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우주 탐사선에서 파일 시스템의 역할 및 응용 기술 연구 (A study on the role and application technology of the space explorer)

  • 구철회;주광혁
    • 항공우주기술
    • /
    • 제12권2호
    • /
    • pp.91-98
    • /
    • 2013
  • LEO (Low Earth Orbit), GEO (Geosynchronous Earth Orbit) 위성을 비롯한 우주 탐사선의 컴퓨팅 환경은 지상의 내장형 시스템(Embedded System)과 동일한 범주로 간주될 수 있으며 개인용, 산업/서버용 컴퓨터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원시적이고 발전 속도도 더뎠다. 특히 개인 컴퓨터 및 서버/워크스테이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파일 시스템도 우주 탐사선에는 최근까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우주 탐사선에 파일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유럽 PUS (Packet Utilization Standard)와 CCSDS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커뮤니티의 관련 규격 제정 등 국제적 연구 개발 동향 및 우주 탐사선에 적용가능한 응용 기술 분야에 대한 연구 결과를 기술한다.

CCSDS 122.0-B-1 : 고해상도위성의 영상압축 기술 (CCSDS 122.0-B-1 : An Image Compression Technology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s)

  • 서석배;구인회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6권2호
    • /
    • pp.90-98
    • /
    • 2008
  • 최근 고해상도위성의 개발 및 활용이 활발해지면서, 데이터 전송 및 처리를 위한 영상압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CCSDS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에서는 고해상도위성의 영상압축권 고안인 CCSDS 122.0-B-1을 2005년 말에 발표했으며, 이는 향후 고해상도 위성의 영상압축에 널리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위성의 최근 동향을 알아보고, CCSDS 122.0-B-1 기반의 고해상도위성 영상압축 기술에 대해 설명하며, JPEG과 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기술한다.

  • PDF

FHLH를 매개로 한 심우주 우주선 원격 제어 신호 중계 (Relay of Remote Control Signal for Spacecraft in Deep Space via FHLH)

  • 구철회;김형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5-301
    • /
    • 2020
  • 심우주를 항행하고 있는 우주선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지상-우주선 간 비상 통신 채널은 우주선의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수정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복구 명령은 보통 길고 복잡한 명령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번들 라우팅에 기반한 지연 허용 네트워크 기술의 도움이 필요하다. 우주 패킷 프로토콜을 근간으로 구축된 심우주 우주선 통신 시스템은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우주 데이터 시스템 자문 위원회 커뮤니티에서는 first-hop last-hop 개념의 구체화 및 실용화를 시작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달 주변 환경에서 first-hop last-hop의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향후 지연 허용 네트워크 및 우주 패킷 프로토콜 간 중계 개념을 구체화하고 실용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달 탐사를 위한 우주통신에서 텔레메트리 링크에 대한 최대 전송속도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aximum Data Rate for Telemetry Links in Space Communications for Lunar Explorations)

  • 이우주;윤동원;이재윤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2-49
    • /
    • 2011
  • 달 탐사를 위한 우주 통신 하향링크는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높은 전송속도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달 탐사를 위한 하향링크 S, X, Ku, Ka 대역별로 CCSDS에서 권고하는 변조 및 채널 부호화 기법에 대하여 전송속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달 탐사를 위한 텔리메트리 링크에 대하여 최대 전송속도를 가지며 링크마진을 만족하는 변조 및 채널 부호화 기법을 제시한다.

아리랑 위성의 Command/Telemetry 시스템 (Command/Telemetry System of KOMPSAT-I)

  • 강수연;이종인;천이진;정창호;김진철;백홍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3)
    • /
    • pp.662-66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위성(KOMPSAT-I)에서 지상과의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CCSDS(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표준 Command/Telemetry(CMD/TLM)시스템과 KOMPSAT-I의 목적에 맞게 이를 적용한 CMD/TLM 시스템을 소개한다. 현재 한국항공우주 연구소는 Observer 회원 자격으로 CCSDS 에 가입되어 있으며 국내 위성 개발에서 CMD/TLM 시스템에 CCSDS프로토콜을 사용한 것은 처음이다.

