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temporary Art Museums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현대예술 확장에 의해 예술로 수용된 패션의 본질적 속성 (Inherent Properties of Fashion Accepted as Art through Expansion of Contemporary Art)

  • 서승희;김영인
    • 복식
    • /
    • 제63권6호
    • /
    • pp.84-96
    • /
    • 2013
  • In researching the ontological status of fashion, a good grasp of fashion can decide the direction of fashion study. Fashion is sometimes considered an area of industry far from art from a point of view of purity of art, in spite of its aesthetic value and expression. However, art properties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purity of art in modern aesthetics, and fashion properties which were the reason for that fashion to be considered as non-art can be affirmed as the same with properties of contemporary art proper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general properties of fashion can be accepted in the art arena through justifying art properties deviating from the purity of art. It can provide a boost to fashion's cultural status. For the research metho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were carried out through specialty publications related to art history, aesthetics, and fashion, regular publications and websites specializing in fashion, and art museums. Through the research, art properties deviated from the purity of art, which are; tactile sense, impermanence, dailiness, and commercial viability, were justified as being the same as fashion properties. These art properties were not general properties of fine art in modern aesthetics, but the ones occurring in contemporary arts. These properties, now present in contemporary art, can no longer disqualify fashion as a non-art.

현대 공공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nfiguration of Contemporary Public Art Museum in Social Role)

  • 권미주;김용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81-188
    • /
    • 2007
  • The existing art museums existed for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collected material and the work which has artistic value. But today the art museum is not just for preservation and exhibition. It takes charge of public education as opened place to public. Further, it wants to be the art museum that the visitors who visit the art museum can enjoy and participate. The role change of like this is judged with the inevitable result which follows in many social demand. And increase with interest of leisure and culture life and continued demand for education, the role of modern art museum is becoming wider. Llike this, to accomplish these roles, space configuration of the modern art museum is changing. In the future, to meet more social demands and to solve flexibly, the modern art museum must concern more spacial efforts. Therefore, to grasp the change and the aspect of modern art museum, this study analyzes the Jeonbuk Province Art Museum, the Gyeongnam Art Museum and the Gyeonggido Museum of Art, They are most recently opened museum after 2000. To grasp space configuration of these museums, space syntax was used. And with the result which is analyzed, as grasps the problem and suggest an alternative idea, it can suggest advanced and proper direction.

폐건물의 재생에 의한 현대미술관의 운영전략과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s of the Contemporary Museum by Regeneration of Abandoned Architecture)

  • 김명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9-38
    • /
    • 2009
  • Nowadays, numerous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are undergoing urban regeneration through 'culturenomics' as a key strategy, which finds out cultural resources in a cultural backwater and revitalizes the city and its economy by making full use of those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trateg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museum by regeneration of abandoned architecture through such case studies as Tate Modem in London, PSI Contemporary Art Center in New York City, Hamburger Bahnhop-Museum for Contemporary Art in Berlin and Ullens Center for Contemporary Arts in Beijing. This study eventually suggest the basic guideline for the contemporary museum by regeneration of abandoned architecture, aiming to establish Seoul as an environmentally cultural city. The case studies show all of the four museums preserve almost all of their appreances, basic structures and spaces, but, their material expressions, exhibition methods and their programs vary depending on their goals and strategies differentiating the way they preserve the old architectural elements and the way they add the new ones forming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리차드 마이어의 뮤지엄건축 전시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Planning in Museums Desinged by Richard Meier)

  • 이성훈;박용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97-105
    • /
    • 2006
  • Richard Meier has earned his recognition by developing his unique design approach and keeping consistency in design concept in museum architecture over the years of his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 spatial organization based on actual site visit analysis. This study will mainly focus on the museums Richard Meier designed between 1979, which is the year he started, until 1997 which is the year Getty Museum open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Museum of Applied Art, Frankfurt(1979-85), High Museum of Art, Atlanta(1980-83), Museum of Contemporary Art, Barcelona(1987-95), and The J.Paul Getty Museum(1984-1997) have been selected for analysis. This study will reveal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Richard Meier's architectural philosophy through his early residential projects and giv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white architecture' Close analysis will continue by reviewing four museums selected specifically for this study and focus more from the point of issues such as; 1)applying various axis in space programming, 2)symbolic significance of exhibition space, 3)hierarchy of each space, 4)desig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 Furthermore, quantitative research on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will be done by Space Syntax theory method.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be a significant data in designing a modern museum.

