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vism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4초

Theoretical Discussion o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from Constructivists' Perspective

  • LEE, Soo Jin;SHIN, Jaeh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1-115
    • /
    • 2015
  • In the present paper, we argue any research concerning human knowledge construction, components, or types needs to clarify its epistemological stance regarding 'knowledge' in that such viewpoint might have much influence on the nature of knowledge the researcher sees and the way in which evidence for knowledge development is gathered. Thus, we suggest two alternative research groups who conducted their studies o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with an explicit epistemological standpoint. We finalize our discussion by reviewing concrete examples in the previous literature on teacher knowledge of fraction conducted by the two groups.

구성주의 지리교육의 실천적 구성을 위한 현장 연구 II (An Action Research for the practical construction of the constuctivist geographic education II)

  • 송언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1-160
    • /
    • 2001
  • 본 논문은 지리교육의 통합을 위한 논리적 토대와 준거틀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의 구성원리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지리교육이 삶과 삶의 터전을 위한 것이라면, 지리교육은 삶의 통합적인 모습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 2) 지리교육과정의 통합은 지역을 중심으로, 그 속의 지리적 현상을 주제로 간학문적.초학문적 통합의 장점이 조화된 통합 방식이 가장 적절하다. 3) 지역 중심의 주제를 통한 통합지리교육의 주목적은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삶의 터전 속에 내재된 지리적 의미를 찾아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며, 부차적으로 이 과정에서 관련된 지리적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4) 통합지리교육은 지역화 지리교과서 편찬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 PDF

Assessment of Students' Cognitive Conflicts and Anxiety

  • Kim, Yeoun-Soo;Bao, Lei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7-240
    • /
    • 2008
  • Cognitive conflict is well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conceptual change and is widely used in developing constructivism-based curricula. However, cognitive conflicts can also contribute to student anxiety during learning, which, when not properly addressed, can have negative impacts on students' motivation and achievement. Therefore, instructors need to be aware of the impacts of introducing cognitive conflicts in their instruction. We need a practical instrument that can help identify the existence and features of cognitive conflicts introduced by the instruction and the resulting anxiety. Based on the literature on studies of cognitive conflicts and student anxiety, we developed a quantitative instrument, the In-class Conflict and Anxiety Recognition Evaluation (iCARE), and used it to monitor the status of students' cognitive conflicts and anxiety in Physics by Inquiry (PBI) class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is instrument and present the types of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Research and pedagogical values of this instrument are also discussed.

한국의 수학 교육과정과 수학교육관 (On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nd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 김종명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3-52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역사에서 수학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으로 분석하여 수학교육의 철학적 근거와 수학교육관을 조사했다. 서양 수학교육 철학의 변화는 한국 수학교육과정의 다양한 관점과 변화로 이어졌다. 한국의 수학교육과정의 변화는 수학 교수법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또한 21세기 정보화의 시대에 대비하는 창의적인 인간을 길러내는 바람직한 수학교육과 수학교육관의 방향을 모색했다.

  • PDF

정보기술과 사회 공진화의 동태적 메커니즘과 정책적 함의 (A Thought on the Dynamic Mechanism of Coevolution between IT and Society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김상욱;김숙희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7권2호
    • /
    • pp.5-20
    • /
    • 2006
  • In the advent of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u-IT) as a new emerging horizon of information society, inflated expectations regarding u-IT are growing very fast and higher than those made in the past, which would perhaps result in serious bust after boom and incur tremendous amount of social costs. This paper thus investigates a dynamic mechanism underlying the coevolution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ety by applying systems thinking, particularly, with a focus on the typical phenomenon, 'hype curve' which shows how new technologies initially grow too fast for their own good, crashing from a peak of inflated expectations into a trough of disillusionment before stabilizing on a plateau of productivity. Three basic questions are explored to answer by investigating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boom-bust' phenomenon: First, why hype curve appears in the process of technology and society coevolution. Second, how to enhance the stabilization level. Third, when is the right time for the policy intervention.

  • PDF

U-러닝을 지원하는 컴퓨터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puter Supported Ubiquitous Learning)

  • 이진호;권기명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70-73
    • /
    • 2007
  • 무선 기술과 모바일 장치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점점 더 힘을 얻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두고 근래, 학습연구 분야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모바일 학습상황에 대해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조사의 저렴한 비용과 이동성과 그리고 커뮤니케이션뿐만 아니라 교육적으로도 인증된 학습효과와 사회 구성주의 때문이다.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컴퓨터의 개요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 결과 학습환경의 새로운 디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디자인되며, 그리고 관련된 연구동향은 어떠한지를 도출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 학습용 게임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Elementary Mathematical Games)

  • 강문봉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199-214
    • /
    • 2000
  • The constructivism is an important stream of the recent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order for students to construct their knowledge for themselves, above all, it should be a prerequisite that they participate in actively, Using games helps students to participate in learning mathematics actively. I think, up to now, mathematics teachers use games mainly for motivation and it does not connect to true learning mathematics through using games. S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developing the mathematical games connecting to mathematical contents closely, designing the teaching models to connect game activities to learning mathematics, and developing several teaching plans using games to mathematics class. In this study, I propose what conditions 'good' game should have, classify games as practice game, concept learning game, and strategy game, and develop 43 games from 1 to 6 grade. And I design the teaching models depending on the game types and develop the teaching plans.

  • PDF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온라인 협력학습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ccording to Learning Task Types)

  • 이성주;권재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95-104
    • /
    • 2010
  • 학습을 이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구성주의가 등장하면서 협력학습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교수와 학습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지원하는 테크놀로지로 온라인이 부각되면서 온라인 협력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하나의 주요한 요인인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협력학습 모형을 탐색하여 온라인 협력학습 실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과제를 문제해결과제와 지식학습과제로 분류한 후, 학습과제 유형별로 적합한 온라인 협력학습 설계와 환경, 그리고 학습과정을 살펴보았다.

ASP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용 컨텐츠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ASP Programming Efficiency)

  • 정남철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791-800
    • /
    • 2005
  • 본 논문에서 ASP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용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여기서 개발된 교육용 컨텐츠는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교수 학습 모델의 하나인 인지적 도제 모델을 적용하였다. 특히, 본 컨텐츠를 통해서 학습자는 멀티미디어로 만들어진 교육용 동영상을 통해 학습할 수 있고, 실제 실습 환경과 유사하게 실행되는 동영상의 예제에 따라 프로그래밍을 실습할 수 있으며, 주어진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스스로 이해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교육용 컨텐츠는 학습자 스스로가 프로그래밍 실습에 흥미를 가지고 학습을 유도하도록 개발하였으므로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창의와 인성 함양을 위한 수업척도 고찰에 관한 연구 - 중등 수학 수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riteria for Lessons that Build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 Focused on Secondary Mathematics Classes -)

  • 이은주;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4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the criteria for lessons that develop secondary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 mathematics classes. Literature used in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e.g., Core competenc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structivism education) and intent of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Lesson criteria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clude educa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real-world contexts, use of tools and resources,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problem-solving skills, teachers' attitudes, and the classroom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lement mathematics lessons that build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