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CALS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62초

건설 CALS 시스템의 기능분석을 통한 활용성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Improvements by Function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CALS)

  • 강인석;한동호;박남진;문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441-450
    • /
    • 2011
  • 최근의 건설공사는 대형화되고 있고 복잡한 시설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사비와 공기관리를 위해 프로젝트관리시스템(PMIS)을 적용하고 있다. 국토해양부에서도 산하 공공 발주공사의 사업관리를 위해 건설 CALS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중에 있는 건설 CALS 시스템의 세부 기능 분석을 통해 적용 문제점을 도출하여 실무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는 개선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국토해양부 산하 5개청에서 발주되는 공사는 모두 건설 CALS 시스템을 PMIS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 기능은 제한적이고 소수의 실무진에 의해서만 활용되고 있고, 특히 CALS에 사용되는 각종 공사정보가 단편적 수치 정보로 구성되어 관리자의 정보 이해도 및 수준별 활용도가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ALS 시스템의 활용성 확대를 위한 새로운 기능들의 구성방안과 정보시각화를 위해 세부 기능별로 4D 객체 연동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웹을 기반으로 한 지방청 공사현황 정보시스템 구축 (The Regional Construction & Management Offic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Web)

  • 서명배;강의석;김남곤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4-89
    • /
    • 2003
  • For running various construction processing information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it is supplied by Construction CALS/EC systems properly during whole facilities life cycle. So it is urgently necessary to change Regional Construction 8t Management Office (RCMO) equipment construction administration business to electron processing system (CALS/EC). From construction work plan to completion, a present storage documents system is unsystematic. Therefore, it needs management system to store documents and to read in turn documents properly. This research suggest that it is to connect with various information systems and Construction CALS/EC for RCMO which is running public construction field. So it can be driven systematic and effective administration system about public construction business by Web-based present construction situation information system.

  • PDF

건설분야에서의 설계문서 DTD 개발 (A Development of Design Document's DTD in Construction Project)

  • 정성윤;김진욱;옥현;김성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469-1472
    • /
    • 2003
  • 본 연구는 도로, 하천, 댐 등 시설물 건설공사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보고서, 계산서, 내역서 등의 설계문서를 단순하게 전자화하지 않고 정해진 구성체계와 항목에 따라 전자화 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 표준체계를 정립하고자 DTD를 개발하였다. 아울러, XML을 기반으로 설계문서를 전자문서화하기 위한 개발 절차와 방법을 마련하였으며 건설분야에 설계문서 DTD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CALS/EC 표준 기반의 건축도면 자동 법규검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utomatic Building Code Checking System for Architectural Drawings Based on the CALS/EC Standard)

  • 김인한;최중식;조민상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315-32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automatic building code checking for architectural drawings in the web environment to enhance the utility of CALS/EC standard drawings and efficiency of construction industry business. To fulfil this aim, the authors seek to standardize the architectural drawing automatic checking system by linked drawing information to the STEP based CALS/EC standard format. Therefore, the automatic building code checking system can represent a way of uti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ion CALS/EC standard drawings and the related study as well as improve the efficient of the construction work by sharing a variety of drawing information.

건설CALS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Development Framework of Integrated Database for Construction CALS)

  • 권성현;문성우;이철규;백종건;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46-449
    • /
    • 2002
  • 건설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설사업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된 다양한 정보들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건설CALS 통합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핵심 성공 요인을 도출하고 공공부문의 정보화 사업과 데이터베이스의 조사를 통해 건설사업 수행에 필요한 연계 대상 정보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정보를 프로젝트 기반 정보와 일반정보로 구분하여 각각의 정보통합 방안으로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연계와 메타데이터를 통한 중계연계 방식을 제안하고 포탈환경의 건설CALS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건설CALS의 SWOT/AHP 분석 프로토타입 모델 (SWOT/AHP Analysis Prototype Model for Construction CALS)

  • 서명배;정인수;김남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05-508
    • /
    • 2007
  • 건설부문의 정보화를 선도한 건설CALS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단점이 있다는 전제 하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SWOT분석을 사용하여 건설CALS의 25개의 강점, 약점, 기회와 위협요인을 도출하고 각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해 SWOT/AHP분석을 적용하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향후 전략계획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었다.