한·일 뮤지엄 휴식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seum's Rest Area in Korea and Japan)

  • 조슬아;고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48-259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뮤지엄을 대상으로 관람객의 피로도를 감안한 뮤지엄 공간이 구성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피로도 저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가를 대표하는 국공립 기관으로 한국의 국립현대미술관의 서울관, 국립중앙박물관과 한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문화적 유사성이 높은 일본의 국립신미술관, 도쿄국립박물관을 선정했다. 연구방법은 1차 조사로 뮤지엄 평면도 분석과 2차 조사로 관람객 동선 추적 조사를 실시했다. 분석결과 관람동선 내 휴식공간이 있고, 휴식공간의 배치와 조망권이 좋은 곳은 도쿄국립박물관과 국립신미술관이며, 관람동선 내 휴식공간이 배치되어 있지만 동선상의 휴식공간의 배치와 조망권이 좋지 않은 곳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이다. 마지막으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관람동선 외 휴식공간이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휴식공간의 조망권도 좋지 않은 곳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각 뮤지엄에서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뮤지엄 피로도를 완화해줄 수 있는 관람동선을 고려한 뮤지엄 공간계획과, 휴식공간의 공간요소에 적합한 공간배치와 시설계획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동시대 미술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 현황과 지원 방안 (A Support Plan for the Documentation of Contemporary Artists' Work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Current Situation)

  • 김송이;설문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31-256
    • /
    • 2024
  • 이 연구는 국내 동시대 미술작가들을 대상으로 개인기록의 생산 및 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 등 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에 필요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동시대 미술에서 작품활동 기록화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지원 동향을 문헌 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둘째,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활용하는 동시대 미술작가 6명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작품활동 과정별로 기록 생산 현황을 조사하였고, 기록유형별로 관리실태를 조사하였다. 셋째, 조사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작가, 미술관, 아키비스트 등이 작품 기록화를 위하여 협력, 지원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지원 영역은 교육프로그램의 제공, 미술관의 작품활동 기록화, 기록화를 위한 도구 개발 및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공예라는 전통과 캐논의 성립: 고미술과 미술공예 (The Invention of Tradition and Canon in Korean Crafts: Antiques and Art Craft)

  • 노유니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28-141
    • /
    • 2020
  • 이 논문은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와 일련의 사업을 통해 한국에 미술공예 개념이 수용된 과정과 그 과정에서 성립된 공예의 전통과 캐논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고적 및 유물 보존규칙」과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 보존령」의 제정을 통해 법률상으로 제시된 공예는, 조형물을 만들어낸 정교하고 뛰어난 기술, 더 나아가 회화, 조각과 같은 미술의 한 장르를 의미했다. 이왕가박물관과 총독부박물관은 미술공예라는 용어를 대중에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고, 여기에 전시된 공예는 과거의 전통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하였다. 이와 같이 공예라는 용어는 고미술을 가리킬 때 빈번히 사용되었고, 구체적으로는 법률상의 보물로 지정되거나 박물관에 전시되어 지키고 보존해야 할 전통이 되었다. 공예의 전통과 캐논이 성립되자 당대에 제작되는 공예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일련의 과정에는 일본의 문화 정책과 제국적 취향이 절대적으로 작용했다. 일반적으로 근대기에 성립된 공예 개념은 산업으로서의 공예와 미술로서의 공예, 두 가지로 구분되어 왔으나, 미술로서의 공예라는 개념 안에도 여러 층위가 존재했다. 캐논이 된 고미술은 동시대 제작의 준거가 되었으며, 실제로는 동시대에 제작되던 공예의 양상도 모두 같지 않았다. 이제까지 일괄적으로 논의되던 미술공예 개념을 세분화하는 작업이 공예에 있어서 '만들어진 전통'과 근대기 공예계의 양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미디어 기반 미술 정보 활용 방안 연구 - 미술 감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Art Information Based on Digital Media - Focusing on Art Appreciation Mobile Application -)

