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fucian theory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6초

석곡(石谷) 이규준(李圭晙)의 "석곡산고(石谷散稿)" 번역 연구(II) (A Study on "Seokgoksango(石谷散稿)" of Lee-Gyujun(李圭晙)(II))

  • 권오민;남성우;안상영;박상영;한창현;안상우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3-166
    • /
    • 2009
  • This article looks into Lee-Gyujun(李圭晙)'s life course, Confucian thoughts, and philosophical ideas on the Medicine of Boosting Yang(陽), by thoroughly translating and analyzing selectively the second half of Lee-Gyujun(李圭晙)'s "Seokgoksango(石谷散稿)". Translating his works is said to be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boosting-yang theory[扶陽論] in the historical landscape of Korean medicine, not to mention comprehension of the medical contents itself. Through this translation and analysis, first, it is found that Lee-Gyujun(李圭晙) had visited Seo-Changyu(徐贊奎) for over 10 years and had great influence on qi(氣) monism. Second, within the Gihohakpa(畿湖學派), Lee-Gyujun was much closer to Horon(湖論) rather than Nanron(洛論). Third, during his days, he became well known across the peninsula through his medical fame. Last, he wrote down the unknown manufacturing technique of dried ginger[乾薑].

  • PDF

고운사(孤雲寺) 건축(建築)의 집합유형(集合類型) 연구(硏究) (The Collective Types of Architecture in Temple Gowoon)

  • 김봉열
    • 건축역사연구
    • /
    • 제3권2호
    • /
    • pp.9-28
    • /
    • 1994
  • A collective theory is tried in analysis on the architectural history of Temple Gowoon in Gyongbook Province.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chronicle of construction was composed based on the critical study of the old documents. Secondly, the drawings of existing facilities were made after the field survey. And lastly, the collective theory was be able to extracted from the relation between chronicle and physical composion of the Temple Gowoon. The whole temple is composed of two territories, northern one and southern, which are divided by the central ravine. Northern territory was enlarged from Gukrakgeon's cluster through Myongboogeon's to Yeonsoogeon's. On the other hand, southern territory was reduced its position and its size from Daewoongeon's cluster, which was one of the main cluster, to Monigeon's, sub one. These processes were the results of the architectural adjustment, that is say, the dogmatic principles adapted in the topographical environments. The collective forms of clust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Gukrakgeon's cluster is composed of four buildings which enclose the empty inner court. Monigeon's is similar to the small temple type, Myongboogeon's selects the straggling form, and Yoensoogeon's has the type of Confucian shrine. The various types of clusters were the physical settings to symbolize the religious heirarchy of their buildigs. In the front of temple area, Gawoonloo, which located on the ravine and has a big volume, integrates straggling clusters.

  • PDF

유전학을 이용한 사상체질 감별법 개발 모델의 연구 (Model study for genetic research of Sasang constitution confirmation method)

  • 안환용;이용흔;임남규;김동희;박종오
    • 혜화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9-96
    • /
    • 2004
  •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 traditional Korean medical typology, was initially proposed to the oriental medical field in 1894 by the Korean Confucian scholar Jae-Ma Lee. The key principle of his theory is that all human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Tae-Yang, Tae-Eum, So-Yang, and So-Eum) based on the function of major organs such as the heart, liver, kidney and lungs as well as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body. Now there are many scientists that try to confirm the method to classify the four group using genetics.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some genes are may associated with Sasang constitution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Jae-Ma Lee who insist everybody can be divided from the birth and can not be changed during the life. Before the genetic research, we first suggest the genetic research model. It may be effective to carry out genetic research concerned with Sasang constitution.

  • PDF

한국(韓國) 성리학(性理學)에 있어서의 개인과 공동체 (Individual & Community in Korean Neo-Confucianism)

  • 이상익
    • 한국철학논집
    • /
    • 제38호
    • /
    • pp.97-128
    • /
    • 2013
  • 유교는 본래 개인주의보다 공동체주의와 친화성이 있다. 유교의 이상은 한마디로 '인륜공동체(人倫共同體)'의 실현이었다. 조선시대에는 화수회(花樹會)나 종계(宗契), 향약(鄕約)과 사창(社倉), 서원(書院)과 서당(書堂) 등이 크게 발달했는데, 이는 바로 유교적 인륜공동체를 지탱하는 세 축이었다. 이와 같은 전통적 공동체들은 '생래적 귀속집단'이라는 성격과 '자발적 계약집단'이라는 성격을 겸하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이들 공동체들은 혈연(血緣) 지연(地緣) 학연(學緣) 등 '연(緣)'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는 '생래적 귀속집단'이라 할 수 있지만, 반드시 개인의 자발적 참여의사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는 '자발적 계약집단'이었던 것이다. 또 이와 같은 전통적 공동체들은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성립한 공동체인 만큼, 공동체의 운영도 기본적으로 민주적 절차에 따랐다. 공동체 운영의 책임자들을 돌아가면서 맡고, 주요 안건을 회의에서 결정한 것 등이 그 증거이다. 한편, '전체의 질서와 개인의 개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이일분수론(理一分殊論)과 '공정(公正)한 원칙에 따라 사익(私益)을 추구해야 한다'는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 등 전통 성리학(性理學)의 수기론(修己論)은 '사적(私的) 개인'을 '공적(公的) 시민'으로 승화시키는 과정이었던 것이다.

