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Status

검색결과 542건 처리시간 0.023초

대체서식지 조성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Alternative Habitats - Based on the Projects Subject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심윤진;정규종;어양준;유윤진;박현경;김동환;조영호;윤주덕;우승현;박수곤;장은혜;추연수;박용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7-85
    • /
    • 2018
  • The intensive habitats loss of natural organisms as a consequence of anthropogenic activities has lead to the use of alternative habitats for species conservation.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alternative habitats and suggest the improvement of alternative habitats. Most of alternative habitats regarded in this study are not following the pre-arranged consultation a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se alternative habitats are rendered useless due to the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and lack of detailed plans. A number of alternative habitats are influenced by disturbance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nstruction. Post-monitoring of alternative habitats are needed to estimate immigration rate of species. Post management is also needed to assess the status of population stability. Overall, low effectiveness of alternative habitats is presen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tatus survey, methods for improvement of alternative habitats are required such as detailed guidelines, establishment of post-monitoring system, improvement of habitat restoration techniques, and guidelines for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공공의무화 제도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보급 실태 분석 (The Supply Status Analysis of New Renewable Energy Based on Public Obligation System)

  • 서상현;이용호;김형진;조영흠;황정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0-225
    • /
    • 2011
  • Based on the supply status statistics of new renewable energy according to public obligation system, current status of overall application centered on solar heat, solar ray, and geothermal heat as energy sources that can be applied to buildings may be analyzed as follows. (1) After the public obligation system, the investment costs on the total construction costs by years were between 5.21% and 7.12%: they were 7.12% in 2004, where the system was initially implemented; and they were gradually declined from 2005 to 2011, 5.76% in average. The ratio of equipment investment per energy sources in the total construction costs was 5.9%, which was slightly more than the obliged ratio. The order of investment costs per energy source was solar ray, geothermal heat, and solar heat. (2) Among the 1,433 sites in the plan of new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 based on the public obligation system, "for cultural & social use" was most in target institution, and facilities for education & research was most in use classification, followed by public working, culture & rally, and sports. The number of facilities applied according to the case for planning installation per use classification of the target institution was between 1.1 and 1.5, or 1.4 in average of energy source. Conclusively, the authors of this study investigated overall current status of new renewable energy supply from the analysis of statistic data, and it may be needed of further supplementation of various examinations by visiting investigation and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based on classification of use of target institutions.

  • PDF

덕유산 국립공원내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보전실태 (Conservation Status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T$\v{o}$kyusan National Park)

  • 임경빈;김용식;전승훈;김선희;김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2-117
    • /
    • 1994
  •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를 답사하여 그 생육상황을 조사하였으며, 복수초 군락 등 16종류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는 분류결과와 최근에 작성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평가기준에 따라 재분류를 시도하였다. 본 조사에서 검토된 식물 종은 복수초 군락,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왕괴불나무, 금강애기나리, 누른종덩굴, 백작약, 개불알꽃,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한라부추, 솔나리 및 감자난 등 모두 16종류였다. 이들을 I.U.C.N.의 S.S.C.에서 마련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재평가한 바 Endangered (E)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백작약,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솔나리 및 감자난 등 10종이, Critical (C)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왕괴불나무, 누른종덩굴, 개불알꽃, 한라부추 등 4종이, Vulnerable (V)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복수초와 금강애기나리 등 2종이었다. 상기의 구분은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알려져 있는 구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식물종들의 관리보전계획을 위해 앞으로 더욱 검토, 보완되어야 하리라 판단된다. 덕유산 국립공원내에 생육하고 있는 보전대상 특정식물은 주로 등산로변이나 개발계획지 등지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서 앞으로 더욱 훼손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문헌 분석을 통한 창경궁 식생보전방향 연구 (A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Vegetation in Changgyeonggung Palac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 백종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19
    • /
    • 2018
  • 1484년 9월 성종조에 조성된 창경궁은 순종 1년(1907) 창경원으로 격하되기 전까지 조선시대 궁원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준 전통공간이다. 일제강점기에 창경궁 내에 대온실, 박물관, 동 식물원이 개설되며 전통건축물과 궁궐의 정원이 소실되거나 변형되었다. 1984년 "창경궁 정비계획"에 의해 일제강점기 설치된 각종 시설과 관람로 등이 정비되었고, 전통적인 궁궐로 복원하고자 1986년 중건 공사를 통해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한 이후 30여 년간 1980년대 중건 계획의 모습대로 유지 관리되고 있다. 창경궁 궁원(宮苑)의 모습은 19세기 초반 창경궁을 그린 "동궐도"에 그 모습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동궐도"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궁원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다. 1984년부터 시작된 창경궁 식생조사는 2005년, 2010년, 2016년에 걸쳐 4회 전수조사 되었고 식생조사 결과를 토대로 창경궁 내 식생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30여 년간의 식생조사 결과와 "동궐도" 식생 분석을 통해 파악된 창경궁 내 식생 현황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창경궁 식생 현황이 조선시대 궁원의 모습으로 접근해 가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전통 궁원의 모습을 보전하기 위한 식생보전방향을 제시하였다.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보존 방안과 사적 지정 전략 (Conservation Plan and Historic Site Designation Strategy of Celadon Kiln Site in Banam-ri, Gochang)

