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ve surgery

검색결과 1,149건 처리시간 0.035초

Prognosis of Eight Chinese Cases of Primary Vaginal Yolk Sac Tumor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Tang, Qiong-Lan;Jiang, Xue-Feng;Yuan, Xiao-Ping;Liu, Yong;Zhang, Lin;Tang, Xiao-Feng;Zhou, Jia-Jia;Li, Hai-Gang;Fang, Jian-Pei;Xue, L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395-9404
    • /
    • 2014
  • Background: Primary vaginal yolk sac tumor is a rare malignancy in the pediatric population, and a diagnostic challenge and appropriate initial treatment remains unsolv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treatment and prognosis of this tumor. Materials and Methods: Eight cases of primary vaginal yolk sac tumor were reported with a literature review. Results: There were 4 pure yolk sac tumor cases and four mixed germ cell tumors containing yolk sac tumor element, including two cases with embryonal carcinoma and two cases with embryonal carcinoma and dysgerminoma. Partial vaginectomy was performed in four cases and all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85 cases in literatures were reviewed and 9 cases were misdiagnosed. Follow-up data was available in 77 cases and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87.6%. 5-year survival rate of biopsy with chemotherapy, conservative surgery with chemotherapy and radical surgery with chemotherapy was 91.1%, 100% and 28.6%, respectively (p<0.001). Compared to cases without relapse or metastasis after initial treatment, patients with relapse or metastasis had a shorter overall survival (35.6% vs 96.6%, p<0.001). Conclusions: Mixed germ cell tumor containing yolk sac tumor element was not uncommon and partial vaginectomy may be a good choice for primary vaginal mixed yolk sac tumor type to eradicate local tumor cells and provide complete information for pathological diagnosis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최근 10년간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한 하악 과두 골절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the Mandibular Condyle Fracture in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 최수지;이정근;송승일;김승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한 하악 과두 골절의 빈도, 원인, 골절의 임상적 양상 및 치료 방법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통해 연령에 따른 하악 과두 골절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방법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최근 10년간 아주대학교 치과병원에서 하악 과두 골절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만 15세 이하의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하악골 골절 중 하악 과두 골절의 빈도는 환아의 연령이 어릴수록 높았다. 하악 과두 골절의 원인으로 넘어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만 4 - 7세 군에선 과두부(condyle head) 골절이 91.7%를 차지하였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과두경부(condyle neck) 골절 비율이 증가하였다. 하악 과두 골절 환아의 54.5%에서 하악 정중부 골절이 동반되었으며, 정중부 골절이 동반된 경우 구치부 치아 손상 빈도는 하악 과두 골절 단독인 경우에 비해 높았다. 44명 환아 중 43명에서 보존적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양측 과두의 심각한 골편 변위를 가진 1명 환아에서 관혈적 수술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한 하악 과두 골절의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에 의미있는 자료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djuvant Radiotherapy after Breast Conserving Treatment for Breast Cancer:A Dosimetric Comparison between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and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 Liu, Zhe-Ming;Ge, Xiao-Lin;Chen, Jia-Yan;Wang, Pei-Pei;Zhang, Chi;Yang, Xi;Zhu, Hong-Cheng;Liu, Jia;Qin, Qin;Xu, Li-Ping;Lu, Jing;Zhan, Liang-Liang;Cheng, Hong-Yan;Sun, Xin-Ch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257-3265
    • /
    • 2015
  • Background: Radiotherapy is an important treatment of choice for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breast-conserving surgery, and we compare the feasibility of using dual arc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2), single arc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1) and Multi-beam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M-IMRT) on patients after breast-conserving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breast cancer (half right-sided and half left-sided) treated by conservative lumpectomy and requiring whole breast radiotherapy with tumor bed boost were planned with three different radiotherapy techniques: 1) VMAT1; 2) VMAT2; 3) M-IMRT. The distributions for the planning target volume (PTV) and organs at risk (OARs) were compared. Dosimetries for all the techniques were compared. Results: All three techniques satisfied the dose constraint well. VMAT2 showed no obvious difference in the homogeneity index (HI) and conformity index (CI) of the PTV with respect to M-IMRT and VMAT1. VMAT2 clearly improved the treatment efficiency and can also decrease the mean dose and V5Gy of the contralateral lung. The mean dose and maximum dose of the spinal cord and contralateral breast were lower for VMAT2 than the other two techniques. The very low dose distribution (V1Gy) of the contralateral breast also showed great reduction in VMAT2 compared with the other two techniques. For the ipsilateral lung of right-sided breast cancer, the mean dos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VMAT2 compared with VMAT1 and M-IMRT. The V20Gy and V30Gy of the ipsilateral lung of the left-sided breast cancer for VMAT2 showed obvious reduction compared with the other two techniques. The heart statistics of VMAT2 also decreased considerably compared to VMAT1 and M-IMRT. Conclusions: Compared to the other two techniques, the dual arc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technique reduced radiation dose exposure to the organs at risk and maintained a reasonable target dose distribution.

