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fucianism

검색결과 669건 처리시간 0.03초

Confucianism in Vietnam: A Hauntology-based Analysis of Political Discourse

  • LINH Trinh Ngoc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3권1호
    • /
    • pp.87-108
    • /
    • 2023
  • From the time it was propagated to Vietnam until it was forced to relinquish its leadership position in both politics and philosophy, Confucianism in Vietnam was never orthodox Confucianism. This study employs the theory of invented tradition to examine how Confucianism penetrated the ethnic Vietnamese community at the turn of the first millennium and points out its vital requirement: the construction of a Chinese-style centralized administrative government based on Neo-Confucianism. This requirement unfolded during the Le So Dynasty in the fifteenth century. Moreover, the theory of invented tradition can also be applied to discover the motivation behind Neo-Confucianism's process of manufacturing orthodoxy to speed up the goal of Sinicization. Somehow, the launching of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meant to fulfill a system of bureaucracy, ended up resolving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of medieval times. It is to seek the ruler's uncritical submission to the ruled. This article applies hauntology to analyze two forms of Confucianism discourse in Vietnam. In doing so, this study determined that Confucianism evolved into its own unique system of thought in Vietnam and in the end, was not even recognizable as Confucianism. Throughout Vietnam's turbulent history, Confucianism shifted from a symbol of progress to one of backwardness. This culminated Vietnam's preoccupation with the de-Sinicization during the early twenty-first century.

정치유학의 사상연원과 쟁점 - 강유위康有爲와 장경蔣慶을 중심으로

  • 이연도
    • 중국학논총
    • /
    • 제61호
    • /
    • pp.323-340
    • /
    • 2019
  • As the continent's Neo-Confucianism has emerged as an issue recently, Kang You-wei has become a hot topic in Chinese thought circles. His view that the goal of Confucianism is ultimately to reformbased on the "ChunQiu Gongyang" has been drawing new attention in the 2000s with the emergence of Political Confucianism. This paper reviews Kang You-wei's study of Chun Qiu Gongyang, which could be called the ideological origin of continental Confucianism, and als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roblems of political Confucianism.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discussion of Confucian constitutionalism, an understanding of Kang You-wei should be preceded. Because most of the problems raised in continental political Confucianism, began with the idea of Kang, and they insist on returning to Kang You-wei as well.

儒释道在中国发展的过程特点及其对周边国家的影响 (som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Process of Confucianism-Buddhism-Taoism in China and Its Influence of Neighboring Countries)

  • 黄心川
    • 대순사상논총
    • /
    • 제17권
    • /
    • pp.227-237
    • /
    • 2004
  • The concrete, practical orientation of the Chinese toward the aim of communal harmony conditioned their approach toward philosophical differences. Ideological conflicts were seen, not only by the politicians but by the intellectuals themselves, to threaten societal well-being. Harmonious interaction was finally more important to these thinkers than abstract issues of who had arrived at the 'truth'. Perhaps the most obvious illustation of the way the Chinese handled their theoretical conflicts is to be found in mutual accommodation of the three emergent traditions of Chinese culture,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Beginning in the Han dynasty(206 BC-AD 200), the diverse themes inherited from the competing 'hundred schools' of pre-imperial China were harmonized within Confucianism as it ascended to become the state ideology. The harmony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raditional philosophical trend in China, is very important research subject at contemporary circumstance. For its cultual influences to surrounding nations, such as Korea, japan and Vietnam etc., are so crucial.

  • PDF

중국의 현대신유학 수용과 이해 - 1980년대 현대신유학 연구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Modern Neo-Confucianism in China : Accepting and Understanding Modern Neo-Confucianism in China)

