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gestion rate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27초

전송률 향상을 위한 종단간 호스트의 오버레이 전송 기법 (A Overlay Transmission Method of End-to-end Host for Transmission Rate Improvement)

  • 구명모;정원창;김상복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75-28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응용에서 혼잡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전송률 감소를 해결하고자 종단간 호스트의 오버레이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노드마다 오버 캐스트 전송을 위한 오버레이 종단 호스트(OEH)를 선택하고, OEH가 복제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손실률이 오버캐스트 임계치 이상일 경우, 혼잡이 발생한 노드의 수신자들은 현재 레이어에서 드롭하고 하위 노드의 OEH는 패킷 수신을 위해 혼잡이 없는 종단 노드의 OEH에게 오버 캐스트 전송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기법의 전송률이 기존기법보다 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로전광표지를 이용한 국도우회정보 제공이 고속도로 운영에 미치는 효과 분석 -영동고속도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roviding National Highway Detour Information via Variable Message Signs on Expressway Operations - Case of Yeongdong Expressway -)

  • 양선필;최윤택;이강훈;한음;윤일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97-104
    • /
    • 2015
  • PURPOSES : Expressways experience chronic and recurring congestion, especially during weekends and holidays, because of the increased demands for leisure-related travel. The alternatives to solve chronic and recurring congestion may be three-fold: (1) physical expansion of expressway capacities, (2) road pricing, and (3)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raffic demands. Among these, the third alternative may be the most cost-effective method for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KEC) that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existing ITS infrastructure. METHODS : KEC initiated a pilot study in which the traffic on congested expressways was managed by providing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i.e., travel times) of neighboring national highways for taking detours via variable message signs (VMS).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detour rate, and the two pilot studies on Seohaean and Yeongdong expressways yielded many benefits. RESULTS : It was revealed that the total length of congestion segments decreased by 7.8 km, and the average travel speed increased by 5.3 km/h. CONCLUSIONS :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agation of detour information via VMSs during congestion hours can help reduce congestion on expressways and increase the benefits of the entire network.

ATM망에서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 전달을 위한 폭주 제어 방안 (A Congestion Control Scheme for transmittiing Connectionless Data Traffic in ATM Network)

  • 박천관;전병천;김영선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10호
    • /
    • pp.42-51
    • /
    • 1998
  • 본 논문은 CL (ConnectionLess) 가입자와 CL 서버간, CL 서버간, 그리고 종단간 CL가입자간 궤한 루프와 CL서버의 헤더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CL 중첩망의 폭주 제어 방안을 제안한다.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에 의하여 정의된 CBDS(Connectionless Broadhand Data Service)을 위한 CL 중첩망은 프레임을 라우팅해 주는 CL 서버와 CL 가입자와 CL서버 또는 CL 서버를 연결해주는 링크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CL 중첩망에서, 두 종류의 폭주, 즉. CL 링크 폭주와 CL 서버폭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두 종류의 폭주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링크-바이-링크 방법[18]은 CL가입자와 CL서버간 또는 CL 서버간 ATM 계층의 ABR(Available Bit Rate) 궤환 루프와 CL 서버의 헤더 변환 테이블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출력 가상 채널의 폭주 발생시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모든 트래픽에 영향을 주게 되어 폭주에 관여하지 않은 트래픽에게도 영향을 주어 이 트래픽이 출력되는 출력 가상 채널의 링크 이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제한한 하이브리드 방법은 링크-바이-링크 방법의 ABR 궤환 루프, CL 계층의 종단의 CL 가입자간 궤환 루프, 그리고 헤더 변환 테이블을 이용한 폭주 상태표를 이용한다. 이 방안은 링크-바이-링크 루프와 헤더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폭주에 즉시 대처하고, 다음에 종단간 루프를 이용하여 실제 폭주에 관여한 CL 가입자의 전송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 PDF

인터넷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지연 시간 기반 전송률 제어 (Delay-based Rate Control for Multimedia Streaming in the Internet)

  • 송용헌;김남윤;이봉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9B호
    • /
    • pp.829-837
    • /
    • 2006
  • 패킷들은 네트워크 혼잡으로 인해 라우터에서 손실되거나 지연된다. 이러한 현상은 높은 Qos를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응용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DBRC)은 라우터큐의 점유율이 균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연 시간의 증가/감소에 따라 트래픽 전송률을 제어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TFRC와 비교 분석한 결과, DBRC 알고리즘은 안정적인 전송률 변화, 거의 일정한 지연 시간, 적은 패킷 손실을 보여주고 있다.

고속도로 합류부 분석모형 개발 및 서비스수준 평가 기법 개선 연구 (Development of Analysis Model and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 of LOS for Freeway Merging Areas)

  • 이승준;박재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15-128
    • /
    • 2006
  • 도로용량편람(2004)에 제시된 합류부 분석 방법론은 수요가 용량을 초과할 경우 정체가 발생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본선과 연결로 수요의 합이 용량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합류부에서는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의 분석방법으로는 본선 및 연결로가 정체발생과 관련하여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부 본선 및 연결로 수요교통량의 조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합류부 교통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형의 가장 큰 특징은 가변용량 개념의 도입인데 즉, 합류부 본선 및 연결로 수요교통량의 조합에 따라 정체되지 않고 통과될 수 있는 최대통과가능교통량 및 정체발생시의 최대통과교통량 산정에 있다. 이를 통해 합류부의 교통상태가 정체될 것인지, 또한 정체시 최대통과교통량 및 정체규모는 얼마가 될 것인지 추정할 수 있었다. 한편,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합류부 서비스수준 평가기법은 실제 교통상황을 반영하지 못함으로 인해 고속도로 현장에서는 정체상황이 발생되고 있으나 수요가 용량을 초과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정상교통류 상태로 평가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현실적인 합류부 서비스수준 평가기법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합류부 분석방법론을 토대로 새로운 합류부 서비스수준 구분 기준을 제시하였다.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에서 LAN연동을 위한 폭주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gesting control scheme for LAN interworkding in connectionless data service)