  • 허유경;박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19
    • /
    • 2016
  • 디지털 매체의 등장은 기존의 미술 정보 아카이빙(archiving)을 기준으로 관람객의 적극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관객들은 미술관이 제공하는 정보를 해석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술관이 구축해온 아카이빙 자료가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관객에게 유의미하게 전달 될 수 있는 정보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제공되는 디지털 기반 미술 정보 제공 서비스 중 모바일의 사례를 크게 후퍼 그린힐(Hooper-Greenhill, E)의 주제어를 기반으로 콘텐츠 맥락의 측면과 정보 전달 방식, 기능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후 분류된 세부 주제어들을 관람객의 감상 단계에 입각해 재배열 하였고, 재구성된 정보의 구조는 미술관이 주체가 된 정보의 유형화와 제공이 아닌 관람객의 이해 단계를 주체로 한 정보 구조를 구축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미술 정보 활용 방안은 향 후 웹을 기반으로 한 미술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실제적 서비스 구축의 구체적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시각예술자료 아카이빙을 위한 수집정책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lection Policy for Archiving Visual Arts Materials: Focusing 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 김수진;김순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59-187
    • /
    • 2024
  • 과거부터 현재까지 소장품 수집·관리는 미술관의 주요한 기능 중 하나로 미술관 업무는 자료보다는 작품에 치중되어 왔다. 그로 인해 시각예술자료는 그 중요성이 다소 등한시되는 경향이 있으며, 예산과 공간 부족 등의 지속적인 문제로 인해 자료의 수집과 관리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게다가 시각예술자료의 유형과 출처 및 유통방식 등에 따른 특수한 성격 때문에 수집에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방안이 수집정책의 수립이다. 하지만 시각예술자료를 수집하는 국내기관 대부분이 수집정책이 부재한 상태에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의 대표적인 미술관인 국립현대미술관의 시각예술자료 수집 현황을 살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외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 후, 시각예술자료 수집 업무를 개선하기 위하여 현행 규정의 정비와 수집정책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미술계뮤지엄의 다층화에 따른 동선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유럽 소재 뮤지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irculation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 multi-floored Art Museum - With reference to art museum in Europe -)

  • 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07-116
    • /
    • 2010
  • In Europe, traditionally the low-rised buildings for public art museum have been constructed since the 18th century like any other buildings and these are because of the technical issue for construction difficulty. Even if the low-rised art museum buildings are still continued for it's construction, gradually the high-rised art museum buildings begin to be buil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technology in high-dense modern urban space. This tendency of high-rised art museum building in recent years is expected to affect on the interior space of it and most of all the spatial change in conjunction with circulation system variation is remarkable. Because the circulation system in art museum means tourist's spatial experience and it normally controls the experience of knowledge in art museum.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multi-floored art museums in Europe affect to the spatial structure and how this is related to the circulation system. And also the study raised an issue on what it's social meaning is. Through these analysis the study can provide the meaning of multi-floored art museum and basic indication in art museum planning. To understand this, the study calculated the number of stories, number of vertical circulation and number of ring-structure space. Also the study tired to use space syntax tools, which are connectivity, integration value, integration value in major space, integration value in vertical circulation and intelligibility value. those tools alculated topological transfiguration of the whole space.Throughout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influence of high-rised art museum in Europe changed the spatial structure and circulation system. The topological center of art museum that has been the grand space since 18th century changed to the vertical circulation due to the it's roll of distributing visitors to each floor. It became a starting point of spatial deployment and experience in art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