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firmation

검색결과 1,778건 처리시간 0.026초

시내버스 승하차 의도분석 기반 사고방지 AI 시스템 연구 (A study on accident prevention AI system based on estimation of bus passengers' intentions)

  • 박성환;변선오;박정훈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1호
    • /
    • pp.57-6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시내버스 내 CCTV 시스템을 활용, 비전AI 기반의 승하차 승객 의도를 예측하여 사고방지가 가능한 시스템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YOLOv7 Pose 모델과 Object Tracking 기술을 활용하여 버스 내부의 승객을 감지하고 추적하며, LSTM 모델을 활용하여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예측한다. 시스템은 버스 내 CCTV 단말기 상에 설치 가능하여 운전 중 어느 때에나 승하차 여부 예측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자동 알람을 주어 승하차 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테스트 결과, 승객의 승차 의도를 분석하는 채널 A와 하차 의도를 예측하는 채널 C에서 각각 0.81과 0.79의 정확도를 달성하였으며, 실시간성을 보장하기 위해 GPU 환경에서 초당 최소 5 프레임 이상의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알고리즘을 통해 시내버스 운행 중의 승객 승하차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그 안전과 편의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하드웨어가 발전하고, DB를 통해 데이터가 많이 수집된다면, 이 또한 다양한 안전 관련 지표로의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더불어 본 알고리즘은 추후 자율주행 버스 상용화 시, 인간을 대신하여 승객 안전에 더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 생각되며, 기타 지하철 및 승객이 내리고 탈 수 있는 모든 대중교통 환경에의 확장 또한 가능하여 대중교통의 안전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학력 저하와 코로나19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Declining Academic Ability and COVID-19 - through Analysis of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 이새순;박진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3호
    • /
    • pp.251-26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낮추고 학력 저하를 불러온 원인이 비대면 수업만이 아니라 다른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많은 언론 보도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비대면 수업이 학생들의 학력저하에 주된 원인이라 하고 있다. 그러나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조사에서 함께 진행된 '코로나19 원격수업 환경 학생 설문조사'의 조사를 통해 학생들은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70~80% 대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고,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을 통해 2017년부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대체로 우하향 곡선을 그리면서 해마다 학력 저하가 이미 나타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정확한 확인을 위해 고등학생들의 모의고사 성적을 분석해본 결과 학생들의 성적은 정규분포 곡선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중위권의 수가 줄어들고 심각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오른쪽이 높은 U자형 분포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이 단순히 비대면 수업의 방식이나 질적인 부족함 때문이 아니라, 가정에서의 돌봄과 관리 등 환경적인 영향과 사교육에 대한 투자의 변화, 하위권으로 갈수록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하면서 온라인 기기 사용 시간이 증가하게 되었고, 학습과 무관한 온라인 콘텐츠와 게임, 동영상 시청 시간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있음을 찾았다.

폐암으로 오인된 면역글로불린 G4 연관 폐 질환: 2예에 대한 증례 보고 (Immunoglobulin G4-Related Lung Disease Mimicking Lung Cancer: Two Case Reports)

  • 박대윤;김수영;배석현;이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1168-1174
    • /
    • 2022
  • 면역글로불린 G4 (Immunoglobulin G4; 이하 IgG4) 연관 질환은 혈청 IgG4의 상승과 조직으로의 IgG4 양성 형질세포의 침윤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섬유 염증성 질환이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IgG4 연관 폐 질환은 다양한 영상의학적 소견을 보여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어렵고 특히 고형 결절 혹은 종괴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폐암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IgG4 연관 폐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른 영상의학적 소견 또한 폐암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전이나 림프관성 암종증처럼 보일 수 있다. 저자들은 수술을 통하여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IgG4 연관 폐 질환 2예를 경험하였다. 두 증례는 CT에서 고형결절 혹은 종괴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폐암과 연관되어 보일 수 있는 다른 영상의학적 소견을 동반하고 있어 폐암과의 감별이 매우 어려웠다. 혈청 IgG4 수치나 다른 장기의 침범 여부가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정확한 확진을 위해서 조직검사가 필요하다.

경피적 폴리 카테터 삽입을 이용하여 수술 후 장 누출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적 및 임상적 요인들 (Technical and Clinical Considerations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Postoperative Bowel Perforation by Percutaneous Foley Catheter Placement)

  • 조소영;오정석;이해규;최병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6호
    • /
    • pp.1389-1396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피적 폴리 카테터 삽입을 이용하여 수술 후 장 누출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적 및 임상적 요인을 분석함에 있다. 대상과 방법 이번 후향적 연구에는 32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수술 후 위장 누출은 컴퓨터단층촬영(CT)을 이용하여 진단되었고, 환자는 Jackson-Pratt 튜브 또는 이미지 유도 방법을 통해 경피적 경로로 누출 위치에 폴리 카테터 삽입을 시행 받았다. 성공은 합병증 없이 폴리 카테터를 성공적으로 제거한 것으로 정의하였고, 임상적 실패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경피성 폴리 카테터 배치는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 폴리 카테터 삽입은 CT에서 누출이 확인된 후 중앙값 10일(범위, 1~68)째에 시행되었다. 임상적 성공은 32명의 환자 중 26명(81%)에서 달성되었다. 통계학적 분석에서, 임상적 실패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 인자는 전신적 동반 질환(p < 0.001) 및 구강 섭취 실패(p = 0.015)였다. 결론 경피적 폴리 카테터 삽입은 수술 후 장 누출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 폴리 카테터 배치 후, 전신적 동반 질환의 유무 및 성공적인 구강식이를 빠른 시일 내로 시작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성공적인 회복에 중요한 요소이다.