  • 신민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1호
    • /
    • pp.208-223
    • /
    • 2023
  • 본 글은 시도지정기념물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를 사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정비 방안과 전략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격적 논의에 앞서 초기 청자요지로 주목받고 있는 이 유적의 높은 학술적 잠재력을 설명하면서 기념물 지정으로 인해 추진될 예산 확보, 향후 사적 지정에 대한 기대까지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보존 현황과 정비 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기념물로 지정된 지 1년이 되지 않은 이 유적이 향후 사적 지정을 위한 정비를 어떠한 방향으로 수행해야 할지에 대해 현지 조사 등으로 현재의 보존상황을 검토하였다. 무엇보다 유적의 명확한 성격을 밝히기 위한 발굴조사와 문헌조사를 시행하고, 현지 조사를 토대로 관람객들을 위한 안내시설을 정비하고 이와 연계한 홍보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적의 정의 및 도자기 가마의 사적 지정 현황과 함께 지정에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존 사적 지정된 진안 도통리 청자요지, 고흥 운대리 분청사기요지의 사례를 검토하여 발굴조사, 문헌조사, 학술대회의 세 가지를 사적 지정의 목표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발굴조사의 결과는 완전성, 진정성, 정체성을 두루 갖춘 문화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근거가 된다. 문헌조사는 발굴로 밝혀지지 않은 유구의 역사적·문화적 성격을 보완하는 근거가 된다. 학술대회는 문화재가 가진 위치성과 유적의 위상, 유적과 관계 있는 사건 등 문화재의 본질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한국 자연보호구역 현황 및 향후 개선방안 -호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ive of Protected Areas in Korea - Case study in Protected Areas of Australia -)

  • 김민정;최종관;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6호
    • /
    • pp.779-786
    • /
    • 2011
  • This study aimed at comparing protected areas of Korea and Australia based on international conservation criteria by IUCN and analyzing what we need to improve for future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of Korea. The registration status of protected areas of Korea listed on IUCN were 11 places in the Ia, 17 in II, 7 in IV, 7 in V; in total 42 places were recorded. However, the lists were missing many important areas. In Korea, we have only 4 protected area categories out of 6 indicating ecological diversity and management in its protected area system are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9340 protected areas of Australia were listed on IUCN and evenly distributed in the total of six categories. Therefore, Korea should investigate measures for system establishment which ensures the diversity and indicative of our natural ecosystems and establish balanced system of protected areas including all IUCN categories I-VI through revaluation of natural, cultural,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and the needs.

환경성평가제도 대상사업 유형별 개발실태 분석 연구 - 경기도의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Development by Project Types of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 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30-142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projects that underwent environment assessment in recent three years and provide basic data to encourage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projects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pre-environment review reports and environment impact statements of development projects that took place in Gyeonggi provinc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465 development projects spanning $173km^2$ were undertaken in Gyeonggi province in recent three years. This is equivalent to three times of the area of Anyang city. Second, types of development projects were in the order of factories and industrial parks, road construction, town (housing estates) development, sports facilities and waste treatment facilities. Public projects accounted for about 30%, while private investment projects represented 70%, indicating that private sector projects were as twice as hi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evelopment density of Gyeonggi-do should be examined as a whole in order to develop a comprehensive, long-term plan and harmoniz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systematically in Gyeonggi-do in a holistic perspective.

