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Disaster

검색결과 1,477건 처리시간 0.025초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개선사항이 근로자의 안전보건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on the Promotion of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 이덕희;박종용;염희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568-578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진흥법의 규정을 파악하고,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개선을 통하여 근로자의 안전보건 증진방안 모색하여 중대산업재해 방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표본 대상 범위는 상시 근로자 50인(공사금액 50억원) 이상의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JAMOVI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분석결과. 근로자의 안전보건 활동 참여가 근로자 안전보건 증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건설현장의 근로자 안전보건 증진을 위하여 근로자의 안전보건 규칙 준수가 필요하고 근로자가 안전보건 활동에 참여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 review of rotorcraft Unmanned Aerial Vehicle (UAV)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in civil engineering

  • Liu, Peter;Chen, Albert Y.;Huang, Yin-Nan;Han, Jen-Yu;Lai, Jihn-Sung;Kang, Shih-Chung;Wu, Tzong-Hann;Wen, Ming-Chang;Tsai, Meng-Han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3권6호
    • /
    • pp.1065-1094
    • /
    • 2014
  • Civil engineers always face the challenge of uncertainty in planning, building, and maintaining infrastructure. These works rely heavily on a variety of surveying and monitoring techniques.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are an effective approach to obtain information from an additional view, and potentially bring significant benefits to civil engineering.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state of UAV developments and their possible applications in civil engineering. The paper begins with an introduction to UAV hardware, software, and control methodologies. It also reviews the latest developments in technologies related to UAVs, such as control theories, navigation methods, and image processing. Finally, the paper concludes with a summary of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UAV to seismic risk assessment, transportation, disaster response, construction management, surveying and mapping, and flood monitoring and assessment.

REQUIREMENTS FOR AUTOMATED CODE CHECKING FOR FIRE RESISTANCE AND EGRESS RULE USING BIM

  • Jiyong Jeong;Ghang Le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316-322
    • /
    • 2009
  • The more repetitive, complex and objective the work, the more effective automation is. Code checking is an example of this. Checking building codes through a thick set of drawings is error-prone and time-consuming.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several organizations have initiated efforts to automate building-code checking. Initiated study mainly focused on checking codes for invalidation, required size and crash, and then area of checkable codes have been expanding. But, it has not been considered for codes regarding anti-disaster/egress, which is also issued these days. This study is about how to automatically check codes for anti-disaster and egress based on Korea building codes. The codes can be categorized as five sections: egress way, material/capability, principals of evacuation, evacuation stairway and fire protection partition. To check automatically, there are problems, such as expression of codes for egress and limitation of extractable information from the BIM model. This paper shows what problems exist and assignments to be resolved. Also, current developing processes are presented, and suggestions are made about the direction for the work that remains.

  • PDF

국가 방재 자원 통합 운영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el of the national disaster resources)

  • 이창열;김태환;박길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58-364
    • /
    • 2013
  • NDMS의 경우, 정보는 해당 지역 자원에 한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타 기관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여러 기관 사이에 분산된 필요한 자원을 찾기는 쉽지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자원 관리 환경을 고려하여, 분산된 자원 관리시스템을 통합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것은 IDRM이라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중앙 시스템을 중심으로 연계하는 새로 모델이다. 본 시스템은 한국도로공사, 전북도청, 그리고 대한건설기계협회의 테스트 사이트를 통하여 연계성이 검증될 것이다. 이러한 검증을 거쳐서, 본 시스템은 장래에 운영 가능한 실제 시스템으로 될 것으로 기대한다.

AHP 분석을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건설 중 위험성 평가방안 연구 (Risk Assessment of Mechanical Parking Facility during Construction based on AHP Analysis)

  • 이정한;김용곤;이재원;김종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41
    • /
    • 2022
  • As the number of automobile registrations increases yearly, parking spaces that are located in downtown areas are increasing, and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are also increasing. Therefore, there is a high risk of accidents when installing and repairing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In the preceding six years (from 2012 to 2018), the statistics that pertain to accidental disasters indicated that a total of 137 disaster victims were generated by the construction sector, 33 accidents occurred, and 10 people died. However, only the safety management items pertaining to accidents that occur during maintenance work and the use of the installed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are being studied; furthermore, there is no ongoing research with respect to the risk management that is condu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In 2017,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announced the "Guidelines for Saf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however, it is a safety guideline that is limited to the installation of basic protective equipment and to facility installation. There is no model for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that is indicated in the "Risk Assessment Model by Construction Industry Type", which is issued by the Safety and Health Corporation and is widely utilized for risk assess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oreover, elevator installation work CODE N0: 22 is the only major example of a disaster. In this study, "risk assessment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was performed, and data was derived from the "risk assessment of Article 41 (2)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AHP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the risk assessment that is conducted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of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건설장비의 안전 솔루션 기술 동향 (Technological Trends in Safety Solutions for Construction Equipment)

