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treatment

검색결과 793건 처리시간 0.027초

서산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 해체복원을 통해 살펴 본 석조문화재의 보존 (Conservation of stone cultural properties-Restor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about Bowonsabeobin-guksaboseungtap(Stupa of high priest Beobinguksa of Bowonsa Temple))

  • 신은정;김사덕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5호
    • /
    • pp.93-117
    • /
    • 2004
  •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durability is the falling. So the conservation is easy relatively. But the conservation countermeasure of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the environment pollution needed urgently as extreme. I will find out about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Through the example of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about Bowonsabeobin-guksaboseungtap in the paper. Damage reasons of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are a physical damage, a structural damage, a biology damage, a chemical damage and artificial damage. The moisture plays especially the role which damage is make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is damaged due to damage reasons. So we investigate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and must remove damage reasons. Bowonsabeobin-guksaboseungtap is funerary stupa of buddhist monk with circleorientedoctagon in Geryeo Period. There is the open air. Parts of it were damaged by grave robbery in 2004. So restoration was begun in 2004.While restoring it, wrong arrangement on top of the monk-stupa was rearranged. After being arranged in right order, the middle of monk-stupa was fixed by setting up stainlesssteel shaft. A roof stone of stupa finial has cracks. So It was adhered with epoxy resin(L-30) and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for pollution clearing.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takes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pollution much because it stays at the fields. It is easy also to be robed. Therefore we must watch more with the concern.

  • PDF

장항리 석조불입상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of Janghang-ri Stone Standing Buddha)

  • 김종우;이승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4권
    • /
    • pp.115-124
    • /
    • 2013
  • 국립경주박물관 옥외전시장의 장항리 석조불입상은 외부환경에 의한 접합물질의 풍화와 표면 오염물의 고착, 암석의 편하중에 의한 균열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소장품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해체 및 복원작업을 진행하였다. 3D 정밀실측을 통한 도면화 및 기초자료 조사, 풍화된 부분의 시멘트몰타르 및 수지를 제거하였다. 복원부분은 동종의 암석을 사용하여 신석을 제작하여 접합·복원하였다. 또한 미생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훈증처리를 실시하였으며 지속적인 관찰을 진행중에 있다.

감은사지(感恩寺址) 서탑출토(西塔出土) 보단측면석(步段側面石)의 보존처리(保存處理) (Conservation Treatment of Stairway-side Stone Panels Taken Out from West Pagoda of Gameunsa-site)

  • 김종우;정태화;정수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9권
    • /
    • pp.59-66
    • /
    • 2008
  • 국립경주박물관 옥외전시장에 전시되고 있었던 보단측면석은 과거 접합·복원부분의 풍화로 인하여 박리 및 박락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풍화된 암석에 대한 편광현미경 관찰 및 분석을 통한 암석 내의 팽윤성광물의 확인, Schmidt Hammer 반발경도 측정 및 Karsten Tube를 사용하여 모세관물흡수율을 조사하였다.

도토기 보존처리 사례(역사) 연구 (The history of the pottery & ceramic conservation)

  • 함철희;양필승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년도 제21회 발표논문집
    • /
    • pp.1-11
    • /
    • 2005
  • No one can tell when, exactly, the conservation of potteries & ceramics began, however, according to the documents, it has a long history. Among the materials discovered up to the present, organic adhesives extracted from animals and plants such as bitumen were mainly used and resin, in 19th century, as well. As for inorganic adhesives, clay, lime and plaster were used as well as rivet, as one of mechanical methods. According to the conservation case studies in Korea, lacquer and gilding powdered gold were applied as treatment methods in some ceramics, but, in general, plaster and resins were used widely.