Delayed Cancer Diagnosis in Thyroid Nodules Initially Treated as Benign With Radiofrequency Ablation: Ultrasound Characteristics and Predictors for Cancer

  • Myoung Kyoung Kim;Jung Hee Shin;Soo Yeon Hahn;Haejung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9호
    • /
    • pp.903-911
    • /
    • 2023
  • Objective: Regrowth after radiofrequency ablation (RFA) of symptomatic large thyroid nodules, initially treated as benign, sometimes turns out to be malignanci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ultrasound (US) characteristics of thyroid nodules initially treated as benign with RFA and later diagnosed as cancers, predictive factors for cancers masquerading as benign, and methods to avoid RFA in these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34 consecutive patients with 148 nodules who underwent RFA between February 2008 and November 2016 for the debulking of symptomatic thyroid nodules diagnosed as benign using US-guided biopsy. We investigated the pre-RFA characteristics of the thyroid nodules, changes at follow-up after RFA, and the final surgical pathology. Results: Nodule regrowth after RFA was observed in 36 (24.3%) of the 148 benign nodules. Twenty-two of the 36 nodules were surgically removed, and malignancies were confirmed in seven (19.4% of 36). Of the 22 nodules removed surgically, pre-RFA median volume (range) was significantly larger for malignant nodules than for benign nodules: 22.4 (13.9-84.5) vs. 13.4 (7.3-16.8) mL (P = 0.0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growth interval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nodules (P = 0.49). The median volume reduction rate (range) at 12 months was significantly lower for malignant nodules than for benign nodules (51.4% [0-57.8] vs. 83.8% [47.9-89.6]) (P = 0.01). The pre-RFA benignity of all seven malignant nodules was confirmed using two US-guided fine-needle aspirations (FNAs), except for one nodule, which was confirmed using US-guided core-needle biopsy (CNB). Regrown malignant nodules were diagnosed as suspicious follicular neoplasms by CNB.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malignant nodules revealed follicular thyroid carcinomas, except for one follicular variant, a papillary thyroid carcinoma. Conclusion: Symptomatic large benign thyroid nodules showing regrowth or suboptimal reduction after RFA may have malignant potential. The confirmation of these nodules is better with CNB than with FNA.

Prevalence, natural progression, and clinical practices of upper gastrointestinal subepithelial lesions in Korea: a multicenter study

  • Younghee Choe;Yu Kyung Cho;Gwang Ha Kim;Jun-Ho Choi;Eun Soo Kim;Ji Hyun Kim;Eun Kwang Choi;Tae Hyeon Kim;Seong-Hun Kim;Do Hoon Kim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6호
    • /
    • pp.744-753
    • /
    • 2023
  • Background/Aim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natural progression of subepithelial lesions (SELs)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UGI) tract.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UGI SELs who underwent endoscopic screening at eight university hospitals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10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follow-up evaluations were performed until December 2016. Results: UGI SELs were found in 1,044 of the 65,233 participants screened (endoscopic prevalence, 1.60%; the total number of lesions, 1,062; mean age, 55.1±11.2 years; men, 53.6%).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48 (range, 8-74) months. SELs were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stomach (63.8%) and had a mean size of 9.9±6.1 mm. 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 was performed in 293 patients (28.1%). The most common lesions were leiomyomas, followed by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 and ectopic pancreas. The proportions of SELs with malignant potential according to size were 3% (<1 cm), 22% (1-2 cm), 27% (2-3 cm), and 38% (≥3 cm). In gastric SELs larger than 1 cm, resections were performed in 20 patients because of an increase in size, of which 12 were found to be GISTs.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UGI SELs was 1.60%. Further, 23% of gastric SELs ≥1 cm were precancerous lesions, most followed by EUS and clinical decisions without initial pathological confirmation.

