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sumer sensibility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Emotions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Product

  • Jeong, Sang-Ho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8 no.4
    • /
    • pp.47-58
    • /
    • 2015
  • Due to recent interest in user experience and its significance, much research surrounding this theme is now being conducted. If user experience is defined as the emotions and satisfaction the user feels while using the product, how much of such experience will contribute to the overall satisfaction of using the product? In this research, user experience during usage of a product and the satisfaction acquired by it were investigated. The sam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order to get more generalized experimental results. Amongst the six representative user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Satisfaction in Usability', 'Discomfort or Displeasure', and 'Excellence' correlated the most. The above three factors were found to be of the most influence concerning satisfaction of the product. The significance of this finding is that aside from focusing on the attractiveness of the product's exteriors and design, one should be concerned on the ease of usage and effectiveness as well as usability of the product, all of which contribute to how efficiently a consumer will utilize the product.

A Study of feature-Extraction from the Specifically Intoned Product Design (제품의 특성추출을 통한 디자인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 Jo, G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9-14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목적을 가진 제품들의 특성들을 파악하여 디자인 개발시 이러한 특성들을 제품 컨셉 또는 디자인 형태에 응용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실험 대상을 설정하였고, 실험 대상을 선택한 후 실험 대상에 관한 기초 설문과 실험 대상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 대상의 디자인과 기능적 요소를 추출하여 코딩하였다. 그리고 실험 대상의 이미지분석 후 얻은 요소와 실험 대상의 요소의 관계를 증명하였으며, 실험 대상의 특성 추출을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험 프로세스를 거쳐 특정한 제품에 특성들을 추출함으로써 디자인 개발 시 소비자 니즈의 분석이 가능하며, 제품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디자이너가 제품을 쉽게 이해하고 디자인 개발 시 컨셉 설정에 큰 기초가 된다. 본 연구의 MP3의 경우 MP3의 이미지 분석 결과 음악성, 확장성, 휴대성, 사용성, 신체 부담감, 인터페이스, 그리고 개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과 각각 연관된 특성들을 찾았다. 이로써 MP3를 디자인할 때 중요 특성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초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소비자 니즈 파악이 가능하고, 디자인 기초 학문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 PDF

Structural model of consumer preference and related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선호감의 구성자원 모형과 관련 물성변인; 직물의 접촉특성을 중심으로)

  • 김우정;이정순;홍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53-5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스테르와 실크 블라우스 직물 6종을 사용하여 직물에 대한 선호 감각을 분석하고, 이러한 감각 속성들을 정향화 하기 위한 직물의 물리적 요소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추출된 감각들이 어떤 인과관계의 경로를 거쳐 최종 선호감성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해 감각의 구성차원 모형을 검증하였다.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선호감각이 촉감에 영향을 받으며 촉감은 직물의 표면특성감과 습윤감이 중요한 1차적 감각이었다. 태는 유연감에 영향을 받는 복합적 감각이었으나 최종 구매시 선호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관련 표면 불성 변인으로는 영상처리를 통한 fractal차원과 총접촉면적이 SMD, MIU 및 MMD보다 더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A Presentation of Guidelines for Layout Techniques in Design of Floral -patterned Scarves based on an Analysis of Consumer Emotion : Part I (소비자 감성분석을 기반으로 한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기법 제안: 제 1보)

  • 조현승;이주현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2
    • /
    • pp.23-33
    • /
    • 1998
  • 본 연구의 제 1보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두 레이아웃 변인 (모티브 크기와 반복 배열 방식)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이러한 분석결과를 시장현황 조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 2보네서는 제 1보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을 위한 지침과 디자인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기법이 감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스카프 디자인에 있어 레이아웃 기법 전개에 관련된 실증적 지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사변적 또는 미학적 접근이 주류를 이루었던 기존의 스카프 디자인 연구 분야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감성과학 이론이 섬유 제품 디자인 개발에 유용한 방편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에 관한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 PDF

Sensory Engineering Model in Search of Emotion-Specific Physiology -An Introduction and Proposal (정서특정적 생리의 탐색을 모색하는 감성공학의 패러다임과 실천방법)

  • 우제린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4 no.2
    • /
    • pp.1-13
    • /
    • 2001
  • Emotion-Specific Physiology may still remain to bean elusive entity even to many of the proponents and seekers, but an ever-growing body of experimental evidence sheds much brighter prospects for the future researches in that direction. Once such Emotion-Physiology pairs are identified, there exist a high hope that some Sense-Friendly Features that are causally related, or highly correlated, to each pair may be identifiable in the nature or man-made objects. On the premise that certain emotions, if and when engendered by a consumer good, may be conducive to an urge “to own or to identify oneself with the product”, presented here is a model of Sensory Engineering that is oriented objectively towards identifying the Emotion-Specific Physiology in order to have the Sense-Friendly Features reproduced in product designs. Relevant and complementary concepts and some suggested procedures in implementing the proposed model are offered.