  • PDF

제천출토 청송심씨 출토유물의 보존처리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Lady Shim's Costume Excavated in Jecheon Province)

  • 박봉순;이목근;장인우
    • 복식
    • /
    • 제65권7호
    • /
    • pp.47-59
    • /
    • 2015
  • This paper studies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Lady Shim's costume, which was excavated in Jecheon Province in 2012. There were the significant problems, which were encountered in the treatment of the costume ; First the Jeogoris were transformed during the excavation, Second fibers were seriously deteriorated, Third most of the fabrics such as Chusa were readily deform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to secure stability in the conservation treatment, we decided to alternate between two different washing methods ; dry cleaning by n-hexane and wet cleaning by water. The costume shape was recovered by steaming and by swelling with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The combined cleaning method proved to be relatively efficient and stable. In addition, the shape of Chusa was well preserved by dry cleaning.(using n-hexane also solved the problem of bad smell after washing with organic solvents.) The effects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on the excavated costumes could be seen in the change of Lab color difference. Washing made the distribution of Lab color difference narrower, which may suggest that the impurities on the fiber was removed by washing. In addition, the value of L was greater than a-value and b-value after the treatme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hange of value represents the change of color difference by cleaning.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개관 전시 대상 도자기의 보존 - 청화백자운봉문대호(靑畵白磁雲鳳文大壺)·청자공작수주(靑磁孔雀水注) - (Conservation of Ceramic-Ware to be Exhibited at Yongsan New National Museum at Its Opening - Restoration of Blue-and-white porcelain jar with phoenix design and Celadon peahen-shaped water dropper -)

  • 황현성;이해순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5권
    • /
    • pp.5-15
    • /
    • 2004
  •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은 미술관리부에서 용산 새 박물관에 개관 전시할 소장품 중 도자기실에 새로이 전시할 도자기 보존처리 목록을 보내온 바 있다. 이에 의거하여 보존과학실에서는 그 목록을 토대로 2002년부터 연차적으로 보존처리를 해오고 있는 상태이다. 이번 글은 그중 청화백자운봉문대호(접수631)와 청자공작수주(덕수5202)를 복원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해외 문화재보존기관 운영현황 -이탈리아 문화재보존기관을 중심으로- (Investigation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Overseas Conservation Centers - Focused on the Italian Conservation Centers -)

  • 이현주;유재은;서민석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9호
    • /
    • pp.239-254
    • /
    • 2008
  • In this division,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system of Conservation Science Center, we have tried to find out research trends and advanced operation system of Italian conservation centers, which play an active part in the field of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ternationally. And the results will be utilized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Science Center. Italy is a country having a long history of restoring cultural properties. In this field, it is largely divided into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s. And restoration institute and they are operated under system in which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implement research projects for restoring cultural properties and restoration specialists take receive the results and utilize them. They have different business processing system compared to Conservation Science Center which will implement research-development and restoration(conservation treatment) concurrently. Each institute, carrying out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research projects per region, maintains smooth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national institutes, neighboring universities and even afflated schools through horizontal-mutual collaboration joint research, and sharing of equipments, in the field of cooperation between national institutes,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universities, and connection to belonging schools. There institutes show us a good example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futur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Conservation Science Center. It is expected that their operation system and possessed technologies such as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pool and cooperation with relevant fields can be used usefully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Conservation Science Center.

  • PDF

경주 은령총 출토 청동제합의 보존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Bronze Bowl with a Lid Excavated From Silver Bell Tomb in Gyeougju)

  • 최희윤;허일권;안주영;박학수;유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7권
    • /
    • pp.3-10
    • /
    • 2006
  • 경주 은령총에서 출토된 청동제 합은 과거 접합되었다가 파손된 상태로 본체의 경우 전체의 절반 정도만이 남아있어 보존 및 전시를 위해서 보존처리 하였다. 이물질 및 열화된 접착제의 제거 후 재접합 하였는데, 비교적 많은 부분이 남아있는 뚜껑은 복원부위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가역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체의 경우 복원부위가 많기 때문에 유물의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도록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접합하였다. 합을 비파괴 조사한 결과 주조품 이었으며 재질은 Cu-Sn-Pb의 3원계 합금으로 나타났다.

벨기에 왕립예술역사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금동침통의 과학적 보존처리를 통한 제작기법 연구 (Study of the Production Techniques Used in the Goryeo-period Gilt-Bronze Case for Acupuncture in the Collection of the Royal Museums of Art and History, Belgium)

