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genital missing tooth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익산지역 유치원 아동의 이중치와 결손치의 발생빈도에 관한 조사 연구 (THE PREVALENCE OF DOUBLE TEETH AND CONGENITAL MISSING TEETH IN PRESCHOOL CHILDREN OF IKSAN CITY)

  • 주진형;이광희;김대업;정영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0-216
    • /
    • 2003
  • 이중치는 쌍생치와 융합을 포함한다. 선천적인 결손치는 치아가 하나이상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익산시 유치원 어린이에서의 이중치와 선천적 결손치의 유병율을 조사하는 것이다. 조사 인원은 569명의 남아와 462명의 여아로 1,031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은 17개월에서 84개월의 연령이내였다. 이중치는 다양한 진단학적 치료적 문제를 가진다. 쌍생치는 하나의 치배가 두개의 치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임상적으로 동일한 두 개의 치관이 나뉘어져 거울상(mirror image)으로 보이게 된다. 융합치는 두 개의 치배가 합쳐져서 형성된 것으로 물리적인 힘이나 압력이 두 개의 정상적으로 분리된 치배를 접촉시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융합은 두개의 정상치아 사이에서 나타나거나 혹은 정상치아와 과잉치 사이에서 나타나는데 후자의 경우 쌍생치와 구별하기 힘들다. 1,031명중 23명(11명의 남아, 12명의 여아)이 이중치를 보이고 17명(8명 남아, 9명 여아)은 선천적 결손치를 보였다. 이중치의 유병율은 2.2%였다. 선천적 결손치의 유병율은 1.6%였다. 피검자중 1명은 이중치와 결손치를 가지고 있었다. 유치열기의 이중치와 선천적 결손치에서 모두 남녀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가족력을 동반한 부분적 무치증에 대한 증례보고 (OLIGODONTIA WITH FAMILIAL HISTORY -A case report-)

  • 정혜선;이제호;최형준;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9-185
    • /
    • 1997
  • The prevalence of congenital teeth missing is about 2-10% of population and it is more common in permanent dentition than primary dentition. In the patients with congenital missing teeth symptoms such as conical tooth, prolonged retention of primary tooth, tooth attrition. and deficient alveolar bone growth can be accompanied.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clinical observation of the congenital teeth missing brothers and their familial history are presented.

  • PDF

순구개열자의 선천결손치와 과잉치의 발생빈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REQUENCY OF CONGENITAL MISSING AND SUPERNUMERARY TEETH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강종화;강정숙;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9-326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equency of congenital missing teeth and supernumerary teeth in cleft patien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BCLP),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UCLP) and cleft palate alone(CP alone) groups. 97 cleft patients(BCLP 15, UCLP 70, CP alone 12) between 6-20 years old were evaluated. Panorama film, Orthodontic chart and initial intraoral photogram were employed for this research.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congenital missing teeth in total cleft samples was $57.7\%$, and the incidence of supernumerary teeth was $26.8\%$. Each incidence was higher than non-cleft. 2. The incidence of congenital missing teeth was the highest in BCLP and the lowest in CP alone. 3. The number of congenital missing teeth per perso was usually one, and the frequency was higher in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67.8\%)$, and maxillary second premolar$(14.9\%)$ than other teeth. 4. Most of tooth number anomalies in cleft patients were found in maxilla, especially adjacent region to the cleft site.

  • PDF

Consideration of Clinically Related Dental Anomalies: Prevalence and Association

  • Kim, Young-Ho;Kim, Seo-Hee;Baek, Seung-Hak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7-24
    • /
    • 2010
  •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ntal anomalies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dental anomalies in permanent teeth Materials and methods : The samples were 1,240 patients (760 females and 480 males, mean age=15.1 years) who visited the Samsung Medical Center. Dental anomalies were diagnosed using pre-treatment dental casts, radiographs, clinical examinations, and medical/dental histories. Prevalence and association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gender and sidedness.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 most common missing tooth was the lower lateral incisor, followed by the lower and upper second premolars. This particular dental anomaly is characteristic of the East Asian population (prevalence of congenital missing tooth=12.3%). The upper anterior area was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area (prevalence of supernumerary tooth was 1.5%). The presence of a supernumerary tooth was more prevalent in males than in females (p<.05, odds ratio=3.2).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tooth was the upper canine (prevalence of impacted tooth=4.3%). Unilateral impaction of the upper canine occurred significantly more often compared to bilateral impaction (p<.001). The prevalence of peg lateralis was 2.7%. The presence of congenital missing tooth was closely associated with peg lateralis (p<.01). If children aged 7~8 years have peg lateralis, the rest of the teeth should be checked for congenital absences. Conclusion : The early detection of dental anomalies and understanding of their associations help clinicians determine the appropriate treatment timing and methods of dealing with these anomalies.

