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GNOSIS AND EXTRACTION OF IMPACTED SUPERNUMERARY TEETH IN THE MAXILLA WITH 3D DENIAL-CT

3D Dental-CT를 이용한 상악 매복 과잉치의 진단 : 증례보고

  • Kim, Su-K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Y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aik, Byeong-J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G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수경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양연미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백병주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김성희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김재곤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Supernumerary teeth are teeth which result from the continued budding of the enamel organ of the preceding tooth or from excessive proliferation of cells. They are most often found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And they can be responsible for a variey of irregularities in the primary and transitional dentition. There are two morphological types of supernumerary teeth, supplemental and rudimentary. Supplemental teeth have normal shape and size. In contrast, rudimental teeth have abnormal shape and smaller size. Supplemental supernumerary teeth are most common in permanent lateral incisor area. Its extraction must be decided more carefully with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normal teeth, because it has normal shape and size. We reports 3 cases of the normal incisor shaped teeth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In all cases, we used the 3D Dental-CT as well as the conventional plain film such as periapical, occlusal, and panoramic radiograph. Consequently, 3B Dental-CT was valualble to figure out the exact position and morphology of supernumerary teeth, to do more conservative surgery and to reduce surgery stress and time.

과잉치는 법랑기(enamel organ)가 치배형성을 지속하거나 과도한 세포증식을 함으로써 발생한다. 과잉치는 상악 전방부에서 종종 발견되며,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과잉치는 형태에 따라서 보충치(supplemental tooth)와 흔적치 (rudimental tooth)로 나눌 수 있다. 보충치는 정상 절치와 크기 및 형태가 유사하나, 흔적치는 비정상적인 형태와 작은 크기를 갖고 있다. 보충치는 영구 측절치 부위에서 호발하며 정상 전치와 유사한 형태와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발치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3증례는 상악 전방부에 정상 전치 형태의 과잉치를 갖는 증례들이다. 모든 증례에서, 치근단 교합,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등의 기존 방사선 사진 촬영 외에 3 Dimensional Dental-Computed Tomography(3D Dental-CT)를 촬영하여 진단하였다. 기존 일반 방사선 사진들(conventional radiographs)과 3D Dental-CT를 비교시, 일반 방사선 사진들은 2차원적인 영상만을 제공하여 상의 해석에 있어서 술자의 주관이 개입되는 한계가 있다. 반면 3D Dental-CT는 과잉치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에 대한 객관적 인 정보를 제공하며, 좀 더 보존적 인 수술을 시행하고, 수술 시간과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유용하다. 그러므로 일반 방사선 사진 촬영 후 과잉치의 위치가 불분명하고 인접 영구치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3D Dental-CT를 이용한 진단이 고려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