  • 이재성;박영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7권
    • /
    • pp.147-164
    • /
    • 2022
  • 전 세계 22개국에 흩어져 있는 우리 문화재는 20만 여점에 이른다. 저마다 다른 사연을 가지고 외국에 나가게 된 우리 문화재 중 일부는 해외 기관에 소장되어 세계인들에게 우리 문화를 알리고 있지만 훼손되어 전시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3년부터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 보존·복원 및 활용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1년은 한국과 벨기에 수교 120주년을 기념하여 벨기에 왕립예술역사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금동침통을 국내에 들여와 보존처리했다. 보존처리의 기본 방향은 원형을 보존하고 부식이 지속되는 것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기 때문에 표면 부식물제거, 안정화처리, 강화처리를 거치는 기본적인 보존처리 순서로 진행하였다. 하지만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 보존처리 지원 사업 중 금속문화재로서는 처음으로 보존처리된 사례이기 때문에 국외 기관과의 차별화가 필요했다. 이를 위해 X선 투과조사, 컴퓨터단층촬영, 3차원 현미경 조사 등 과학적인 조사·분석법으로 고려시대의 다양한 금속 공예기술을 파악하였다. 표면에 정교하게 새겨진 연꽃, 넝쿨 등의 다양한 문양은 끝이 둥근 정을 이용해 점선으로 시문했다. 또한 문양이 새겨진 구리판을 원통형으로 말기 위해서 양끝을 약 2~3mm 정도 겹쳐지게 은땜으로 접합하였으며, 겹친 부위의 단차가 거의 없을 정도로 평평하게 단접하였다. 제작공정의 마지막 과정에서는 금분을 이용한 아말감 도금법으로 표면을 화려하게 도금하였다.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인 벨기에 왕립예술역사박물관 소장 금동침통에 대한 보존처리로 원형을 보존하고, 더 이상의 추가적인 부식을 예방하였다. 특히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통해 역사적 가치와 학술적 가치를 되살릴 수 있었다.

조선 중기 제작된 지자총통의 보존처리와 제작기법 연구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 보물 지자총통을 중심으로- (Conservation Treatment and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s of Jija Chongtong Gu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 남도현;박영환;이재성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0권
    • /
    • pp.23-46
    • /
    • 2023
  •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 지자총통은 조선 중기에 사용하던 전장유통식 중화기무기로 천자총통 다음으로 큰 화기류이다. 지자총통의 표면에는 표면 이물질들로 인해 고유의 색상이 가려져 있는 상태로, 보존처리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되었다. 안정적인 보존처리를 위해 감마선(γ선), X선 비파괴 투과조사, 내시경카메라 관찰을 실시하여 내부 구조와 보존상태를 파악하였고, p-XRF 성분분석, SEM-EDS 성분분석, XRD 분석 등을 활용하여 지자총통의 재질 성분과 표면 오염물 등에 관한 성분분석을 진행하였다. 휴대용현미경 관찰과 정밀 3D스캔으로 지자총통 표면 명문의 상태, 새김형태 등을 확인하였다. 감마선, X선 비파괴 투과조사 결과, 지자총통 내부에 다량의 기포가 관찰되었으며, 육안관찰로 확인되는 표면의 채플릿은 비파괴투과조사 결과로는 확인되지 않았다. p-XRF 성분분석 결과 지자총통은 구리(Cu), 주석(Sn), 납(Pb) 합금으로 만들어진 청동으로 확인되었으며, SEM-EDS를 활용한 표면 이물질 성분분석 결과, 백색이물질은 칼슘(Ca), 황(S), 티타늄(Ti)이 주성분으로 확인되었다. 티타늄은 백색수정액의 주성분인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추정되었으며, 적색이물질은 바륨(Ba)이 주성분으로 확인되어 페인트의 체질안료인 황산바륨(BaSO4)으로 추정되었다. 티타늄과 바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백색과 적색 오염물은 근래에 이르러 표면에 묻은 것으로 추정된다. 황색이물질은 알루미늄(Al), 규소(Si)로 확인되어 토양성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했다. 백색이물질의 XRD 성분분석결과 황화칼슘(CaS)으로 확인되었고, SEM-EDS와 XRD 성분분석결과로 백색이물질은 석고(CaS)로 확인하였다. 성분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표면 이물질 제거, 안정화처리, 강화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를 진행하던 중에 휴대용 현미경과 정밀 3D스캔을 통해 알려지지 않았던 명문 우(右), 병(兵), 상(上), 이(二)를 발견하였다. 또한, 명문의 새김방법과 깊이, 너비 등을 측정하였다. 우병상(右兵上)은 창원 합포성 내 위쪽이며, 이(二)는 두 번째 돈대로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