  • PDF

하악 치열궁에서 제 3 대구치 맹출상태에 따른 밀집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ROWDING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THIRD MOLARS IN MANDIBULAR ARCH)

  • 송주헌;유영규;오창옥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73-785
    • /
    • 1994
  • It has been generally believed that the impaction or erup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s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growth of the mandible, size of mandibular arch and size of tee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the status of erup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s and the amount of mandibular crowding. The effect of missing of third moalrs to mandibular crowding was studied as well. 140 adult students of Yonsei University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tatus of mandibular third molars, Group 1) congenital missing group, Group 2) eruption group, and Group 3) impaction group. The tooth size, dimension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 and the amount of crowding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oth size between the missing group and the eruption group(p<0.05). Impaction group showed larger total tooth material, inci- sal tooth material, and individual tooth size except central incisors compared to missing group (p<0.05). Impaction group showed larger total tooth material, incisal tooth material compared to eruption group as well(p<0.05). When individual tooth size was compared, impaction group had larger central incisors, canines, and second premolars than eruption group(p<0.05). 2. Missing group showed larger intermolar width than impaction group and it was stati- stically significant(p<0.05). 3. When compared the amount of total crowding, impaction group showed the largest am- ount of crowding, then eruption group, and missing group showed the least amount of crowding respectively(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ssing stoup and eruption group in the amount of incisal crowding(p<0.05). Impaction group show- ed the largest amount of incisal crowding among all three groups(p<0.05).

  • PDF

유치열의 이중치 및 결손치의 발생빈도와 영구치열과의 상호관계 (THE PREVALENCE OF DOUBLE TEETH AND CONGENITAL MISSING TEETH IN PRIMARY DENTITION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PERMANENT DENTITION)

  • 양규호;임혜정;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47-453
    • /
    • 2007
  • 본 연구는 유치열에서 치아기형 발생빈도와 영구치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치아기형의 조기진단의 필요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2000년도에서 2005년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 2세에서 7세 사이의 어린이를 조사하여 유치열에서 이중치와 선천적 결손치의 유병율을 조사하고 그러한 유치열의 이상과 영구치열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134명의 남아와 120명의 여아로 총 254명의 파노라마 필름을 조사하였으며 이중 8명(5명의 남아, 3명의 여아)에서 유치열에서의 결손치가 발견되었고 4명(2명의 남아, 2명의 여아)에서 유치열에서의 이중치가 발견되었다. 유치열에서 이중치의 유병율은 1.6%였으며 선천적 결손치의 유병율은 3.1%였다. 피검자 중1명은 하악의 이중치와 상악의 결손치를 가지고 있었다. 유치열의 이상이 나타난 11명 중 7명에서 계승 영구치의 결손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 유치열의 치아기형이 나타난 경우 계승 영구치에서 치아결손이 빈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선천성 결손치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CONGENITAL MISSING TEETH)

  • 정해경;양연미;김재곤;백병주;정진우;김하나;김미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45-252
    • /
    • 2009
  • 치아의 선천성 결손은 치배의 발육이 시작되지 못하여 치아의 증식, 분화가 일어나지 못함으로서 발생하는 흔한 치아의 발육 이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결손치의 발생률, 결손치의 수, 발생부위와 결손치 환자에게서 나타난 다른 치아이상의 발생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6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파노라마를 촬영한 1,520명의 환자(2.9$\sim$17세)를 대상으로 제 3 대구치를 제외한 선천성 결손치의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1,520명 중 총 8.88%에서 결손치가 관찰되었으며, 남자가 9.05%,여자가 8.64%에서 결손치가 관찰되었다. 2.총 350개의 영구 결손치 중 하악 제 2소구치가 22.3%로 가장 발생률이 높았고, 하악 측절치, 상악 제 2소구치 하악 중절치, 상악 측절치 순이었다. 또한 총 18개의 유치 결손치 중 하악 유측절치가 가장 높은 발생률(50%)을 보였다. 3. 1개의 영구치 결손치를 가지는 환자는 43.3%, 2개는 34.3% 3개는 6.7%, 4개는 1.5%, 5개는 3.7% 6개 이상은 10.4%이었다. 또한 유치 결손치의 수는 1개는 86.7%, 2개는 13.3%이었다. 4. 결손치가 있는 환자 중 과잉치를 가지는 환자는 18명(13.3%)이 있었으며, 왜소치, 이소맹출, 융합치 등의 치아이상을 지닌 환자도 관찰되었다.