  • 박영미
    • 한국철학논집
    • /
    • 제23호
    • /
    • pp.349-392
    • /
    • 2008
  • 현대신유학은 5.4운동 이후 중국사상의 근본정신 계승을 토대로 서양사상을 받아들여 중국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할 것을 주장하며 형성된 학파이다. 중국의 학술계는 현대신유학을 마르크스주의, 자유주의와 함께 중국근(현)대 3대사상으로 지칭한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이후 현대신유학자들은 대부분 홍콩, 대만 등지로 옮겨 활동하면서 그들의 철학과 문화보수주의를 이어갔다. 1978년 이전에는 금기시되었던 이들 사상은 1980년대 중반 현대신유학자들이 중국에서 활발한 강연, 저술 활동을 펼치면서 다시 주목받게 된다. 그리고 현대신유학에 대한 대규모의 연구가 1987년 국가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다. '전통과 현대화'의 문제를 고민하고 있던 중국은 현대신유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통의 고양과 현대적 전화의 가능성을 찾고자 했던 것이다.중국의 현대신유학 연구는 학술적으로는 단절되었던 전통사상을 계승하고 그 현대적 전화를 모색하는 것, 사회적으로는 이를 통해 자본주의의 폐단을 차단하고 통제하는 것, 정치적으로 사회주의의 중국화를 강화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1980년대 현대신유학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한 초보단계로 주로 현대신유가의 사상을 소개, 정리, 이해하는 것에 집중된다. 그리고 이는 마르크스주의자들에 의해 주도되고, 마르크스주의의 입장, 관점, 방법을 견지하며 진행된다.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진 수용과 이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1980년대 현대신유학 연구는 현대신유가 사상을 보급하고, 전통의 비판적 계승에 관한 논의를 확대하고, 현대화가 곧 서구화를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라는 인식을 제고하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

한의학(韓醫學)과 유학(儒學)에 나타난 심(心)에 대한 고찰(심경(心經)을 중심으로) (Study about heart by oriental medicine and confucianism(center point by simkyung(心經)))

  • 구병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9궈1호
    • /
    • pp.101-122
    • /
    • 1998
  • As a result I get the fallowing conclusions;1. Oriental medicine and confucianism have similar point about heart because oriental medicine and confucianism have same philosophical backing 2. Oriental physitian read the books complated by confucianism by confuncianism physitian because racial characterristics are based on confucian thoughts, and my race make much of the heart. So to use confucian thought to phychotheraphy need to study confucian In(仁) thought.3. Thought that oriental medicine refers man as small university and thought that man and heaven are same based on the ethical doctrine that man's inborn nature is good are same connection. but oriental medical aim is agreement external features of man with university, confucian aim is agreement heart of man with university4. Confucianism will be used in phychotheraphy because phychotheraphy requir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sychiatrist and patient and confucianism gives importance to man's relationship5. Oriental medical phychotheraphy deal prevention and cure at same time, but, confucianism deal prevention entirely. so confucianist target a saint by training at ordinary times.

  • PDF

대순진리회와 유가의 해원, 보은, 상생관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Grievance Resolution, Gratitude and the Perspective of Mutual Beneficence in Daesoonjinrihoe and Confucianism)

  • 양즈루
    • 대순사상논총
    • /
    • 제24_2집
    • /
    • pp.57-82
    • /
    • 2015
  • Grievance resolution, gratitude and mutual beneficence are not only an essential dogma of Daesoonjinrihoe but also a major issue which Chinese Confucian scholars have been concerned about.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mpares the perspectives of grievance resolution, gratitude, mutual beneficence based on basic scriptures of Daesoonjinrihoe and ancient Chinese Confucianism. With nurture and benevolence as core thoughts, the ways of ruling the world in righteousness and proprieties have common characteristics of Daesoonjinrihoe and Confucianism. The Heavenly Way, which is rather an abstract conception, is perceived as a Confucianism ultimate ground. Because Confucianism does what is right for nurture, embracing rationality, the religious aspects are not clearly defined,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Daesoonjinrihoe and Chinese Confucianism. In this regard, this study compar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ltures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유교가 베트남에서 국가이념으로 성립되는 과정 (The Road to Confucianism as a State Ideology in Vietnam)

  • 유인선
    • 수완나부미
    • /
    • 제3권1호
    • /
    • pp.1-23
    • /
    • 2011
  • This paper traces the process how Confucianism was established as a state ideology in Vietnam. Confucianism is said to have first been introduced into Vietnam around the early 3rd century. However, it had been outshone by Buddhism until the 1389s when Ho Quy Ly rose to power and emphasized pre-Qin Confucianism. In 1428, Lê Loi founded a new dynasty and changed the state ideology from Buddhism to Confucianism. Despite this radical shift, however, Confucianism was not firmly established at the beginning of the Lê Dynasty. It was Lê Thanh Tong (1460-1497) who fully established neo-Confucianism as the state ideology. The reason was that he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of Confucian texts from a young age and sought to strengthen his own royal authority by emphasizing the neo-Confucian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 PDF

명재 윤증의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변전(變轉) (A Study on Acceptance and Modification in Yulgok Neo-Confucianism by Myungjae Yoon Jeung)