  • PDF

건설CALS와 한국토지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도로점용료 산정업무 개선 방안 (The Improvement of the Road Occupation Fee Calculation using Connection of Construction CALS and KLIS)

  • 김영진;김병곤;김진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20-1522
    • /
    • 2011
  • 국토해양부는 정보화를 통한 건설사업의 투명성 및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3차 건설CALS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건설사업정보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 중 건설인허가시스템은 전국 개별공시지가를 이용하여 지방국토관리청에서 매년 3만여건(2010년 기준)의 도로점용료를 산정하고 부과하는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개별공시지가는 매년 초 공시하지만 토지소유자의 이의신청 등에 따라 변경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점용료를 재산정하는 등 대국민 민원행정 신뢰성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CALS와 한구토지정보시스템의 개별공시지가 실시간 연계를 통해 도로점용료 산정업무의 신뢰성 제고 및 업무효율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IMF 극복을 위한 기업의 CALS/EC 구축방안 (CALS/EC Construction for Corporate Restructuring)

  • Lee, Jang-Gyoon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1998년도 학술대회지 vol.1
    • /
    • pp.27-43
    • /
    • 1998
  • 현재, 우리 기업들에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경영 시스템의 구축이 요청된다. 본고에서는 그 대안으로 가치 창출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가치 창출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인 시장 효율성, 자본 효율성, 인재 효율성, 운영 효율성을 달성하는 전략적 대안으로서 CALS를 제시하였다. 우리 기업은 CALS 구축을 추진하여 정보 기술과 경영 기술들을 융화하여 조직간 협력기반 형태로 사업하는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창출하고, 그 과정에서 창출된 지식과 경험을 통해 자사내에 경쟁력 있는 경영 시스템을 재 구축해야 한다. 서로 다른 기업간에 협력적 기반하에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거의 없는 배타적 문화가 강한 현재 우리 기업의 여건상 CALS를 구축하는 데에는 전략적인 접근 방안이 필요하다. 그 방안으로 수직 통합화의 추구, CALS 추진 핵심 팀의 조직화, 제품과 프로세스의 동시 개발, 최고 경영자의 비전ㆍ전략 개발과 참여 구성원의 교육ㆍ훈련 실시가 필요하다.

  • PDF

공공 도로건설사업에서의 원격 현장모니터링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Remote Site Monitoring System in Public Road Construction Projects)

  • 옥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57-65
    • /
    • 2012
  • PURPOSES : Efficiency Improvement of a public road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work using the development of a real-time remote site monitoring system METHODS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remote site monitoring system using a web camera for road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RCMA(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 We can be monitored a construction progress and a weak point of the situation in real time using this. To achieve this, we tested about 10 road construction projects ordered by RCMA. Then, we verified a applicability for the site monitoring system in future. RESULTS : Take advantage of the remote site monitoring system consists of the Construction CALS System, one of the business systems used in the part of the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stitution-agencies. Was configured to be served through the "Construction CALS System" of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Contractors)" and the "Construction CALS Portal System". Through this, Benefit analysis through a pilot application of the 10 road construction sites and developing considerations and "Guide for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stallation-operating in construction sites"are presented. CONCLUSIONS :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emote site monitoring system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s. In addition, Various disasters and calamities, accidents and illegal construction will be prevented in advance is expected. This is expected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the facilities.

건설CALS/EC에서의 전자문서 표준 적용방안 연구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Document Standards tn construction CALS/EC)

  • 정성윤;최원식;옥현;김성진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0-96
    • /
    • 2003
  • 건설사업을 수행하면서 생성되는 각종 문서를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등 사업참여주체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교환 및 공유하기 위해 XML 기반의 전자문서 표준 체계를 정립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업에서 일관되게 XML 전자문서를 개발하기 위해 적용 방안을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