Management of asymptomatic to mild COVID-19 patients with Cheongpebaedok-tang on the telemedical basi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ase series

  • Sung-Woo Kang;Kwan-Il Kim;Mideok Song;Jinhwan Roh;Namhun Cho;Heung Ko;Sung-Se Son;Minjeong Jeong;Jun-Yong Choi;Ojin Kwon;Seojung Ha;Hee-Jae Jung;Beom-Joon Lee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58
    • /
    • 2023
  • Objective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heongpebaedok-tang,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provided via telemedicine to patients with asymptomatic to mild COVID-19 in Korea. Methods: From February to April 2020, a retrospective analysis investigated COVID-19 patients treated via Korean telemedicine. The study involved asymptomatic to mild cases receiving Cheongpebaedok-tang more than three times, along with continuous Korean medicine care in convalescence. Diagnoses and treatment adhered to the telemedicine guidelines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with varied Cheongpebaedok-tang prescriptions based on symptom severity. Symptom evaluation involved a detailed assessment using a 15-item tool at initial and final sessions. Results: The study included 27 patients, with a mean age of 48.7 ± 2.3 years (mean ± standard error). Patients began self-administering oral Cheongpebaedok-tang for an average of 19.4 ± 1.8 days after the date of COVID-19 diagnosis confirmation and continued the medication for 15.8 ± 1.2 days. The reported side effects of the Cheongpebaedok-tang included palpitations (11.1%), insomnia (7.4%), dizziness (3.7%), and diarrhea (3.7%). All side effects disappeared after adjusting the prescription according to standard treatment guidelines. The occurrence of all COVID-19-related adverse symptoms, except fatigue and myalgia, decreased. Fatigue was the most common chronic symptom persisting after 6 months (51.9%), followed by ocular symptoms (37.0%) and sore throat (22.2%). Conclusions: This study implies Cheongpebaedok-tang may offer a potentially safe, symptom-alleviating approach for managing mild COVID-19 cases via telemedicine, although further comprehensive research is warranted.

정부의 R&D 지원과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이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Government's R&D Support and the Introduction of Stock Options by Venture Companies on the Innovation Achievement of Venture Companies)

  • 김호현;박형준
    • 벤처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17-39
    • /
    • 2024
  • 본 연구는 정부의 R&D 지원과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이 벤처기업의 혁신, 즉 혁신역량 및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벤처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델링(PLS-SEM) 방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 R&D 지원의 수혜 여부는 벤처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D 지원은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은 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은 정부의 R&D 지원 및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과 기업의 혁신성과 사이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벤처기업의 혁신에 있어서 정부의 R&D 지원과 스톡옵션 제도의 활용이 의미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아울러 혁신의 프로세스에서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이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벤처기업에 대한 R&D 지원의 기조를 꾸준히 이어나가면서 동시에 기업의 역량강화를 지원하는 다면적 정책수단을 투입할 필요가 있으며, 스톡옵션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정비와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성인형 알렉산더병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및 추적 관찰상의 변화: 증례 보고 (Characteristic MR Imaging Features and Serial Changes in Adult-Onset Alexander Disease: A Case Report)

  • 오하윤;윤라경;이지예;권오현;이웅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736-744
    • /
    • 2023
  • 성인형 알렉산더병은 운동 실조, 경련성 마비 또는 뇌간 징후를 나타내는 드문 유전 질환이다. 성인형 알렉산더병의 진단은 흔히 자기공명영상 검사 소견을 통해 내려진다. 이에 저자들은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이하 GFAP) 유전자 변이 분석을 통해 확진된 37세와 61세 성인형 알렉산더병 환자의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추적 검사상 변화 사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자기공명영상에서 환자들은 전형적인 뇌간 위축과 백질 이상 소견을 보였다.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을 바탕으로 추정진단을 내렸으며 이후 GFAP 유전자 변이 분석을 통해 확진되었다. 또한, 추적 관찰 검사에서 연수와 상부 경부 척수 위축의 진행을 보였다. 이러한 성인형 알렉산더병의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감별진단을 위한 GFAP 유전자 검사 시행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resence and diversity of free-living amoebae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 as water quality indicators

  • Areum Choi;Ji Won Seong;Jeong Hyun Kim;Jun Young Lee;Hyun Jae Cho;Shin Ae Kang;Mi Kyung Park;Mi Jin Jeong;Seo Yeong Choi;Yu Jin Jeong;Hak Sun Yu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2권2호
    • /
    • pp.180-192
    • /
    • 2024
  • Free-living amoebae (FLA) are found in diverse environments, such as soils, rivers, and seas. Hence, they can be used as bioindicators to assess the water quality based solely on their presence.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presence of FLA in river water by filtering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various sites and culturing the resulting filtrates. FLA were detected in all the water samples with varying quality grades (Grades I-V).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ize of the amoebae population with the deterioration in the water quality. Monoxenic cultures of the amoebae were performed, and genomic DNAs were isolated, among which 18S rDNAs were sequenced to identify the amoeba species. Of the 12 species identified, 10 belonged to the Acanthamoeba genus; of the remaining 2 species, one was identified as Vannella croatica and the other as a species of Vermamoeba. Acanthamoeba was detected in samples with Grades I to VI quality, whereas the Vermamoeba species was present only in Grade I water. V. croatica was found exclusively in water with Grade II quality. Following morphological observations, genomic DNA was sequenced using 16S rDNA to determine whether the species of Acanthamoeba harbored endosymbionts. Most of the isolated Acanthamoeba contained endosymbionts, among which 4 species of endogenous bacteria were identified and examin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distribution of amoebae other than Acanthamoeba may be associated with water quality. However, further confirmation will be required based on accurate water quality ratings and assessments using a more diverse range of F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