  • 김용진;서명국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20권2호
    • /
    • pp.7-14
    • /
    • 2023
  • Negative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re prevalent due to the high accident rate at construction sites. Recently, with the gradual change of the perception in industrial safety, the demand for improving the safety level of construction sites has increased.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preparing various safety-level measures such as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and support for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costs. In addition, private industries are incorporating various safety equipment in the sites. This paper introduced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sensors and solutions currently applied to construction equipment and industrial vehicles. The technology development direction suitable for construction equipment was introduced by comparing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automobiles and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need to develop performance standards to protect and revitalize the market for safety devices for construction equipment was suggested.

재난현장 응급의료 시설자원 관리방안 (A Management Plan of the Resources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y at Disaster Site)

  • 송영섭;서상욱;윤유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6-53
    • /
    • 2019
  • 최근 화재나 지진 등의 대규모 재난에 대한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적인 재난의료대응을 위한 자원관리체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에서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으나, 응급의료시설관련 자원은 에어텐트와 음압텐트가 장비로 분류되어 관리되는 등 투입시점, 존치기간, 운송 및 설치 방법과 같은 시설특성을 반영한 관리체계는 구축되어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재난관리 공동활용시스템에서 자재와 장비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응급의료 시설자원을 고려한 응급의료 시설자원 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난현장 응급의료 시설자원은 장비로 분류되는 의료자원과의 복합적인 연계를 통해 관리되어야 하므로, 현재 자재와 장비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에서의 반영이 요구되며, 재난관리자원 투입에 따른 금액을 고려한 시설구축방안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계층분석법을 통한 지하차도 재해 예방 및 제어 시스템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isaster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for Underpasses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 김필도;김경수;문유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34-746
    • /
    • 2020
  • 연구목적: 지하차도의 설치 규모, 개수의 증가로 지하차도 내 화재, 침수 등의 재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하차도는 지하에 건설되어 재해 발생 시 일반도로 대비 피해가 크고 공용 중 재해 노출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지하차도 내 재해를 예방·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지하차도 내 재해 분석 및 영향요소에 관한 선행연구와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재해 영향요소 및 대안을 계층 구조화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전문가를 상대로 쌍대비교 형태의 설문에 활용하고, 개선순위 결정 등을 위해 AHP분석 기법을 사용 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조사는 일관성을 확보하였고, 재해(교통사고, 화재, 침수)와 대안(법, 제도/계획, 설계, 유지관리/인적/환경)을 상대로 가중치 등을 분석한 결과, 지하차도 재해 예방·제어를 위해 화재에 관한 법, 제도 분야 시스템개선이 최우선으로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전문가 견지에서 볼 때 지하차도 내 화재 관련하여 물분무시설, 외부(지상)대피통로와 같은 방재시설과 관계된 법, 제도를 강화하는 것이 지하차도 재해예방 및 피해 최소화의 대안임을 보여 주었다.

산불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Aerial Fire Line Construction Type on Forest Fire)

  • 배택훈;이시영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43-44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 중 대형 산불의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산불확산은 현장의 지세, 경사, 바람, 수종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공중진화 방화선을 구축할 때에는 연소방향 및 형태, 강도 등을 분석한 후 진화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며, 공중진화 방화선 형태를 A형에서 M형까지 13개로 제안하였다.

  • PDF

이동식크레인 작업의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표준 리스크 평가지수 개발(건설업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tandard Risk Indicators for the Prevention of Serious Accidents in Mobile Crane Operations(Focused on Construction Industry))

  • 최종국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8-229
    • /
    • 2023
  • 이동식크레인은 높은 사망률에 기여하는 기계로 최근 6년간(2016~2021) 사고사망사례 중 건설업 2,574건을 분석한 고위험 요인(SIF)정보에서 이동식크레인의 사고는 총 61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 현장의 안전대책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활용이 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를 제시하여 사고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