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Studies on Japanese Confucianism Research in Korea(2007-2009)

최근 한국의 일본유학 연구 현황(2007년-2009년)

  • 임태홍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 Received : 2010.02.06
  • Accepted : 2010.03.13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studies and its tendency on Japanese Confucianism Research from 2007 to 2009 in Korea. In recent years, Japanese confucianism studies in Japan, China and Taiwan have been introduced to the academic society of Korea. And many scholars who major in Japanese thought have been invited to Korea and published the results of their research in Korea. Also, there have been researchers who obtained the degrees of Doctor or Master by researching Japanese thought. This paper, lastly, introduced the papers on the Japanese confucianism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recent 3 years. If we evaluate all the trend in researching Japanese confucianism in Korea, it can be said that it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Recently, however a small but significant advance has been acquired. In conclusion, we can expect the future of the Japanese confucianism studies in Korea.

이 글은 2007년 이후 2009년까지 한국에서의 일본 유학 연구 현황을 소개한 것이다. 요즈음 인문학 연구의 전반적인 침제에도 불구하고 일본유학에 대한 국내 연구는 조금씩 진전을 보이고 있다. 최근 국내에 일본과 중국, 대만 등지에서 이루어진 일본유학의 연구 성과가 활발히 정리, 소개되고 있으며, 일본사상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일본 학자들이 적극적으로 국내학계에서 초빙되어 연구 활동을 하고 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점도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일본 유학을 전공으로 한 석사와 박사의 배출도 있었다. 이 논문의 제 4장에서는 최근 3년 사이에 발표된 연구 성과를 일반적인 연구, 주자학파에 대한 연구, 이토 진사이에 대한 연구, 오규 소라이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인물을 중심으로 그 성과를 살펴보았는데, 전체적으로 보면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와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관련 논문이 많이 발표되었다. 아울러 소라이와 관련된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비교한다든지, 동아시아 차원에서 비교연구를 하는 연구가 많았다. 소라이의 『논어』해석과 관련된 논문, 소라이학에 대한 연구논문도 활발히 발표되었다. 전체적으로 평가해보면 한국에서 일본 유학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렇지만 최근에 작으나마 의미 있는 발전이 이루어져, 향후 국내학계의 일본유학연구에 밝은 전망을 기대하게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