  • 이영자
    • 한국철학논집
    • /
    • 제42호
    • /
    • pp.39-70
    • /
    • 2014
  • 명재 윤증의 성리학은 율곡의 성리학을 그대로 계승하거나 변형하는 형태로 전개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변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율곡성리학의 수용에서는 율곡성리학의 특징인 '이기지묘(理氣之妙)', '이통기국(理通氣局)',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의 측면에서 명재가 이러한 논리를 철저히 계승하고 있음을 밝히었다. 하지만 명재는 율곡성리학을 자신만의 독창적인 설법을 제시하며, 율곡의 학설을 변전 계승하고 있다. 첫째, 명재는 리의 주재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이용사(理用事)'라는 용어를 통해 도심, 인심, 인욕을 세 단계로 이해하는 데서 분명히 드러난다. 둘째, 명재의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은 주자나 율곡의 격물치지의 큰 틀 안에서 말하고는 있지만, 그 논법에 있어서는 양명학적 요소를 엿볼 수 있다. 셋째, 명재는 도심의 '기발'이나 인심의 '기발', '기용사'를 모두 부정적인 의미로 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것은 그가 리의 주재성을 고려하여 '기용사(氣用事)'를 이해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명재는 기호유학자로서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와 '이기지묘'적 입장에서 성리설을 더욱 정합화하고자 하였던 의도로 율곡성리학을 변전하여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그가 사변적인 성리논변 자체를 꺼리고, 실심에 기반하여 실공을 추구하고자 한 인생철학과, 선현들의 학설은 이미 풍부하므로 그 책들을 읽고 진지를 실천할 일이지, 그와 관계없이 저술에 힘쓰는 것은 무실의 학문이 아니라고 말했던 학문관과 일치한다. 다만 그 성향이 율곡학파 내에서도 '리'의 주재성을 가장 많이 강조한 학자군으로 분류되면서, 기호 소론이라는 새로운 학맥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것이 기호성리학에서 명재성리학이 갖는 가장 중요한 의의이다.

송대(宋代) 유학(儒學)과 금(金)·원대(元代) 의학(醫學)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Song Dynasty Confucianism and the Oriental Medicine from Geumwon Dynasty)

  • 김용훈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1-134
    • /
    • 2016
  • Objectives : This thesis analyzes how Song Dynasty(宋代) Confucianism(儒學) has influenced the Oriental Medicine during Geumwon Dynasty(金元代). Methods : This paper will compare with the literature of Zhuxi and the Oriental Medicine scholars of Jin(金) Yuan(元), and search for the correlation of the Confucianism(儒學) and the Oriental Medicine(東洋醫學). Results : During the era of Jin(金) Yuan(元), Confucian physicians(儒醫) were met a new phase of Medicine(醫學) by systematizing the clinical medicine and theory based on the Neo-Confucianism. Conclusions : This study recognizes how the era of Jin(金) Yuan(元) Confucian physicians(儒醫) medically perceived and reinterpreted the aspect of Zhuxi's Neo-Confucianism and theory of Changes.

최근 한국의 일본유학 연구 현황(2007년-2009년) (Recent Studies on Japanese Confucianism Research in Korea(2007-2009))

  • 임태홍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213-235
    • /
    • 2010
  • 이 글은 2007년 이후 2009년까지 한국에서의 일본 유학 연구 현황을 소개한 것이다. 요즈음 인문학 연구의 전반적인 침제에도 불구하고 일본유학에 대한 국내 연구는 조금씩 진전을 보이고 있다. 최근 국내에 일본과 중국, 대만 등지에서 이루어진 일본유학의 연구 성과가 활발히 정리, 소개되고 있으며, 일본사상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일본 학자들이 적극적으로 국내학계에서 초빙되어 연구 활동을 하고 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점도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일본 유학을 전공으로 한 석사와 박사의 배출도 있었다. 이 논문의 제 4장에서는 최근 3년 사이에 발표된 연구 성과를 일반적인 연구, 주자학파에 대한 연구, 이토 진사이에 대한 연구, 오규 소라이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인물을 중심으로 그 성과를 살펴보았는데, 전체적으로 보면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와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관련 논문이 많이 발표되었다. 아울러 소라이와 관련된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비교한다든지, 동아시아 차원에서 비교연구를 하는 연구가 많았다. 소라이의 『논어』해석과 관련된 논문, 소라이학에 대한 연구논문도 활발히 발표되었다. 전체적으로 평가해보면 한국에서 일본 유학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렇지만 최근에 작으나마 의미 있는 발전이 이루어져, 향후 국내학계의 일본유학연구에 밝은 전망을 기대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