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nectivity

검색결과 2,256건 처리시간 0.033초

그레이 레벨 연결성 복원 하드웨어 구조 (A Hardware Architecture for Retaining the Connectivity in Gray-Scale Image)

  • 김성훈;양영일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23-2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그레이 레벨 영상을 세선화 하는 과정에서 골격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성 복구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하였다. 영상에서 물체의 골격선을 찾아내는 영상의 세선화 과정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골격선의 연결성을 검사하는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골격선의 연결성을 4-클럭에 구하는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조는 PS(Parallel to Serial) Converter 블록, State Generator 블록, Ridge Checker 블록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PS Converter 블록에서는 3$\times$3 그레이 레벨 영상을 4개의 직렬 화소값으로 만들어 State Generator 블록으로 보낸다. Staかe Generator 블록에서는 3$\times$3 그레이 값의 가운데 화소가 골격선에 접하는지를 검사하고, Ridge Checker 블록에서는 가운데 화소가 골격선상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구조는 3$\times$3 그레이 레벨의 가운데 화소의 연결성을 4-클럭에 검사한다. 전체적인 회로는 설계 툴을 사용하여 검증하였고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였다.

  • PDF

2차원 어류 서식처 모의를 이용한 격리된 구하도의 연결성 복원에 따른 서식지 개선 평가 (Evaluation of Habitat Improvement Using Two-Dimensional Fish Habitat Modeling after the Connectivity Restoration in an Isolated Former Channel)

  • 김석현;김다나;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2호
    • /
    • pp.137-146
    • /
    • 2015
  • 하천 본류와 구하도 사이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홍수터 생태계에서 생태적 기능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차원 평균수심 유한요소 모형인 River2D를 사용하여 만경강에서 직강화로 인해 격리된 구하도의 연결성을 가상으로 복원하고 평수기와 홍수기 조건에서 어류 서식처 변화를 평가하였다. 평가 대상 어종은 정수성 어종인 붕어 (Carassius auratus)와 유수성 어종인 피라미 (Zacco platypus)를 선정하였다. 물리서식처모의 결과에 의하면, 연결성 복원 전후의 붕어와 피라미의 가중가용면적 (weighted usable area, WUA)은 복원 후에 증가하였으며 양방향 복원이 일방향 복원보다 어류 서식처 복원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가중가용면적의 증가율은 평수기보다 홍수기에 더 높았다. 특히 피라미의 경우 홍수기에 구하도의 연결성이 양방향 복원되었을때 구하도 내의 가중가용면적이 복원 전 대비 약 4배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 만경강에서 본류와 구하도의 연결성이 복원되었을 때 정수성 어류와 유수성 어류의 서식처가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방향 복원보다 양방향 복원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원된 구하도는 홍수기 때 어류의 피난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대도시 도심의 생태적 연결성 및 연결망 분석 (Ecological Connectivity and Network Analysis of the Urban Center in a Metropolitan City)

  • 차재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503-515
    • /
    • 2023
  •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태공간의 단절과 파편화는 생물다양성의 위협 요소이다. 특히 개발 압력이 높은 도심은 생태공간이 부족하여 연결성이 매우 낮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대도시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 사업이나 도시관리 수준에서 생태적 연결성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도시의 생태적 연결성 현황 파악과 개선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도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의 도심이 가진 생태적 연결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도심은 외곽이나 도시 전체와 비교해 연결성이 낮았다. 그리고 종분포모델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대전을 대상으로 수행한 생태적 연결망을 분석하여 1ha 이상 산림을 이어주는 최적 경로 510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의 생태적 연결성 개선 목표 제시에 필요한 정량적 수치와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지역 특성에 따른 연결망을 도출한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환경영향평가나 도시관리에서 생태적 연결성을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평가 체계를 구축하는 데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맥락적 측면에서 본 유럽 블록형 집합주택의 공간적 연결성 연구 (A Study on Spatial Connectivity of the European Block Type Housing in Urban Context)

  • 공은미;김영욱;한기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35-42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conform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patial connectivity of block housing using space syntax. Three cases were selected which have important meanings in 1920s. The properties of spatial configuration were derived from an urban-context approach and without urban context analysis, and spatial connectivity and functional conformity were analyzed using refer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arrangement of block housing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notwithstanding their similar layout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s between urban streets and housing complexes were identified, and the public spaces were being arranged as semi-public spaces, whereas blocks as private spaces by separating functions. This study provides the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of low rise-high density housings by means of analyzing the spatial connectivity of the spatial layout characteristics of European block housing, recogni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urban communities and housing complexes.

생태네트워크와 접근성 분석에 의한 서울시 미집행 도시공원의 보전 우선순위 평가 (Assessing conservation priorities of unexecuted urban parks in Seoul using ecological network and accessibility analyses)

  • 강완모;송영근;성현찬;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3-64
    • /
    • 2018
  •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conservation priorities of unexecuted urban parks in Seoul both from an ecological and public perspective. To this end, two methodologies, ecological network analysis based on graph and circuit theory and accessibility analysis, were employed in order to assess ecological connectivity of and public accessibility to unexecuted parks, respectively. This study applied linkage-mapping methods (shortest path and current flow betweenness centrality) of connectivity analysis to an integrated map of landscape permeability. The population-weighted accessibility to unexecuted parks was measured based on a negative exponential distance decay function. As a result, for both ecological 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Gwanaksan, Suraksan, and Bulamsan urban natural parks a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rank 1-3) to be conserved. For these sites, inner park areas with conservation priorities for 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were identified.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used for giving conservation priority to the unexecuted urban parks in terms of long-term sustainable urban planning.

