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e-beam

검색결과 976건 처리시간 0.019초

방사선치료용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Gated Cone-Beam CT의 유용성 연구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Gat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on Radiation Therapeutic Linear Accelerator)

  • 서정민;김찬형;박병석;박철수;장현철;김정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932-6939
    • /
    • 2015
  • 환자의 호흡은 방사선치료에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종양을 치료하는 방사선 치료용 선형가속기에서 시행하는 기존의 cone-beam CT에서는 호흡에 의한 움직임이 반영되지 않아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여 정확하지 못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는 호흡에 의한 움직임을 고려하고 특정 순간을 포착한 gating을 적용하여 획득한 back projection 영상을 이용하여 cone-beam CT 영상으로 재구성하였으며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다. 기존의 방법은 영상 왜곡도가 400%에 달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시행한 gating을 적용한 cone-beam CT는 약 2%에 불과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호흡의 움직임을 반영한 영상유도 방사선치료의 방향과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LID (Lyon Intraoperative Device) 이용한 수술중 방사선치료시 전자선의 선량분포 특성 (The dosimetric Properties of Electron Beam Using Lyon Intraoperative Device for Intraoperative Radiation Therapy)

  • 김계준;박경란;이종영;김희연;성기준;추성실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85-93
    • /
    • 1992
  • 수술중 방사선치료를 환자에 적용하기에 앞서 본원이 보유하고있는 LID를 이용한 전자선의 선량분포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선량 특성에 대한 자료는 적절한 Cone의 모양이나 크기, 에너지를 결정하게하며 빠르고 정확한 계산을 위하여 필요하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3-Dimensional Water Phantom Dosimetry System를 이용하여 Cone의 크기, Cone의 모양, 보상필터 사용 유무에 따라 Cone의 출력인자, 조직표면선량, 선축상 최대치 지점, $90\%$의 깊이, 대칭도와 편평도, SSD 보상인자, 선량분포 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one의 출력인자는 Cone모양에 따라 각각 측정하였으며 Cone의 크기와 에너지가 작을수록 급격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2) 보상 필터의 하나인 Flattening Filter를 사용한 결과 포면 선량이 6 MeV, 9 MeV, 12 MeV에 대하여 각각 $85.3\%$, $89.2\%$, $93.4\%$였고, 이 보상 필터를 사용하므로 선량률과 beam의 투과율은 감소하지만 치료부위에 따라 beam의 모양을 변형시키며 특히, 표면선량을 $90\%$나 그 이상으로 증가시킬수 있었다. 3) 3차에 걸친 beam의 collimation과 보상 필터를 결합하여 사용한 결과 매우 좋은 beam의 균일성과 편평도 뿐만아니라 $90\%$ 등선량곡선 넓이가 커지는 결과를 보였다. 4) 치료를 위하여 중요한 간격인 SSD 100cm에서 SSD 110cm까지의 출력인자는 측정치와 계산치가 Cone의 크기와 모양, 에너지에 따라 $1\~3\%$의 차이를 보였다.

  • PDF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자연치 치간거리의 평가 (Evaluation of interdental distance of natural teeth with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 오상천;공현준;이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78-283
    • /
    • 2017
  •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이상적인 임플란트 근원심적 식립 위치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T)을 사용하여 건강한 자연치열에서 백악-법랑 경계부와 치조골 흡수를 가정한 그 하방 2 mm에서 전치, 소구치, 대구치의 치간거리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cone-beam CT를 촬영한 건강한 치열의 200명 환자를 선정하였다. Cone-beam CT 이미지를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파일로 전환하여,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였고, cone-beam CT 이미지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head reorientation을 시행한 후,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재구성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얻었다. 모든 계측은 3명의 치과의사에 의해 최적화된 파노라마 이미지 상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백악-법랑 경계부에서 상악 평균 치간거리는 전치 1.84 mm, 소구치 2.07 mm, 대구치 2.08 mm 그리고 하악은 전치 1.55 mm, 소구치 2.20 mm, 대구치 2.36 mm였다. 백악-법랑 경계부 하방 2 mm에서 상악 평균 치간거리는 전치 2.19 mm, 소구치 2.51 mm, 대구치 2.60 mm 그리고 하악은 전치 1.86 mm, 소구치 2.53 mm, 대구치 3.01 mm였다. 결론: 자연치열에서 치간거리는 전치부보다는 구치부에서 더 컸으며, 백악-법랑 경계부보다 그 하방 2 mm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전 치열에서 가장 좁은 곳은 하악 전치, 가장 넓은 곳은 하악 대구치였다.