서애 류성룡의 학문과 경국제세, 그리고 전쟁관리 (Scholarship, Statecraft, and War Management of Ryu Seongryong)

  • 최연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327-360
    • /
    • 2018
  • 유교 지식인 류성룡과 정치가 류성룡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동전의 양면이다. 유교 지식인의 학문은 경국제세(經國濟世)의 실천을 지향하고, 역사의 선례와 현장에 대한 치밀한 연구는 정치가의 성패를 좌우한다. 류성룡이 위기에 처한 조선의 실질적인 구원자가 될 수 있었던 것도 그가 이론과 현장을 구분하지 않고 양자를 변증법적으로 종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류성룡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류성룡이 주자 성리학에 안주하지 않고 양명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는 점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그가 정통 주자학자들과는 다른 실용주의적 경세관을 지니고 있었고, 그 결과 임진왜란이라는 사상 초유의 국란을 맞았을 때도 현실주의적 위기 대처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요컨대 이 글은 학문과 실천의 균형을 추구한 류성룡의 삶을 실용주의와 현실주의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제례진설에 나타난 상징성의 재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recognition of symbolism in Ancestral Memorial Rites Arrangement)

  • 이철영;박채원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4호
    • /
    • pp.85-95
    • /
    • 2022
  • 본 연구는 전통사회와 현대를 이어주는 제례(祭禮)가 의례(儀禮)의 전승(傳乘)이라는 관점에서 제례진설에 나타난 상징성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전통의례의 삶과 죽음에 대한 유교적 생사관과 사상적 바탕이 되었던 음양오행론, 우주구조의 이해와 사시(四時)의 변화로 나타난다. 제사상의 진설이 조상의 존재를 인정하고 상징체계를 통해 산 자와 죽은 자가 시간과 공간적으로 소통하는 의례적 도구로 이해하였다. 또한 사계절과 하늘·땅·지하의 공간을 제수(祭需)의 선정과 배열을 통해 상징화하고 구체화하였다. 현대 제례진설에서 위치를 결정하는 요인은 대상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을 필요로 한다. 이는 제물이 기능적 역할 뿐만 아니라 제물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시·공간적 상징성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례진설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과 상징체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제례문화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 - 소강절 역학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Zhu Xi's Theory of I-Qing in Yi Xue Qi Meng(易學啓蒙))

  • 이선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387-415
    • /
    • 2010
  • 이 논문은 향후 조선유학자들의 『역학계몽』의 수용양상을 연구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주로 『역학계몽』 원전을 분석하여 주자가 『역학계몽』을 지은 문제의식은 무엇이며, 그러한 문제를 풀어가는 논리와 사유의 특색은 무엇인가를 논의한 것이다. 주자의 문제의식은 당시 한대역학, 도교역학, 의리역학 등을 망라하여 새로이 계통이 있는 유가역학을 건립하려는데 있었다. 주자(朱子)는 문제해결을 위한 이론모델로 소강절(邵康節)의 선천학을 수용하고, 그의 선천개념을 변용하여 하락상수론을 제시한다. 하락을 자연의 이치가 담긴 역의 근원이자 성인의 심법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상수가 단순히 술수가 아니라, 자연의 이치와 성인의 심법을 드러내는 매체임을 밝힌다. 또한 십익의 내용들을 『역학계몽』의 주요탐구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그가 추구하는 상수가 이미 공자가 승인한 내용임을 정당화한다. 그리하여 하도의 중(中,태극), 소강절 선천학의 태극, 주렴계 태극도설의 태극을 하나로 회통시킴으로써 상·수·리가 일체가 되며, 우주론과 존재론, 수양론을 포괄하는 체계를 세우고자 하였다고 본다. 마치 리(理)와 기(氣)가 불리부잡(不雜不離)의 관계에 있듯, 상수와 리의 관계 역시 상호 밀착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수를 이치를 드러내는 매개로 보는 주자의 하락상수론은 당대의 번쇄한 상수론을 대체하여 「계사전」에 입각한 새로운 점법을 정비하고, 그에 의거하여 춘추전국시대의 점친 사례를 고증함으로써, 그의 상수론이 추상적 이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점법으로 적용가능함을 보여준다. 주자이후 중국학계에서 직접 『역학계몽』자체를 연구한 경우는 많지 않아, 조선에서 『역학계몽』관련 저작이 30편을 상회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향후 조선유학자들의 『역학계몽』연구를 탐색하는 것은 조선역학의 특색을 밝히는 하나의 통로가 될 것이다.