  • PDF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Downlink in Space Communications System for Lunar Exploration

  • Lee, Woo-Ju;Cho, Kyong-Kuk;Yoon, Dong-Weon;Hyun, Kwang-Mi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11-20
    • /
    • 2010
  • This paper designs a data link between a Lunar Orbiter (LO) and an Earth Station (ES), and analyzes the downlink performance of a space communications system for lunar exploration, conforming to the recommendations by the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CCSDS). The results provided in the paper can be useful references for the design of reliable communication link for the Korean lunar exploration in the near future.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Scheme for Ka Band Space Communications

  • Lee, Jae-Yoon;Yoon, Dong-Weon;Lee, Woo-Ju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129-134
    • /
    • 2010
  • Rain attenuation can cause a serious problem that an availability of space communication link on Ka band becomes low. To reduce the effect of rain attenuation on the error performance of space communications in Ka band, an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ACM) scheme is required. In this paper, to achieve a reliable telemetry data transmission, we propose an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level using turbo code recommended by the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CCSDS) and various modulation methods (QPSK, 8PSK, 4+12 APSK, and 4+12+16 APSK) adopted in the digital video broadcasting-satellite2 (DVB-S2).

Simple Signal Detection Algorithm for 4+12+16 APSK in Satellite and Space Communications

  • Lee, Jae-Yoon;Yoon, Dong-Weon;Hyun, Kwang-Mi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221-230
    • /
    • 2010
  • A 4+12+16 amplitude phase shift keying (APSK) modulation outperforms other 32-APSK modulations in a nonlinear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channel because of its intrinsic robustness against AM/AM and AM/PM distortions caused by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a high-power amplifier. Thus, this modulation scheme has been adopted in the digital video broadcasting-satellite2 European standard. And it has been considered for high rate transmission of telemetry data on deep space communications in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which provides a forum for discussion of common problems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pace data systems.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mproved bits-to-symbol mapping scheme with a better bit error rate for a 4+12+16 APSK signal in a nonlinear AWGN channel and propose a simple signal detection algorithm for the 4+12+16 APSK from the presented bit mapping.

Interagency Operations Advisory Group (IOAG) Service Catalog 에 따른 국제 표준화 및 국내 적용 방안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nd Domestic Application Methods according to Interagency Operations Advisory Group (IOAG) Service Catalog)

  • 이정현;박덕종;안상일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2권2호
    • /
    • pp.137-145
    • /
    • 2022
  • 우주개발은 각국의 우주 기관에 의해 독자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는 기능별 중복 개발을 야기하여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에, 국제기관 간 상호 합의 하에 표준화, 규격화를 위한 IOAG(Interagency Operations Advisory Group)가 설치되었으며, 상호 기관 간 교차지원(cross support)을 통해 우주 자원을 우주 기관 상호 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OAG는 네트워크 레이어에 따라 Catalog#1, #2, #3으로 각각 정의되어 있다. 본 기술서에서는 IOAG Service catalog의 배경과 주요 내용, 그리고 국내 우주기술개발에의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Development and Testing of Satellite Operation System for Korea Multipurpose Satellite-I

  • Mo, Hee-Sook;Lee, Ho-Jin;Lee, Seong-Pal
    • ETRI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1-11
    • /
    • 2000
  • The Satellite Operation System (SOS) has been developed for a low earth orbiting remote sensing satellite, Korea Multipurpose Satellite-I, to monitor and control the spacecraft as well as to perform the mission operation. SOS was designed to operate on UNIX in the HP workstations. In the design of SOS, flexibility, reliability, expandability and interoperability were the main objective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 CASE tool,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recommendation, and a real-time distributed processing middle-ware have been integrated into the system. A database driven structure was adopted as the baseline architecture for a generic machine-independent, mission specific database. Also a logical address based inter-process communication scheme was introduced for a distributed allocation of the network resources. Specifically, a hotstandby redundancy scheme was highlighted in the design seeking for higher system reliability and uninterrupted service required in a real-time fashion during the satellite passes. Through various tests, SOS had been verified its functional, performance, and inter-face requirements. Design, implementation, and testing of the SOS for KOMPSAT-I is presented in this pap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