  • 박천관;전병천;김영선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3호
    • /
    • pp.29-38
    • /
    • 1998
  • This ppaer suggests a congestion control scheme for CL(ConnectionLess) overlay network using the feedback loops getween CL werver, between CL servers, and the header translation table of CL server. The CL overlay network for CBDS(Connectionless Broadband Data Service) defined by ITU0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consists of CL servers which route frames and links which connect between CL user and CL server or between CL servers. In this CL overlay network, two kinds of congestions, link congestion and CL server congestion, may occur. We suggest a scheme that can solve the congestion using ABR(Available Bit Rate) feedback control loop, the traffic control mechanism. This scheme is the link-by-link method suing the ABR feedback control loops between CL user and CL server or between CL servers, and the header translation table of CL server. As CL servers are always endpoints of ABR connections, the congestion staturs of the CL server can be informed to the traffic sources using RM(Resource Management) cell of the ABR feedback loops. Also CL server knows the trafffic sources making congestion by inspecting the source address field of CLNAP-PDUs(ConnectionLess Network Access Protocol - Protocol Data Units). Therefore this scheme can be implemeted easily using only both ABR feedback control loop of ATM layer and the congestion state table using the header translation table of CL server because it does not require separate feedback links for congestion control of CL servers.

  • PDF

RTT의 가중평균값을 이용한 혼잡 예측 기반 TCP 혼잡 제어 기법 (The Congestion Estimation based TCP Congestion Control Scheme using the Weighted Average Value of the RTT)

  • 임민기;김동회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81-388
    • /
    • 2015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혼잡한 상황에서 혼잡 제어를 수행하므로 신뢰성 있는 전송을 할 수 있지만 혼잡 회피(Congestion avoidance) 과정에서 혼잡으로 인한 패킷 드롭이 일어날 때까지 혼잡 윈도우의 크기를 증가시키므로 패킷 손실이 증가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RTT(Round Trip Time)를 이용한 새로운 혼잡 예측 TCP 혼잡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과도한 패킷 누적으로 인한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RTT 값들의 가중평균값인 SRTT(Smooth RTT)값을 측정한 후 패킷 전송 시에 같은 SRTT값을 가질 때를 혼잡한 상황이라 예측하여 혼잡 윈도우를 감소시키는 알고리즘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무선 구간에 의한 패킷 손실보다는 버퍼 오버플로우에 의한 패킷 손실이 클 경우에 패킷 손실률과 처리량 측면에서 좋은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선네트워크에서 TCP 트래픽 연결 혼잡제어에 관한 성능 개선 (An improved performance of TCP traffic connection congestion control in wireless networks)

  • 나상동;나하선;박동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64-270
    • /
    • 2006
  • TCP 전송제어 프로토콜은 원도우 기반에서 트래픽의 연결 효율성으로 인해 성능 처리율이 향상됨을 입증하고, 전송률을 제어하는 혼잡제어 성능을 연구한다. 무선네트워크에서 에러제어 휴지의 링크 이용율을 산출하여 양방향 노드를 동작시키고, 세그먼트를 전송하여 전송률을 나타낸다. 연결 혼잡 발생을 하지 않은 ACK승인 압축을 처리하여, 임계값에 의해 전송률을 증가시켜 종단 간 노드 큐의 크기에 따라 허용될 수 있는 부분까지 양방향 트래픽의 대역폭 연결효율성에 의해 지연이 거의 없는 처리율이 된다. 본 논문은 트래픽이 존재하는 비동기 전송 TCP 연결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피드백 연결 혼잡제어 수가 증가하여 성능이 개선됨을 나타낸다.

ATM 망에서 트래픽 다중화 정보에 의한 적응적 UPC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daptive UPC Algorithm Based on Traffic Multiplexing Information in ATM Networks)

  • 김영철;변재영;서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2779-2789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neural Buffered Leaky Bucket algorithm for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network performance caused by congestion and dealing with the traffic congestion in ATM networks. We networks. We justify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method through performance comparison in aspects of cell loss rate and mean transfer delay under a variety of traffic conditions requiring the different QoS(Quality of Service). also, the cell scheduling algorithms such as DWRR and DWEDF used for multiplexing the incoming traffics are induced to get the delay time of the traffics fairly. The network congestion information from cell scheduler is used to control the predicted traffic loss rate of Neural Leaky Bucket, and token generation rate is changed by the predicted values. The prediction of traffic loss rate by neural networks can effectively reduce the cell loss rate and the cell transfer delay of next incoming cells and be applied to other traffic control systems. Computer simulation results performed for traffic prediction show that QoSs of the various kinds of traffics are increased.

  • PDF

ATM ABR 서비스에서 큐 길이 변화를 이용한 개선된 폭주 제어 알고리즘 (Advanced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Using Change of Queue Length in ATM ABR Service)

  • 김체훤;강현철;곽지영;남지승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109-112
    • /
    • 2000
  • The EPRCA(Enhanced Proportional Rate Control Algorithm) is one of the explicit rate control algorithm recommended by the ATM forum. EPRCA algorithm is using only two threshold to buffer change is not considered for calculating ER value. In this paper to cover the shortage, two more variables are added for considering increase of buffer quantity. So calculating proper ER would avoid before getting into the congestion situation. To analysis the affect, EPRCA and proposed algorithm are compared through simulation by analysis of change of buffer length and ACR chan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