보존적으로 치료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연 경과 (Natural History of Conservatively Tre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안진환;서희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9
    • /
    • 2007
  • 목적: 동반 손상이 없는 급성 후방십자인대 손상에 있어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 후 자연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진단되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21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초기 진찰과 추시 관찰시 이학적 검사, KT-2000TM 관절검사(arthrometer) 및 후방십자인대의 연속성 정도(두께)를 관찰하기 위한 MRI 촬영을 시행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knee score와 대퇴 사두근 근력 정도, 수상 전 운동 능력으로의 복귀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이후 초기 진찰시와 추시 관찰시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보존적 치료를 한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연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평균 추시 기간은 22.7개월이었다. 결과: 초기 진찰시 이학적 검사에서 관찰된 후방 불안정성은 Grade I이 14례, Grade II가 6례, Grade III가 1례였으며, 추시는 Grade I이 18예, Grade II가 3예였다. KT-2000TM 관절검사는 초기 진찰시 건측과 평균 5.7 mm($3{\sim}12\;mm$)의 차이에서 추시에서는 평균 2.7 mm($0{\sim}7\;mm$)의 차이를 보였고, MRI 촬영을 통한 인대의 연속성 정도(두께)는 48.1%에서 69.7%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대퇴 사두근 근력은 평균Good등급이었고, 평균 IKDC knee score는 A등급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결론: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서 급성기 초기에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Bone cement grafting increases implant primary stability in circumferential cortical bone defects

  • Shin, Seung-Yun;Shin, Seung-Il;Kye, Seung-Beom;Chang, Seok-Woo;Hong, Jongrak;Paeng, Jun-Young;Yang, Seung-Mi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1호
    • /
    • pp.30-35
    • /
    • 2015
  • Purpose: Implant beds with an insufficient amount of cortical bone or a loss of cortical bone can result in the initial instability of a dental implant.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bone cement grafting on implant initial stability in areas with insufficient cortical bone. Methods: Two different circumferential defect depths (2.5 mm and 5 mm) and a control (no defect) were prepared in six bovine rib bones. Fourteen implants of the same type and size ($4mm{\pm}10mm$) were placed in each group.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was measured for each defect. After the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s were measured three times in four different directions, bone cement was grafted to increase the primary stability of the otherwise unstable implant. After grafting, the ISQ values were measured again. Results: As defect depth increased, the ISQ value decreased. In the controls, the ISQ value was $85.45{\pm}3.36$ ($mean{\pm}standard$ deviation). In circumferential 2.5-mm and 5-mm defect groups, the ISQ values were $69.42{\pm}7.06$ and $57.43{\pm}6.87$, respectively, before grafting. These three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After grafting the bone cement, the ISQ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to $73.72{\pm}8.00$ and $67.88{\pm}10.09$ in the 2.5-mm and 5.0-mm defect groups, respectively (P<0.05 and P<0.001). The ISQ value increased to more than double that before grafting in the circumferential 5-mm defect group. The ISQ valu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when measured in any of the four directions. Conclusions: The use of bone cement remarkably increased the stability of the implant that otherwise had an insufficient level of stability at placement, which was caused by insufficient cortical bone volume.

What is the effect of initial implant position on the crestal bone level in flap and flapless technique during healing period?

  • Al-Juboori, Mohammed Jasim;Ab Rahman, Shaifulizan;Hassan, Akram;Ismail, Ikmal Hisham Bin;Tawfiq, Omar Farouq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4호
    • /
    • pp.153-159
    • /
    • 2013
  • Purpose: The level of the implant above the marginal bone and flap design have an effect on the bone resorption during the healing peri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implant at the implant placement and the bone level at the healing period in the mesial and distal side of implants placed with flapless (FL) and full-thickness flap (FT) methods. Methods: Twenty-two nonsubmerged implants were placed with the FL and FT technique. Periapical radiographs were taken of the patient at implant placement, and at 6 and 12 weeks. By using computer software, bone level measurements were taken from the shoulder of the healing cap to the first bone implant contact in the mesial and distal side of the implant surface. Results: At 6 week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estal bone level at the implant placement and crestal bone level of the FT mesially was significan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0.675, P<0.023). At 12 weeks, in the FT mesially, the correlation was non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0.297, P<0.346). At 6 weeks in the FT distally, the correlation was nonsignifican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0.512, P<0.107). At 12 weeks in the FT distally,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0.730, P<0.011). At 6 weeks in the FL mesially, the correlation was non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0.083, P<0.809). At 12 weeks in the FL mesially, the correlation was non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062, P<0.856). At 6 weeks in the FL distally, the correlation was non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0.197, P<0.562). At 12 weeks in the FL distally,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0.692, P<0.018). Conclusions: A larger sample size is recommended to verify the conclusions in this preliminary study. The bone level during the healing period in the FT was m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mplant level at implant placement than in the FL.