유전체 경계면에 경사지게 입사하는 beam cone의 해석과 그 응용 (Beam cone analysis and its applications for the beams obliquely input to dielectric boundaries)

  • 이병호;민성욱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3A권5호
    • /
    • pp.142-148
    • /
    • 1996
  • It is shown that a simple vector analysis method can provide beam cone shapes for laser bemas non-paraxially input to dielectric boundaries with inclination. Acceptance coen shapes for angled-endface fibers are calculated by the method. Beam cone shapes inside InP substrates are also calculated by the method for the coupling of an optical fiber and an InP-based photodiode using a Si v-groove. The effectiveness and errors of the recently suggested matrix method for inclined boundaries are also studied.

  • PDF

상악 정중과잉치 진단을 위한 cone beam CT의 유효선량 (EFFECTIVE DOSE FROM CONE BEAM CT FOR IMAGING OF MESIODENS)

  • 한원정;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3-279
    • /
    • 2012
  • 목적: 상악 정중과잉치의 영상진단 시 시행되는 콘빔 전산화단층촬영술에 대한 환자의 방사선 피폭을 유효선량으로 평가하고, 치근단 및 파노라마방사선촬영술의 방사선피폭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선량 측정용 두경부 마네킨의 23부위에 열형광선량계 소자를 위치시키고 해당 방사선촬영술을 시행하였다. 열형광선량계 판독기로 흡수선량를 측정하고 방사선 조사된 조직의 비율을 곱하여 방사선 가중선량을 구한 후,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에서 2007년에 공지한 조직 가중계수를 이용하여 유효선량을 구하였다. 결과: 조직 및 기관의 흡수선량은 콘빔 전산화단층촬영술, 치근단방사선촬영술 그리고 파노라마방사선촬영술에서 뺨, 하악체, 이하선에서 가장 높았다. 유효선량은 콘빔 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48 ${\mu}Sv$, 치근단방사선촬영술에서는 2 ${\mu}Sv$ 그리고 파노라마방사선촬영술에서는 18 ${\mu}Sv$였다. 결론: 상악 정중과잉치 진단 시, 추가적인 진단학적 정보를 제공하지만, 콘빔 전산화단층촬영술은 일반 치근단 및 파노라마 방사선촬영술보다 방사선피폭이 크다.

A rare case of dilated invaginated odontome with talon cusp in a permanent maxillary central incisor diagnosed by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Jaya, Ranganathan;Kumar, Rangarajan Sundaresan Mohan;Srinivasan, Ramasamy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3권3호
    • /
    • pp.209-213
    • /
    • 2013
  • It has been a challenge to establish the accurate diagnosis of developmental tooth anomalies based on periapical radiographs. Recently, three-dimensional imaging by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has provided useful information to investigate the complex anatomy of and establish the proper management for tooth anomalies. The most severe variant of dens invaginatus, known as dilated odontome, is a rare occurrence, and the cone beam computed tomographic findings of this anomaly have never been reported for an erupted permanent maxillary central incisor. The occurrence of talon cusp occurring along with dens invaginatus is also unusual. The aim of this report was to show the importance o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n contributing to the accurat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the complex anatomy of this rare anomaly.

