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Value Perception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1초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가치 인식 연구: 신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 Value Perception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Focus on Smartphone Brands)

  • 김형중;김진화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3-146
    • /
    • 2017
  • 소비자들이 SNS에 공유하는 정보는 소비자들의 구매나 선택에 대한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자 가치를 분석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가치 인식을 계량적으로 분석해 보고자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광고전략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스마트폰 브랜드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과 긍 부정 이미지 분석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 가치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별 소비자의 가치 인식에 대한 감성적인 측면과 이성적인 측면에서 차별적인 내용을 선별할 수 있었다. 갤럭시 S7과 아이폰 6S의 경우 출시일 이전에는 감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출시일 이후에는 이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LG G5의 경우 출시일 이전이나 이후 모두 감성적인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가치 인식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적인 광고전략 2가지 안을 제안할 수 있다. 갤럭시 S7의 경우 광고전략 개발 시 제품속성에 대한 성능이나 차별화된 기능 등 이성적 측면을 강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LG G5의 경우 광고전략에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느껴지는 행복감, 설레임, 즐거움, 재미 등의 감성적 측면을 광고전략 개발에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 가치 분석을 통해 실제 광고전략에 좋은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고전략은 주로 직감이나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의 가치 인식 분석으로 광고전략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시사점을 안겨 줄 것으로 판단한다.

브랜드애호도에 따른 가격할인율의 차이가 소비자의 획득가치와 거래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ce Discount Rate According to Brand Loyalty on Consumer's Acquisition Value and Transaction Value)

  • 김영이;김재영;신창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247-269
    • /
    • 2007
  • 현대에 있어 동질적인 품질과 편익을 제공하는 제품을 가지고 다수의 기업들이 시장점유율 증대와 고객확보를 위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가격할인은 기업이 즐겨 사용하는 촉진수단이다. 가격할인은 단기적 매출향상, 소비자의 브랜드전환, 신제품의 시장침투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실제로 과거의 실증연구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가격할인이 판매증대에 효과적이며 가격할인은 소비자의 지각가치를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하지만 할인된 가격은 제품의 품질을 의심하게 하거나 낮게 평가하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모든 제품카테고리와 모든 구매상황에 대하여 가격할인이 소비자의 지각가치를 향상시킨다고 볼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애호도의 차이가 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가격할인율에 따라 소비자의 지각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함으로서 브랜드애호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브랜드애호도가 강한 제품에 대한 지각획득가치와 지각거래가치는 가격할인율이 낮을 때 보다 큰 경우에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브랜드애호도가 강한 경우에는 가격할인에 의한 지각희생의 감소량이 크지 않았고 브랜드 자체에 대한 신뢰도와 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가격인하가 브랜드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브랜드애호도가 약한 제품에 대한 지각획득가치와 지각거래가치는 가격할인율이 낮을 때 보다 큰 경우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브랜드애호도가 약한 경우에는 제품으로부터 획득하게 되는 편익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가 낮은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보면 가격할인이 클 때에 제품의 품질과 편익을 더욱 평가절하하거나 심리적으로 지각희생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지각가치가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의류제품의 E-충성도 형성 과정과 소비자만족 (E-loyalty formation process and satisfaction for apparel products)

  • 박은주;김세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185-1198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loyalty formation process and satisfaction for apparel products by testing the research model developing upon prior research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wo groups (high satisfaction group and low satisfaction group). A total of 356 respondents participated through a convenience sampling at universities in Busan. Data were analyzed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for the structural model, the attributes of shopping malls (e.g., e-store attributes and product attributes) affected consumer satisfaction which influenced the e-loyalty of shopping malls, mediated by value perception. Second, high-satisfaction group evaluated more importantly the attributes of shopping malls, higher perceived the value of products and web sites, more satisfied the mall, and had greater loyalty of online shopping malls than low-satisfaction group.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satisfaction group and low-satisfaction group in the e-loyalty model for apparels. Specifically, for high-satisfaction group, the e-store attributes were more likely to influence the value perception of products and web sites than low-satisfaction group, while low-satisfaction group was the higher perceived the value of products, the more they satisfied and then the greater e-loyalt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related to e-loyalty of shopping malls for apparels are provided.

