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waste

검색결과 1,457건 처리시간 0.038초

Full System Decontamination by ASDOC_D-MOD Method

  • Im, HanSol;Schneider, Laura;Kong, ChangSig;Sohn, HeeDong;Chang, KyuHo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논문요약집
    • /
    • pp.468-469
    • /
    • 2018
  • PDF

폐콘크리트의 현장재활용을 위한 경제성 지표개밭 -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Economical Index for Site Recycling of Waste Concrete - A Case study at Hosing Development District -)

  • 정종석;이재성;조휘철;전명훈;이도헌;방종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46-154
    • /
    • 2007
  • 최근 재건축 및 재개발의 활성화, 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신도시 건설, 사회기반시설 확충 등의 증가로 건설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다. 급증하는 건설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03년 12월에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이 법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은 중간처리업체뿐만 아니라 건설공사현장에서 배출자가 직접 재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지구에서 폐콘크리트를 현장재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통하여 경제성을 분석하여 현장재활용의 타당성 여부를 규명하였다. 또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현장재활용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고 그 요소들에 따른 현장재활용의 경제적 손익분기점을 추정하였다.

주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저해요인 도출을 통한 현장 건설폐기물 처리 프로세스 개선 방안 (Disposal Process Improvement of Construction Waste through Identifying Factors Obstructing Reduction and Recycle of Construction Wastes)

  • 김재문;김지혜;차희성;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77-86
    • /
    • 2008
  • 최근 국내외적으로 친환경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건설 산업 측면에서도 친환경적인 생산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인해 건설폐기물 재활용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무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현장조사결과 '건설현장'과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폐기물 처리과정 및 처리방안이 상호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있지 못하여 폐기물 재활용 저해요소로서 작용하고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으로써, '건설현장'과 '폐기물 처리업체'의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폐기물 재활용을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광범위한 문헌조사를 통해 대표적인 건설폐기물 종류(폐 콘크리트, 폐 아스팔트, 폐 토사, 폐 벽돌, 폐 합성수지, 폐 목재)를 선정하였고, '건설현장'과 '폐기물 처리 업체'를 대상으로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여, 이들 개별 폐기물의 처리과정 조사를 통해서 폐기물 재활용 저해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전문가 면담 결과로 파악된 폐기물 재활용 저해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현행 건설폐기물 처리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재활용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iles made of paper board sludge

  • Velumani, P.;Manikandan, P.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285-294
    • /
    • 2020
  • Growth of any country rest in the consumption of industrial wastes for its infrastructure amenities. Countries like India positively desires a vital utilization of industrial waste resembling paper sludg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make various building materials. Also, it is the duty of all civil engineers or researchers to attach them in mounting new materials from the waste dumped as land fillings. In every construction project, about 70% of cost accounts for the procurement of materials. If this, can be minimized consequently the cost of construction will certainly be condensed. Research has established that the waste paper sludge can be reused in the construction field for a probable scope. The construction diligences munch through a massive quantity of non-renewable resources. On the additional dispense, more waste paper board sludge ends up in landfills or dumpsites than those recycled. Consequently, waste paper sludge for use as a construction material composes a step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Keeping this in mind an endeavor has been made to utilize paper board sludge acquired from the paper board industry and used with several pozzolanic and cementitious materials for a specific purpose. The addition of paper sludge has been varied from 0% to 20% by weight of cement. The tests done with the samples expose that four samples showed significant outcomes with remarkable strength and durability properties which guide to move for the next phase of research for producing lightweight tiles.

규사를 폐콘크리트 미분말로 대체한 PHC 파일용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Strength of concrete for PHC pile Replacing the silica to Waste Concrete Powder)

  • 서은석;정의인;김봉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10
    • /
    • 2015
  • Waste Concrete Powder will be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e of construction waste as recycled aggregate Waste concrete. The main component of the waste concrete Powder is a silica-based composition 51% SiO2, waste concrete cement-based composition Al2O3 10%, CaO 26% component are contained. The material is silica sand of PHC piles should experiment by replacing the Waste Concrete Powder. The compressive strength results are as follows. 25% when the Silica was replaced 32.5Mpa, when 50% have replaced 43.4Mpa, when 75% have replaced 45.3Mpa was measured. Compared with the non-replaced test sample it appears that the strength increases.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practical use of the PHC piles by replacing silica via this experiment is possible.