3D Dental-CT를 이용한 상악 매복 과잉치의 진단 : 증례보고 (DIAGNOSIS AND EXTRACTION OF IMPACTED SUPERNUMERARY TEETH IN THE MAXILLA WITH 3D DENIAL-CT)

  • 김수경;양연미;백병주;김성희;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1-98
    • /
    • 2006
  • 과잉치는 법랑기(enamel organ)가 치배형성을 지속하거나 과도한 세포증식을 함으로써 발생한다. 과잉치는 상악 전방부에서 종종 발견되며,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과잉치는 형태에 따라서 보충치(supplemental tooth)와 흔적치 (rudimental tooth)로 나눌 수 있다. 보충치는 정상 절치와 크기 및 형태가 유사하나, 흔적치는 비정상적인 형태와 작은 크기를 갖고 있다. 보충치는 영구 측절치 부위에서 호발하며 정상 전치와 유사한 형태와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발치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3증례는 상악 전방부에 정상 전치 형태의 과잉치를 갖는 증례들이다. 모든 증례에서, 치근단 교합,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등의 기존 방사선 사진 촬영 외에 3 Dimensional Dental-Computed Tomography(3D Dental-CT)를 촬영하여 진단하였다. 기존 일반 방사선 사진들(conventional radiographs)과 3D Dental-CT를 비교시, 일반 방사선 사진들은 2차원적인 영상만을 제공하여 상의 해석에 있어서 술자의 주관이 개입되는 한계가 있다. 반면 3D Dental-CT는 과잉치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에 대한 객관적 인 정보를 제공하며, 좀 더 보존적 인 수술을 시행하고, 수술 시간과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유용하다. 그러므로 일반 방사선 사진 촬영 후 과잉치의 위치가 불분명하고 인접 영구치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3D Dental-CT를 이용한 진단이 고려된다.

  • PDF

초기 후두암의 치료 - 보존적 후두절제술의 적용범위와 방법 - (Treatment of Early Laryngeal Cancer - Indication and Technique of Conservative Partial Laryngectomy -)

  • 서장수;송시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6
    • /
    • 1997
  • 초기후두암에 있어서 보존적 술식의 장점은 후두 전적출술시와 같은 국소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후두의 생리적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데 있다. 성공적인 후두부분절제술을 위해서는 후두내에서 종양의 발생위치 및 그 확산에 대한 연부조직들의 해부학적 역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초기후두암환자에서 정상적인 목소리를 보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방사선 치료가 일차적 치료요법으로 많이 시행되어 왔다. Wang 과 Wong은 성대 막양부에 국한된 병변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5년간 조절율(5-year control rate)이 92%, 전연합부를 침범한 경우가 81%, 그리고 후방으로 전파된 경우 76%로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Olofsson 등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57례의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5.7%의 5년 생존율을 얻었으나, 57례중 15례에서 재발하여 구제수술(salvage surgery)을 시행하였고, Jesse 등$^{13)}$ 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91례의 T1, T2 성문암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8%의 실패율을 보였으나 22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후에 salvage surgery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Ogura 등은 피열 연골을 침범한 79례의 환자에서 보존적 수술을 시행한 결과 6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90%의 3-years control rate를 얻을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병변이 전연합부, 피열연골 혹은 후방성문하부로의 침범이 있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따라서 방사선 치료에 실패할 가능성이 보다 높기 때문에 비록 방사선 치료 후 실패한 경우에서 구제 수술을 시행할 수는 있지만 후두기능을 보존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를 생각할 때 보존적 수술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Biller 등은 방사선 요법에서 실패한 성문부 종양에서는 대부분 전적출술을 시행하지만 일부는 보존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반대측 성문부에 종양의 침범이 없어야 하고, 전연 합으로의 파급은 있어도 가능하며 성대돌기를 제외한 피열연골이 정상이어야 하고, 종양의 성문하부로의 파급이 5mm 이내라야 하며, 연골에 침범이 없어야 하고, 성대고정이 없어야 하며, 재발 병소가 방사선요법 전의 원발병소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하며, 원발병소가 후두부분적출술에 합당할 경우 보존적 술식을 시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다양한 후두 재건술의 발달로 보다 진행된 후두암에 대한 보존적 후두절제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단측 T3,T4 후두암 혹은 경성문암, 이상와에 위치한 암의 경우 음성만을 재건하는 후두근적출술 (near total laryngectomy)을 시행하기도 한다.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1986년부터 초기성문암 51례 중 24례(47.1%)와 초기성문상암 17례 중 12례 (70.6%)에 대하여 보존적 술식을 시행하였다. 초기 성문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24례중, 2례(8.3%)에서 경부재발, 1례(4.2%)에서 경부재발과 동반된 폐의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부위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고, 술후 합병증으로 1례(4.2%)에서 후두협착, 3례(12.5%)에서 수술부위의 육아종형성, 그리고 1례(4.2%)에서 기관지염이 발생하였으나 오연으로 인한 폐렴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 상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12례 중 1례(8.3%)에서 원발병소의 재발, 2례(16.7%)에서 경부재발이 있었으며, 술후 합병증으로 3례(16.7%)에서 오연으로 인한 폐렴의 발생이 있었지만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암 24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21례(97.5%)와 초기성문상암 12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증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생존율을 얻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주사기를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 시 발생한 실신 및 종격동기종에 관한 증례보고 (Syncope and pneumomediastinum during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with an air-syringe: a case report)