Actual distribution and present status of a threatened aquatic plant, Sagittaria aginashi (Alismataceae), in Korea

  • Shiga, Takashi;Tsubota, Kazumasa;Choi, Hyeok Ja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0-188
    • /
    • 2017
  • We evaluated the actual distribution, present status, and number of remnant individuals of Korean Sagittaria aginashi (Alismataceae) based on herbarium specimens and field surveys. We also reidentified Korean S. aginashi by analyzing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We found nine specimens of S. aginashi in herbaria from four localities housed at the Osaka Museum of Natural History (OSA) and at the Korea National Herbarium (KH). During our field research, we could not confirm the current statuses of two collection localities (Taereung and Ansan-si), though this was not the case for Ulsan-si. In addition, we found two new localities in Ulsan-si and Yangsan-si. These three remnant populations are distributed in wetlands in mountainous areas (elev. 480-740 m).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flowering and immature individuals in the three localities, there were <50 and <2,000, respectively, in total. ITS sequences demonstrated that the sequences of Korean and Japanese S. aginashi are uniform and distinct from other Sagittaria spec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 aginashi is a rare and threatened species in Korea. It should be listed as an endangered species on the Korean Red List and requires urgent protection by conservation programs, including the extensive surveys of other possible natural habitats.

국내 기각류 서식 현황 연구 (A Review on the Status of Pinnipeds in Korea)

  • 김현우;이슬희;손호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31-239
    • /
    • 2021
  • There are six species of pinnipeds in Korean waters. Because of the lack of research on pinnipeds, it has been difficult to obtain ecological information on each species. All six species have been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marine protected species, or national monuments by the government, depending on historical records.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pinnipeds in Korea was investigated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sighting and bycatch records,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new information for the review of the six species. Spotted seals and northern fur seals are well known inhabitants of Korea.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is thought to be the margin of the distribution of Steller sea lions. Sightings of ribbon seals and ringed seals were not confirmed in Korean waters. Sea lions have not been seen since their last sighting on Dokdo in 1951 and are thought to have become extinct after that. It is necessary to delist undistributed or extinct species in Korea from the marine protected species list.

역사적 도시환경의 보존형태 분석을 통한 유산적 가치 고찰 -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eritage Value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Preservation Status of Historic Urban Environment - Focusing in Suwon Hwaseong Fortress -)

  • 길지혜;황기원;손용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7-77
    • /
    • 2015
  • 이 논문은 수원 화성 내 도시환경의 보존형태를 분석하여 보전가치가 있는 역사적 자원들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시환경 보전에 있어 시간의 지속성을 갖춘 자원의 보호와 장소적 특징이 남아있는 자원의 관리가 중요하기에, 보존형태 분석은 물리적 형태 보존과 이용 기능의 보존 측면에 중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연구는 세 단계로 진해하였다. 첫째, 성곽 내부의 도시환경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자 1911년에 제작된 지적원도와 현재의 도면을 필지의 특성을 담고 있는 지형, 수공간, 가로, 대지의 네 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둘째, 도면에 기초한 문헌연구, 현장답사, 인터뷰의 내용을 토대로 도시환경의 변화내용을 연구하였고, 이를 보존-일부 보존-소멸의 척도로 구분하여 보존형태를 고찰하였다. 셋째, 도시환경에서 오랜 기간 보존되고 있는 자원과 완전히 보존되고 있지는 않지만 장소적 특징이 남아있는 자원을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형과 수계의 자연적 요소와 가로와 같은 도시구조적 요소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변했더라도 지반환경의 속성을 보존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과거의 도시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지형, 수공간, 가로, 대지의 보존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을 보다 큰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화성의 역사적 정취도 보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현재 시점에서 오랜 기간 지속되어온 자원에는 근대에 조성된 공공시설들이 많이 있어 화성 내 역사문화자원을 조선시대 외에도 다양한 시대적 켜로 읽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도시화 시기를 지나면서도 오랜 기간 보존된 필지와 가로가 최근의 역사문화복원사업으로 오히려 훼손되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어 이들을 신중히 다룰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