  • PDF

쓰레기자동집하시설의 악취저감대책에 대한 고찰 (A Study of Odor Reduction Method for Automatic Waste Collection Facilities)

  • 백경일;엄진석;나형용;한인섭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54-58
    • /
    • 2014
  • The method of residential waste and food waste collecting is changed into automatic waste collection(AWC) system from direct collection by human resource.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odour from AWC facilities, the structure of input facilities, conveying pipes and collecting facilities have been changed into closed and sealed construction to enclosed the facilities and collect odour efficiently. Based on cases and experiences, to treat variable odour matters which are caused by food waste, chemical cleaning method is preferable method to cope with odour caused by food waste.

Optimizing Urban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4D-GIS and Internet Plus

  • Wang, Huiyue;Zhang, Tingning;Duan, Huabo;Zheng, Lina;Wang, Xiaohua;Wang, Jiayua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Summit Forum on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 /
    • pp.321-327
    • /
    • 2017
  • China is experiencing the urbanization at an unprecedented speed and scale in human history. The continuing growth of China's big cities, both in city land and population, has already led to great challenges in China's urban planning and construction activities, such as the continuous increase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C&D) waste. Therefore, how to characterize cities' construction activities, particularly dynamically quantify the flows of build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debris, has become a pressing problem to alleviate the current shortage of resources and realize urban sustainable development. Accordingly, this study is designed to employ 4D-GIS (four dimension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nternet Plus to offer new approach for accurate but dynamic C&D waste management.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a spatio-temporal pattern and material metabolism evolution model to characterize the geo-distribution of C&D waste by combing material flow analysis (MFA) and 4D-GIS. In addition, this study developed a mobile application (APP) for C&D waste trading and information management, which could be more effective for stakeholders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Moreover, a cloud database was built in the APP to disclose the flows of C&D waste by the monitoring information from vehicles at regional level. To summarize,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basic data and management methods for the supply and reverse supply of building materials. Meanwhile, the methodologies are practical to C&D waste management and beyond.

  • PDF

폐콘크리트의 현장재활용 시 경제성 분석;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An Economic Analysis of Recycling for Waste Concrete;A Case study at Hosing Development District)

  • 고은정;이재성;정종석;전명훈;이도헌;방종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8-203
    • /
    • 2006
  • 최근 재건축 및 재개발의 활성화, 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신도시 건설, 사회기반시설 확충 등의 증가로 건설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다. 급증하는 건설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03년 12월에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이 법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은 중간처리업체뿐만 아니라 건설공사현장에서 배출자가 직접 재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다수의 건설폐기물은 중간처리업체를 통하여 재활용되고 있을 뿐, 건설공사현장에서 배출자에 의해 직접 재활용되는 사례는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장재활용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은 현장재활용에 따른 경제적 효과의 불투명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과정,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실태, 현장재활용 절차 및 과정 등을 조사 ${\cdot}$ 분석하고,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에서 폐콘크리트를 현장재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통하여 경제성을 분석함으로써 현장재활용의 타당성 여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현장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수립 및 현장재활용 여부를 판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자중계를 활용한 건설폐기물 수집·운반 차량의 과적 예방효과 연구 (A Study on the Overload Prevention Effect of Construction Wast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Vehicles Using On-Board Truck Scale)

  • 김종우;정영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44-44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의 발생에서부터 수집·운반 및 중간처리 또는 최종처리까지의 모든 단계에서의 폐기물의 중량을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차량탑재형 중량표시기(이하 자중계)를 운송차량에 설치하고, 여기서 얻어진 실시간 중량/위치정보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건설폐기물의 총량 및 재활용량을 관리할 수 있는 관제기술의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건설폐기물의 총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운송차량의 실시간 운송량, 운송거리, 운송시간 등을 관리하여 운행패턴 분석을 통한 물류운송 효율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과적의 발생 시 적재를 제어함으로써 사전에 과적운행을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