Cone beam CT findings of retromolar canals: Report of cases and literature review

  • Han, Sang-Sun;Park, Chang-Se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3권4호
    • /
    • pp.309-312
    • /
    • 2013
  • A retromolar canal is an anatomical variation in the mandible. As it includes the neurovascular bundle, local anesthetic insufficiency can occur, and an injury of the retromolar canal during dental surgery in the mandible may result in excessive bleeding, paresthesia, and traumatic neuroma. Using imaging analysis software, we evaluated the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of two Korean patients who presented with retromolar canals. Retromolar canals were detectable on the sagittal and cross-sectional images of cone-beam CT, but not on the panoramic radiographs of the patients. Therefore, the clinician should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retromolar canals by preoperative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additional cone beam CT scanning would be recommended.

Cone Beam형 CT와 파노라마 영상에서 하악궁의 영상 왜곡 분석 (Analysis of Image Distortion by Mandibular Arch Form in Cone Beam CT and Panoramic Image)

  • 정천수;이기흔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01-305
    • /
    • 2013
  • Cone Beam CT 데이터를 3차원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존의 파노라마 영상과 재구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재현해서 악궁형태에 따른 치아의 왜곡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Cone Beam CT의 횡단면 영상과 재구성 파노라마에서 측정된 치아의 직경은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큰 변화없이 일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파노라마는 전치부에서 약간의 왜곡이 보이다가 구치부로 갈수록 왜곡이 더 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환자 개개인의 악궁에 맞게 재구성된 파노라마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노라마 촬영보다 왜곡이 더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파노라마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왜곡이 더 심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 또한 재구성된 파노라마 영상에서는 왜곡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과 cone beam CT에서 제3대구치와 하악관의 관계 평가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mandibular canal using panoramic radiograph a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정연화;나경수;조봉혜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8권3호
    • /
    • pp.163-167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anal in relation to the mandibular third molar by cone beam CT in cases show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molar and the mandibular canal on the panoramic radiograph. Materials and Methods : The panoramic images and cone beam CT scans of 87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in 60 patients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tooth relationship to the mandibular canal. The clearness of the canal wall and the vertical depth of the lower third molar were evaluated on panoramic radiographs. The lower third molars were assessed using cone beam CT to determine the proximity and position of the canal relative to the roots. Results : In the 66 cases where the canal wall was unclear on the panoramic radiographs, 58 (87.9%) of the third molars had contact between the canal and root; 34 (51.5%) canals were showed an inferior position and 22 (33.3%) showed a linguoinferior position on cone beam CT. Conclusion : Interruption of the canal wall on panoramic radiographs was highly predictive of contact between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third molar. Cross sectional CT may be indicated for localiz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in such cases.

  • PDF

치과용 콘빔 CT를 이용한 상악 정중과잉치의 3차원 분석 (Three dimensional evaluation of impacted mesiodens using dental cone beam CT)

  • 이동호;이재서;윤숙자;강병철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0권3호
    • /
    • pp.109-114
    • /
    • 2010
  •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position, pattern of impacted mesioden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adjacent teeth using Dental cone-beam CT. Materials and Methods : Sixty-two dental cone-beam CT images with 81 impacted mesiodenses were selected from about 2,298 cone-beam CT image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une 2006 to March 2009. The position, pattern, shape of impacted mesiodenses and their complications were analyzed in cone-beam CT including 3D images. Results : The sex ratio (M : F) was 2.9 : 1. Most of the mesiodenses (87.7%) were located at palatal side to the incisors. 79% of the mesiodenses were conical in shape. 60.5% of the mesiodenses were inverted, 21% normal erupting direction, and 18.5% transverse direction. The complications due to the presence of mesiodenses were none in 43.5%, diastema in 19.4%, tooth displacement in 17.7%, delayed eruption or impaction in 12.9%, tooth rotation in 4.8%, and dentigerous cyst in 1.7%. Conclusions : Dental cone-beam CT images with 3D provided 3-dimensional perception of mesiodens to the neighboring teeth. This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management of the impacted mesiod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