standard, which aims to provide an object based audiovisual coding tool, has been developed to address the emerging needs from communications, interactive broadcasting as well as from mixed service models resulting from technological convergence. Due to the feature of object based coding, it has been considered that MPEG-4 is the most suitable for interactive broadcasting content production. This feature is suitable for creation of the content which provides multiple views of object or scene in interactive manner. In this paper, we categorize the multi-view visual content into two types: panoramic multi-view content and object multi-view content. An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authoring system for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is presented. We believ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used for further deployment of MPEG-4 content to various interactive applications.

  • PDF

User-Created Content Recommendation Using Tag Information and Content Metadata

  • Rhie, Byung-Woon;Kim, Jong-Woo;Lee, Hong-Joo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6권2호
    • /
    • pp.29-38
    • /
    • 2010
  • As the Internet is more embedded in people's lives, Internet users draw on new Internet applications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user-created content (UCC)." In addition, there is a noticeable shift from text-centered contents mainly posted on bulletin boards to multimedia contents such as images and videos on UCC web sites. The changes require different way of recommendations comparing to traditional products or contents recommendation on the Internet. This paper aims to design UCC recommendation methods with user behavior data and contents metadata such as tags and titles, and compare performances of the suggested methods. Real web logs data of a major Korean video UCC site was used to empirical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that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based on similarity of UCC customers' preferences performs better than other content-based recommendation methods based on tag information and content meta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