조현병(調鉉病) : 뇌 연결성의 장애 (Attunement Disorder : A Disorder of Brain Connectivity)

  • 김기원;박경민;장혜련;이유상;박선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4호
    • /
    • pp.136-143
    • /
    • 2013
  • Objectives We reviewed cellular and synaptic dysconnectivity, disturbances in micro- and macro- circuitries, and neurodevelopmentally-derived disruptions of neural connectivity in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Method We reviewed the selected articles about disturbances in neural circuits which had been proposed as a pathogenetic mechanism of schizophrenia. Results The literature review reveals that schizophrenia may be a disease related to disturbance in neurodevelopmental mechanism, shown as 'a misconnection syndrome of neural circuit or neural network'. In descriptive psychopathological view, definition of a disorder of brain connectivity has limitation to explain other aspects of schizophrenia including deterministic strictness in thought process. Conclusion Schizophrenia is considered as a disorder of brain connectivity as well a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related wi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We could make a suggestion that "JoHyeonByung (attunement disorder)" denotes the disturbances of psychic fine-tuning which correspond to the neural correlates of brain dysconnectivity metaphorically.

재귀원형군과 하이퍼큐브의 고장 감내에 대한 결정적 척도 (Deterministic Measures of Fault-Tolerance in Recursive Circulants and Hypercubes)

  • 박정흠;김희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9호
    • /
    • pp.493-502
    • /
    • 2002
  • 다중 컴퓨터 네트워크의 고장 감내에 대한 대표적인 결정적 척도로 연결도와 에지 연결도가 있다. 연결도나 에지 연결도는 어떤 정점 분리 집합이나 에지 분리 집합을 제거했을 때 남은 그래프의 형태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superconnectivity, toughness, scattering number, vertex-integrity, binding number, restricted connectivity와 같은 일반화된 연결성 척도들이 함께 사용된다. 이 논문에서는 재귀원형군과 하이퍼큐브의 고장 감내에 대한 이러한 결정적 척도를 분석하고, 고장 감내 측면에서 비교한다.

Distributed task allocation of mobile robotic sensor networks with guaranteed connectivity

  • Mi, Zhenqiang;Yu, Ruochen;Yi, Xiangtian;Yang, 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12호
    • /
    • pp.4372-4388
    • /
    • 2014
  • Robotic sensor network (RSN) contains mobile sensors and robots providing feasible solution for many multi-agent application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RSN and its application is how to effectively assign tasks. This paper presents a novel connectivity preserving hybrid task allocation strategy to answer the question particularly for RSN. Firstly, we model the task allocation in RSN to distinguish the discovering and allocating processes. Secondly, a fully distributed simple Task-oriented Unoccupied Neighbor Algorithm, named TUNA, is developed to allocate tasks with only partial view of the network topology. A connectivity controller is finally developed and integrated into the strategy to guarantee the global connectivity of entire RSN, which is critical to most RSN applications. The correctness, efficiency and scalability of TUNA are proved with both theoretical analysis and experimental simulations.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UNA can effectively assign tasks to mobile robots with the requirements of only a few messages and small movements of mobile agents.

고속철도 연계특성변수와 수단분담률에 따른 고속철도역 연계성 분석에 관한 연구 (Connectivity Analysis of KTX Stations according to KTX Connection Characteristic Variable and KTX Modal Split)

  • 신현주;김병관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503-509
    • /
    • 2013
  • 고속철도 개통 이후로 고속철도를 이용하기 위해 고속철도역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고속철도역과 출발지/목적지간의 연계 수단은 다양하지만 어느 정도 수준의 연계 강도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확인방법이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계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연계 특성 변수를 조사하고 고속철도 수단분담률을 이용하여 이들간의 영향 관계 확인 및 연계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한다. 선정된 변수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고속철도역과 영향권내의 출발지/목적지간의 고속철도 수단분담률을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여 연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Localized Algorithm to Improve Connectivity and Topological Resilience of Multi-hop Wireless Networks

  • Kim, Tae-Hoon;Tipper, David;Krishnamurthy, Prashant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1권2호
    • /
    • pp.69-81
    • /
    • 2013
  • Maintaining connectivity is essential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since the network topology cannot be pre-determined due to mobility and environmental effects. To maintain the connectivity, a critical point in the network topology should be identified where the critical point is the link or node that partitions the network when it fai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ritical point identification algorithm and also present numerical results that compare the critical points of the network and H-hop sub-network illustrating how effectively sub-network information can detect the network-wide critical points. Then, we propose two localized topological control resilient schemes that can be applied to both global and local H-hop sub-network critical points to improve the network connectivity and the network resilience. Numerical studies to evaluate the proposed schemes under node and link failure network conditions show that our proposed resilient scheme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the network being connected in variety of link and node failure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