How a Luxury Brand Can Enhance its Product Attractiveness in Retail Environment?

  • Ahn, Sungsook;Lee, Jeonghoon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2호
    • /
    • pp.5-11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status perception and interest in social issues on the authenticity perceived by consumers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of premium brand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ehavior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observe the impact of consumers' social status perception and interest in social issues on their perceived authenticity of CSR motivation related to premium brands and consumer behavior. Results - We found that the possibility of social mobility and the degree of individual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CSR enable them to reconsider the authenticity of CSR motivation, thereby having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willingness to recommend the product, and brand value. This research also showed that proactive customers who seek to move up the social ladder have a stronger interest in social issues such as the environment or CSR. Conclusions - Our research suggests that when conducting a consumer segmentation analysis for the launch of CSR products (products released for CSR), a positive mind-set toward social mobility serves as an effective criterion.

스웨덴 대학생과 유고슬라비아 이민자 대학생 사이의 아시아 음식에 대한 인식 비교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Asian Food by Native Swedish and Yugoslavian Immigrant University Students in $V{\ddot{a}}xj{\ddot{o}}$, Sweden - with a focus on Thai, Chinese, Japanese and Korean Food -)

  • 이경란;이종미;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51-456
    • /
    • 2009
  • When globalizing Korean food, it is important to conduct regional consumer research before entering the market so that an effective market strategy can be develop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erceptions regarding Thai, Chinese, Japanese and Korean food between Swedish and Yugoslavian university students in $V{\ddot{a}}xj{\ddot{o}}$, Sweden, where regional market research is lacking. As immigration increases worldwide, comparison of consumer perceptions of immigrants and domestic individuals will provide meaningful insight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areas where immigrant populations are increasing rapidly. In this study, six attributes of Asian food, fresh vegetables, low fat, chicken and sea food, exotic ingredient, value for money and unknown food, were compared. The perception of fresh vegetables and low fat of Chinese food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two groups. Because both of these attributes are health relat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ecipe modification may be necessary to adapt to the preferred taste of target customers in this prospective market.

대학생의 소리자 비윤리 지각과 행동 및 관련 변수 -김해시 대학생소비자를 중심으로- (College Students' Consumer Non-ethics and Related Factors)

  • 제미경;서정희;김영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91-901
    • /
    • 2004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nsumers' non-ethical perceptions and behaviors, and to explore related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variables, idealism and relativism.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by surveying 237 college students from 10th through 24th of October, 2002 in Kimhae city. We conducted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using percentiles, frequencies, mean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Consumers' non-ethical perceptions and behaviors were measured by modifying Consumer Ethics Scale(CES, Muncy & Vitell, 1992). The CES scale comprises 4 sub-factors: actively benefiting from illegal activity(CES1), passively benefiting(CES2), actively benefiting from questionable action(CES3), no harm/no foul(CES4). Average scores of consumers' non-ethical perceptions and behaviors marked below a mid-value, which means that most of the students are basically ethical. The related variable of consumers' non-ethical perceptions was idealism. The related variables of consumers' non-ethical behaviors were idealism and the amount of discretionary money.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are basically ethical as a consumer. However, the results related with the CES4 sub-factor which includes consumer attitudes toward copyrights of consumer softwares and music CDs tell us that they are relatively non-ethical. This claims an importance of consumer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in regards to intellectual property.

  • PDF

셀프서비스기술 환경에서 기술난이도와 안전성 지각이 고객가치인식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chnology Difficulty and Safety Perception on Customer Value Perception and Intention to Use Self-Service Technologies)