  • PDF

순구개열환자의 치아 수와 형태 이상에 관한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ANOMALLES OF NUMBER AND MORPHOLOGY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TEETH)

  • 백승학;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1-61
    • /
    • 2001
  • 순구개열은 선천성 악안면 기형 중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이며 특히 동양인에게 높은 빈도로 발생된다. 그리고 순구개열에서는 파열부 조직의 선천적 상실과 파열부 봉합 수술후 형성된 반흔에 의한 상악골의 열성장과 상악 악궁의 협착, 코의 형태 이상 등과 함께 치아의 수, 크기와 형태 및 맹출 이상도 높은 빈도로 동반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순구개열 환자의 치아 수, 형태 및 맹출 이상에 관한 임상적 자료를 수집,평가하여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88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였던 순구개열환자 241명의 초진시 교정 chart와 cleft chart, orthopantomogram, intraoral x-ray film, 진단용 모형을 사용하여 순구개열군 별로 매복치, 과잉치, 결손치, 왜소치의 유무와 위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결손치는 비교적 높은 발생빈도 ($56.8\%$)를 보였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제2소구치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순구개열 군별 결손치의 발생율은 구순구개열군과 구순치조열군이 구순열군과 구개열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구순열군, 구순치조열군, 구순구개연군 내에서 모두 양측성이 편측성에 비해 결손치의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 2. 과잉치는 $11.2\%$ 에서 발견되었으며, 장소별 발생빈도는 영구치열과 유치열에서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었다. 순구개열 군별 과잉치의 발생율은 구순열군, 구순치조열군, 구개열군, 구순구개열군의 순이었다. 3. 매복치는 $18.3\%$ 에서 관찰되었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에서 그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다. 순구개열 군별 매복치 발생율은 구순열군, 구순구개열군, 구개열군, 구순치조열군의 순이었다. 4. 왜소치는 $15.8\%$ 에서 발견되었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 와 상악 견치에서 가장 많았다. 순구개열군별왜소치의 발생율은 구순치조열군, 구순구개열, 구순열의 순이었다. 그리고 구개열군에서는 왜소치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상악 단일 치아 임프란트의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n upper single tooth implants)

  • 조수진;이근우;조규성;문익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383-393
    • /
    • 2003
  •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the amount of marginal bone loss between upper anterior area and upper posterior area with 71 upper single-tooth restorations on 2 stage machined $Br{{\aa}}nemark$ implants since Jan 1995. The second aim was to compare the bone defect group which had dehiscence and fenetration and the others in the upper anterior reg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 reason of missing tooth in the upper anterior region was trauma by 61%. While upper posterior region showed various reasons such as congenital missing, advanced periodontitis, trauma. 2. Peri-implantitis with fistula occurred 1 of 41 implants in the upper anterior group in 1 year after loading and 2 of 32 implants in the upper posterior group failed before loading. The 1 year success rate of upper anterior group was 97.56 %, and 93.75 % for upper posterior group. 3. The mean marginal bone loss in the upper anterior group was 0.44${\pm}$0.25 mm, while 0.57${\pm}$0.32 mm in the upper posterior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mean marginal bone loss (P${\pm}$0.10 mm at one year, and 0.48${\pm}$0.26 mm for the control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mean marginal bone loss was showen between bone defect group and the others at implan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upper anterior region showed less marginal bone loss than the upper posterior region. In case of missing single upper tooth, careful consideration on recipient residual ridge to determine proper implant diameter and length, sufficient healing time, proper loading would lead to implant success. Single tooth implants in the maxilla seemed to be an alternative to fixed partial dentures without damage to adjacent teeth.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복합 치아종 (COMPOUND ODONTOMA WITH CONGENITAL MISSING OF THE PERMANENT TEETH: CASE REPORTS)

  • 김하나;김재곤;백병주;한지혜;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79-684
    • /
    • 2007
  • 치아종은 치아조직의 비정상적인 과성장으로 인해 형성되는 외배엽성 상피세포와 중배엽세포로 구성된 혼합종양이다. 양성 치성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하며 신생물이라기보다 과오종으로 보고 있다. 치아종은 악골내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치아와 유사한 복합 치아종은 비교적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는 복잡 치아종은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일반적인 증상이 없어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주로 발견되며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매복, 유치의 만기잔존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증례는 매우 드물다. 치료는 외과적 제거가 추천되며 완전한 적출시 재발은 드물다. 본 증례는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복합 치아종 환자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