  • PDF

A PSYCHOPHYSICAL STUDY ON WEIGHT SENSITIVITY BY THE FOOT AND HAND

  • Nah, K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6-80
    • /
    • 2001
  • The weight of shoes may serve as a determining factor of perceived comfort and feel to the consumer in their purchase and repurchase decisions of footwear. People, however, seem to have trouble in accurately judging the feeling of weight of shoes on their feet. This paper made a psychophysical study of subjects′ sensitivity to weight on their feet and in their hand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3 tests according to the motions people make when they evaluate the feel of shoes: 1) vertical lifting of a shoe on the foot ("hefting" in on the foot) 2) swing the shod foot back and forth; 3) holding and lifting a shoe by hand ("hefting" it in the hand). The method of constant stimuli and magnitude estimation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with 20 subjects. Weber′s ratios and the power law exponents obtained for each of the three tests were 0.156 and 0.713, 0.108 and 0.970, and 0.065 and 1.249, respectively in the same order of the previously listed tests.

  • PDF

Extract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for Integrated Interface Construction of the Network Electronics (네트워크 가전의 통합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조작방법의 특성 추출)

  • Hong, Sang-Hui;Kim, Hye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102-105
    • /
    • 2008
  • 본 연구는 근미래에 실현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되는 홈 오토메이션 시대에 대비하여, 유저의 사용편의성 향상과 메이커 입장에서의 디자인전략 수립을 위한 홈 네트워크 정보가전의 통합형 유저 인터페이스 구축을 목표로, 대표 메이커의 홈 네트워크에 대한 현황파악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테이션 의존형 시스템 구축', '조작성의 향상', '기기 간의 친화성 향상'의 필요성 규명과 함께, 네트워크 가전의 인터페이스 구축의 개념 모델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유저 인터페이스의 통합화가 가능한 기종의 선별과 네트워크 가전으로서의 조작방법상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총 34개 제품에 대한 38가지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 가전제품은 크게 4가지의 조작방법에 따른 총 7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중 Full Control과 Remote Control, Non Control, Simple Control, Direct Control의 5개 그룹에 속하는 정보가전제품들이 홈 네트워크 가전에 적합하며, 공통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그 제품군들의 통합형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공통조작 요소로 Direct Control과 Simple Control, Non Control이 적합하다는 점도 규명했다.

  • PDF

Exterior Design of Electric Vehicle Using Web Based Human Sensibility Assessment (Web 기반의 감성평가를 활용한 전기자동차 익스테리어 디자인)

  • Jang, Phil-Sik;Choi, Chool-Heon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
    • v.25 no.4
    • /
    • pp.63-69
    • /
    • 2006
  • Consumer satisfaction and feelings with form play an essential role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a product. However, contemporary industrial design processes typically employ designer driven, intuitive methods for generating and evaluating form concepts. This paper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web based design support system that helps assess customer's feelings or sensibilities of forms created in each stages of design process. The present web based approach provides designers with fast and various feedbacks about their design in each stage by using assessment with object VR and web 3D as well as ordinary 2D images. Practical application for exterior design of electric vehicle was illustrated and the further refinement of the design support system was discussed.

Sensibility Ergonomics : Research and Application for Consumer Products Development (감성공학의 연구와 제품개발에의 응용)

  • 이구형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04a
    • /
    • pp.59-63
    • /
    • 1993
  • 감성공학은 "인간이 제품이나 주변환경에 대하여 감각기관으로 부터 받아들인 각 종 정보자 극과 개인의 판단을 통하여 갖게되는 복합감정으로서의 감성을 측정, 분석하여 제품이나 환경을 인간의 생활에 편리하고 안락하며 만족스럽게 개발하는 전체과정" 이라고 정의 되었다. 이러한 감 성공학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영문명칭으로는 "Sensibility Ergonomics"가 제안되었으며, 감 성공학의 정의에 따르는 연구의 내용에는 인간의 감각(sensing)과 인지(perception), 감각정보처 리(information processing), 정신적 작업부하(mental workload)와 스트레스, 인간복합감정변화 등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특히 감성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심리학 (experimental psychology)과 심리생리학(psychophysiology)등의 실험연구가 강조되었다. 동일한 감각 또는 정보자극에 대한 개인별 감성변화의 차이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제반 인체의 특성과 함께 인종, 지역, 환경, 전통등을 포함하는 생활문화 연구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렇게 사용자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감성공학적으로 개발된 제품을 "High Culture" 제품이라 명명하였다.High Culture" 제품이라 명명하였다.명하였다.

  • PDF

Search for the Education of High-Tech Emotional Textile and Fashion (하이테크 감성 섬유패션의 교육 방향에 대한 모색)

  • Youn Hee Kim;Chunjeong Kim;Youngjoo Na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6 no.3
    • /
    • pp.69-82
    • /
    • 2023
  • High-tech sensibility textile and fashion, in which consumers' emotions and various textile and fashion technologies are converged, is an important industrial group.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in practice by gathering the creative by understanding other fields and exchanging ideas through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the field of emotional engineering.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llaboration, talent must be nurtured of individuals who would lea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as well as the creative convergence-type intellectual ability necessary for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o determine content-creation methods, basic research is conducted.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on the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process of the emotional textile-fashion industry worldwide. To nurture talents in the textile and fashion sensibility science, the basic contents are created to manage the knowledge that delivers sensibility science and the ICT related to this field, as well as in the intensive, PB-style conceptual design based on sensibility. The process from derivation of consumer emotion analysis and product development can be experienced through smart kit practice. Moreover, various methods are developed to set up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generated while developing ICT convergence products as start-ups. The study also covers new knowledge rights to develop emotional textile fash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