  • 복소양;유천연;고준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1호
    • /
    • pp.47-67
    • /
    • 2022
  • 컴퓨터와 인터넷 정보 기술은 현대 서비스 산업과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변화시켰다. 특히 COVID-19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셀프서비스 기술 등 연락 서비스 유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인건비 상승과 소비자 자기인식 제고로 업무 일부를 자체 서비스 기술을 통해 고객에게 이전하는 기업이 늘고 경영환경 속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1) 셀프서비스기술 환경에서 기술난이도와 안전성 지각이 고객 가치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2) 고객 가치 인식은 셀프서비스기술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끼치는가? 본 연구는 327개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셀프서비스 특성인 기술난이도와 안전성 지각이 고객가치 인식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고객이 가치를 인식하고 셀프서비스 기술 사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고객의 가치 체험이다. 셀프서비스기술 환경에서 고객이 가치를 인식하여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는 그동안 거의 없었던 바, 본 연구는 고객의 체험가치가 높을수록 셀프서비스 기술을 선호하고 지속적인 이용의도가 높아짐을 실증하였다.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유형 연구 (Consumers' Perception of Intelligent Vehicle)

  • 김기범;이혜정;이정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405-420
    • /
    • 2018
  • 지능형 자동차 시장은 초기단계로 소비자들을 위한 관련 기술 및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어 잠재 소비자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관성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지능형 자동차 잠재 소비자들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능형 자동차의 핵심기술, 기술수용 및 개인 소비가치, 법제도와 정책 및 사회적 인식을 준거의 틀로 하여 총 36개의 Q표본을 구성하였다. 이 후 39명의 P표본을 선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뒤 Q분류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잠재 소비자의 유형을 총 4개로 도출하였다. 첫 번째 유형은 지능형 자동차의 자동차 기능을 중요시하는 그룹으로 스마트 자동차(Smart Car) 소비자라고 하였다. 두 번째 유형은 지능형 자동차의 합리적인 경제성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그룹으로 합리적(Reasonable) 소비자라 하였다. 세 번째 유형은 지능형 자동차의 안전성을 중요시하는 그룹으로 안전한 자동차(Safety Car) 소비자라 하였다. 네 번째 유형은 지능형 자동차의 IT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그룹으로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소비자라 하였다. 응답자들은 공통적으로 지능형 자동차 운전자의 부상을 감소시키는 기능이 지능형 자동차 구매의 핵심 요소라고 대답하였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초기단계인 지능형 자동차 시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Role of Self-Construal and Emotionsin Younger Consumers' Commitment to Luxury Brands

  • Hwang, Ji-Young;Kandampully, Jay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4호
    • /
    • pp.604-615
    • /
    • 2012
  • Despite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value of emotions and younger consumers in luxury market segments,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role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emotions play in younger consumers' commitment to luxury brands. Drawing on the identity-motivation model and the idea of self-construal, this study identifies the contributing factors of younger consumers' commitment to luxury fashion brand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consumer characteristics (i.e., self-construal), the self-expressiveness of brands, and emotional factors (i.e., brand love and brand attachment) in developing consumer-brand relationship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college students in the U.S., which supplied a representative group of younger consumers of luxury fashion brand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web-based survey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ho were characterized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d positive perceptions of self-expressive luxury fashion brands. Furthermore, the perception of self-expressive brands promotes the consumers' brand love of and brand attachmentto luxury fashion brands. Also, while both improved brand commitment, brand attachment had a greater impact on brand commitment than brand lov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dentifying driving forces of younger consumers' brand commitment. It also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luxury fashion brands.

사이버대학교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 오프라인 기반 대학에 대한 소비자 지각을 중심으로 (A Study of Cyber University Core Competence: The Consumer's Perception about Off-line Base University)

  • 임양환;권순홍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127-138
    • /
    • 2008
  • To study about core capability which becomes the kernel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SCA) in cyber university which confronts competition-deepening circumstanc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brand and educational services of cyber universities which stand on the basis of offline university were examined. Moreover, core capability based on the importance of cyber university service was searched, and its strategic course were suggested. Within research processes, competition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y was forecasted, and importance to build up its core capability was examined. Moreover, conjoint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ree offline cyber universities. As a result of survey analysis, effectiveness of cyber university brand showed greater influence than othe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influence which affects consumer preference for cyber university. Therefore, to overcome weaknesses of brand asset in low brand power cyber university, establishment of strong core capability which reflects consumer preference is needed to carry out differentiation strategy or concentration strategy,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new competitiveness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