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ing desire of sport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스포츠 소비 욕구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특성과 스포츠 의류 추구혜택 특성 (A Study on Lifestyle and Sportswear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Consuming Desire of Sports)

  • 조선명;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8-43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subdivide sportswear consumers according to consuming desire of sports 2)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lifestyle and sportswear benefits sought.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from 312 consumer who have been purchased sportswear and living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portswear consumers were divided into four segments: sports mania, attractive body pursuers, passive followers, mind purifiers. 2) Six realms of lifestyle such as clothing, food, home & interior, leisure life, consumption and sense of values were factor-analysed separately, and lifestyle factor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gments are I) fashion ostentation in the realm of clothing ii) western style, health-oriented in the realm of food, iii) sports life enjoyment, sociable life, hoped-for foreign travel in the realm of leisure life, iv) brand oriented, price comparison, sale goods preference in the realm of consumption, and v) realist, interpersonal skills, strong personality, individualism in the realm of values 3) Five factors of sportswear benefits sought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gments are comfortability/practicality, ideal body/good-looking, individual character, fashion! ostentation, and brand oriented.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여가시간활용과 바우처사업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부여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Leisure Time and Service Satisfaction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Focused on Buyeo)

  • 전병진;이재신;권미화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35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바우처사업 서비스 만족도와 여가시간사용을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서비스 선호도를 고려한 여가시간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여군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인들의 특성에는 성별, 배우자 유무, 건강수준, 학력, 월 생활비, 자녀수, 직업 등의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삶의 질,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t-검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의 여가활동에 대해 조사한 결과, TV시청하기, 친구만나기, 전화통화하기 등의 정적인 활동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있었으며, 바우처 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노인구강관리 서비스, 건강검진 서비스, 스포츠마사지 서비스 등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에 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농촌지역 노인의 의미 있는 여가시간활용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건강관련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강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여가활동에 대한 경험 및 지식습득의 기회를 제공하여 의미 있는 여가시간을 증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