  • 김수완;이종근;송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3호
    • /
    • pp.171-176
    • /
    • 2021
  • 종격동기종은 치과 영역에서 매우 드물고 잠재적으로 위험한 합병증이다. 이의 흔한 원인으로는 핸드피스와 고압 공기/물 주사기를 사용하는 발치, 근관치료, 잇몸 밑 치은연하 소파술 등이 있다. 본 증례는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전 치료로 주사기를 이용하여 상악동에 골이식을 시행받은 61세 여자에게서 발생한 대량의 종격동기종과 피하기종의 증례이다. 환자는 치료 도중 갑작스럽게 발생한 구강 통증과 함께 의식 소실이 발생하였고, 응급실로 전원 되었다. 영상학적 검사상 종격동기종과 함께 얼굴과 목부위 전체에 피하기종이 발견되었다. 예방적 항생제, 산소 흡입, 금식 등의 보존적 치료가 이루어졌고, 합병증 없이 7일 만에 퇴원하였다. 환자의 실신은 시술 중 상악동 천공 후 과량의 공기유입으로 인해 발생한 종격동기종에 의해 순간적인 강한 흉부 압박으로 혈압 감소와 통증 쇽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 치료 중 환자가 의식을 잃었다면 기도 폐쇄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종격동기종을 즉각적으로 감별하고 치료해야 한다.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의 성적 고찰 (Result of Tracheal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 유양기;박승일;박순익;김용희;박기성;김동관;최인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267-272
    • /
    • 2003
  • 기관 협착의 치료에는 주기적인 확장, 기관내시경을 통한 협착 조직의 제거, T-tube 삽입 등의 보존적 방법과 수술적 방법이 있다. 그러나, 최근 수술을 통한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이 기능적으로나 해부학적으로 정상적인 상기도 확보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에서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시행한 환자 41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참조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원인 질환으로는 postintubation stenosis 26예,기관에 발생된 원발성 기관종양이 10예(양성 3예, 악성 7예), 기관내 결핵 1예, 외상 2예, 그리고 갑상선암이 2예였다.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시행한 환자 41예 중 29예는 기관 절제 및 단단 문합술을 시행하였고, 12예는 갑상연골 또는 윤상연골 절제가 동반된 후두 기관 문합술을 시행하였다. 후두 기관 문합술을 시행한 11예 중 4예에서 후두분리술 (supralaryngeal release)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기관의 길이는 평균 $3.6{\pm}1.0$cm였다. 기관 절제 및 단단 문합술을 시행한 41예의 환자 중 수술 후 상태가 양호한 환자는 30명(73.2%)이었고, 수술 직후 일부문합 부위에 육아종 증식 또는 감염이 있었으나 보존적 치료 후 호전된 환자는 8명(19.5%)으로 전체환자 중 92.7%에서 수술 후 양호한 기도의 확보가 가능하였다. 합병증으로는 육아종 증식을 보여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가 7예, 창상감염 2예, 문합부 dehiscence 2예, 운동 시만 호흡곤란을 보이면서 특별한 치료없이 지내는 재협착이 1예, 수술 후 반복적인 기도 흡인으로 재기관절개술을 시행한 환자가 1예 있었다.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과 직접 관련된 30일 내의 조기사망은 없었고, 원내사망이 3예 있었다 결론: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은 높은 성공률과 낮은 유병률 및 사망률을 보여 병변의 길이가 적절한 경우, 기관 수술의 표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수술부위 육아조직 증식이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