유학 심성론의 심리치료와 한의학적 활용에 대한 소고 -율곡의 인심도심도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Use of Psychotherapy and Korean Medicine for Eastern Philosophy -Focus on Diagram Theory of InShimDoShim of Yulgok)

  • 이정환;정선용;김종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5-181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n therapy through considering representative oriental philosophical thought in terms of psychotherapy and Oriental medicine. Methods: This study examines psychotherapy and oriental aspects of "Diagram theory of InShimDoShim" that Yulgok, a Neo-Confucian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wrote about action of the mind and suggests ways to use it. Results and Conclusion: Diagram theory of InShimDoShim contains much content that can be applied in psychotherapy. It has a positive perspective of human nature and looked at life as realization of nature and life as subjective self-realization.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of life are expressions of positive nature. By reinterpreting these experiences, humans contribute to the goal of life that expresses their nature in a healthy way. Yulgok defines a healthy mind capable of living a good life as "an inshim who listens to doshim's command". Therapists can adopt this mindset as the goal of psychotherapy. Yulgok said that the way of manifesting nature is only possible through energy, and that the clear and tidy of this temperament creates a healthy and unhealthy mind. In this part, it is possible to apply therapeutic intervention of the diagram theory of InShimDoShim and Oriental medicine. Oriental medicine can calm temperament by using a treatment method to regulate energy, and clear energy creates a healthy mind and body. The principle that the mind is composed of nature and energy provides a basis for psychosomatic medicine.

한국 중년여성의 성인 자녀와의 분리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the Parting Experience of Korean Middle-aged Women with their Children)

  • 신수진;박복남;강효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19-731
    • /
    • 2005
  •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parting with their children and to develop a grounded theory.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1 women in their 50's who had experienced parting with their children due to schooling, military service and marriage.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ased on symbolic interactionism was used. Results: 106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rough processe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was 'happy but sad' and the core category was a process of 'independence that is sorrowful yet delightful'. Four types were identified; the independent-type; submissive -type; family-reliant-type ; and fragile-type; based on the attachment to the child, state of mind, satisfaction of the situation, family support system and self-achievement. Conclus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the modern Korean middle-aged women who are considered to be the 'sandwich generation' since they have experienced a turbulent history and the change from a confucian parent-child lifestyle to a couple-oriented one, moved away from an attitude dependent on children in parting with them and started preparing for an independent late life. Based on the results, the verification research is advised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experience of parting with children.

  • PDF

다산의 『서경(書經)』인식 (Dasan Cheong Yagyong's perspectives on The Shoo King(『書經』))

  • 임헌규
    • 동양고전연구
    • /
    • 제59호
    • /
    • pp.297-324
    • /
    • 2015
  •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경학자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서경" 인식을 고찰,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산의 과제는 요순(堯舜)-주공(周公)-공자지도(孔子之道)라고 하는 본원유학의 원형과 정신을 복명(復命)하고, 그를 통해 질곡된 현실을 극복하는 데에 있었고, 그의 "서경"에 대한 관심과 해석 역시 여기에서 유래한다고 할 수 있다. 육서오경에 대한 방대한 식견과 청나라의 고증학적 경향, 심지어 일본의 유학연구에도 정통했던 다산은 "서경"에 대한 단순한 의문제기를 넘어, 체계 전반을 문제로 삼았다. 그래서 그는 후대 위작으로 간주된 고문(古文)의 유출경위를 증명하고, 방대한 자료를 검토하여 원 자료의 수집과 채록을 통해 "서경"의 본모습을 회복하려고 시도했다. 이 글은 다산의 이러한 시도에서 드러난 "서경"에 대한 인식과 그 특징을 제시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서경"이란 어떤 책이며, 왜 다른 어떤 경전보다 유독 판본과 진위 문제가 항상 발생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 다음 다산의 "서경" 연구과정을 서술하고, 거기서 나타난 다산의 관점과 특징을 대표작인 "매씨서평" 및 그 뒤의 저술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다산은 "서경"을 정치의 표준이 제시되어 있는 옛 성인의 정사를 알려주는 역사책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표준을 제대로 알아 소통하기만 하면 곧바로 현실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런데 그는 "서경"을 알기 위해서는 당연히 자구에 대한 훈고(訓?)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자구에 대한 훈고를 이루려 하면 우선 경문(經文)이 정립되어 있어야 하는데, "서경"은 잔결(殘缺)이 가장 많은 경전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는 당시 통행되고 있던 "상서" 중에서 후대에 위조된 부분을 변별한 다음, 그 본 모습을 회복하려고 시도한다. 다산이 회복하려고 했던 원형 "상서"란 공자가 직접 산정하고 서(序)를 썼다고 말한 100편("우서(虞書)" 20편, "하서(夏書)" 40편, "주서(周書)" 40편)이었다. 그러나 그는 공자가 편집했던 "상서" 100편의 원형회복이란 진본이 망실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그는 우선 방대한 문헌적 지식을 원용하여 한대 이전의 경전 가운데 신뢰할 수 있는 것을 채록 배열한 다음 여러 학설을 모으고("상서고훈수략(尙書古訓蒐略)"), 수집된 고훈들의 동이(同異)를 대비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 합본한다("상서고훈(尙書古訓)") 다산은 이런 시도의 목표는 "상서"를 해석하기 보다는 옛 원형을 보존하여(존고(存古)), "상서"의 본래 모습 혹은 대체(大體)을 알게 해 주는 단서를 제시하려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