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mputer science education

Search Result 2,69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urvey Study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UML-based Education for Novice Computer Programmers (컴퓨터 초보자 소프트웨어교육에 있어서의 UML 도구의 적합성 연구)

  • Kim, Yun-Woo;Oh, Ji-Hye;Oh, Uran;Park, Hyun-Seok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22 no.6
    • /
    • pp.3-11
    • /
    • 2019
  •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UML (Unified Modelling Language) in terms of educating novice software engineers, we have conducted a survey study with 102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mandatory course for sophomores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UML 1) has high satisfaction rate among software novices as an education material, 2) improves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3) increases the efficacy of learning when the education program is implemented in the order of UML, programming practice, and physical computing. This paper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UML as a new education paradigm in software education.

A Study on Comparing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Hours between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공립초등학교와 사립초등학교의 정보교육 시수 비교 연구)

  • Choi, Moonseok;Shin, Seungk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8a
    • /
    • pp.107-112
    • /
    • 2021
  •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hours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privat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find out how many lesson hours are required. According to online discussion particip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urvey results, it was found that students and parents wanted computer science education to be strengthened. Information education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consists of a separate unit in the practical subject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is to be implemented for more than 17 hours.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average hour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based on school reminder of 28 privat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t was found that about 152 hours of information education were being operated for 6 years. This is about 9 times the gap in education hours compared to public elementary schools. Artificial intelligence is emerging as important, so the lesson hours of information education must be secured to strengthen students' future competency in morden society. Therefore, informatics curriculum should be independent as a subject and secure the number of hours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 PDF

Digital Contents for Learning Computer Science using Unplugged CS

  • Han, Sun-Gw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4 no.6
    • /
    • pp.37-43
    • /
    • 2019
  •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ontents using Unplugged CS method to learn computer science knowledge. With the strengthening of software education, all universities students including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demanding knowledge of computer science centered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We have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using unplugged computing method as a way to effectively learn the concept of computer science. First, we analyze the related research of Unplugged CS theory and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thod accordingly. And we divided the areas of computer science and selected learning concepts in each area. The contents of learning were divided into basic and intermediate classes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learner. The subject of learning contents was selected evenly in the area of computer science and it consisted of 16 basic subjects and 16 intermediate subjects based on concepts that are important in each field.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Unplugged CS learning topic and the development contents for computer science, we conducted expert reviews and content validity tests. As a result of the validity test, the validity of the learning topic and area selection was found to be more than .92 for the CVI value and the validity of the 32 subject learning contents was over .935 in basic level and .925 in intermediate level for the CVI values. Based on the design contents, we developed digital contents for online learning and put them in the system.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computer science for all, including elementary and junior-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at software - oriented universities, and contribute to the spread of software education.

A Case Study on Inform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 using Unplugged Computing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이용한 예비교사의 정보교육 사례 연구)

  • Han, Hee-Seop;Han, Seon-K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3 no.1
    • /
    • pp.23-30
    • /
    • 2009
  • In this study, we proposed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hat assists efficiently the conceptual comprehension and teaching skill development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The program is integrated with Protype Theory and Example Theory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And also the real teaching activities based on Unplugged Learning are provided for conceptual comprehension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as well as for learning computer science. This program was applied to 31 pre-service teachers for one semester. The results show that this program is very effective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 PDF

Development of Smart Device based Elementary Robot Programming Course for Improving Convergence Thinking (융합적 사고 향상을 위한 스마트 기기 기반의 초등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 개발)

  • Yoon, Il-Kyu;Jang, Yun-Jae;Lee, W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235-23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 가능한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초등 학습자들의 융합적 사고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초등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융합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융합 과정을 체계적으로 체험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구체화 할 수 있는 환경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융합 과정을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게 세분화하고 학습자들의 흥미와 창의성 발현에 효과적인 스마트 기기 기반의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구체화 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설계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Contents in Real Life for Improving Algorithmic Thinking of Elementary Gifted Student in Information (초등 정보영재의 알고리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중심의 컨텐츠 개발)

  • Jeon, Su-Ryun;Nam, Dong-Soo;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25-228
    • /
    • 2011
  • 창의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영재 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 영재를 위한 연구는 수학이나 과학 영재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며, 특히 초등 정보영재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은 창의적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보다 학습자의 수준에 맞지 않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사용법이나 문법 위주의 교육에 치중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초등 정보영재의 알고리즘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생활 중심의 컨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제를 선정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Polya의 문제해결모형을 토대로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고 그 안에서 알고리즘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알고리즘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컨텐츠를 설계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Based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기반 차세대 교육용 콘텐츠 설계방안)

  • Han, Jae-Hyeop;Cheon, Yoon-Hee;Sohn, Won-Sung;Choy, Jin-Yong;Choy, Yoon-Chul;Lim, Soon-Bum;Han, Tack-D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269-274
    • /
    • 2009
  • 차세대 기술과 접목된 교육용콘텐츠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디지털교과서가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실험 및 적용 단계에 있으나 학습내용이 고정적이고 제한된 콘텐츠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흥미와 몰입감 및 학습효과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증감형 콘텐츠를 설계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몰입감 및 상호작용을 높여야 한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태블릿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콘텐츠로 학습을 할 때 관찰하기 어려운 가상의 정보 제공 및 부가적인 정보를 활용하며 상황 인지를 통해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가이드라인이나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차세대 교육용 콘텐츠를 설계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디지털교과서 적용 시 효과적인 개발방안이 될 것이다.

  • PDF

Design of Digital Inking based Educational Contents (디지털 잉크 기반의 교육용 콘텐츠 설계)

  • Hwang, Won-Je;Cheon, Yoon-Hee;Sohn, Won-Sung;Choy, Jin-Yong;Choy, Yoon-Chul;Lim, Soon-Bum;Han, Tack-D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89-194
    • /
    • 2009
  • 디지털교과서 시범사업은 미래교육의 시발점으로서 다양한 장점 및 교육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교과서 환경에서는 현실세계와 유사한 태블릿 PC 기반의 펜 스케치를 메타포로 사용하고 있으며, 디지털 잉크 기반의 이러닝은 다양한 교육적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보급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 콘텐츠는 펜 기반의 메타포를 고려하지 않은 서책형 교과서의 멀티미디어 버전 형태이며 그 결과 태블릿 PC의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전자 펜 기반 스케치 입력방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의 결과물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스케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 및 적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교육이나 전자 책, 지능형 교육 시스템 등 상호작용이 가능한 교육용 콘텐츠 개발에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Liberal Education for Improving Computer Literacy

  • Koo, GeumSeo;Sim, Gab-Si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2 no.11
    • /
    • pp.143-149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efficient management method of liberal education for improving computer literacy. We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and factors affecting education and reflected the analysis results in educ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is 'Practice Excel', and tested achievement based on computer literacy. In order to evaluate objectively, we conducted CBT(Computer Based Test) based on Computer Specialist in Spreadsheet & Database Level-2.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use of the popular statistical program, IBM SPSS 24 trial, and frequency, ANOVA, t-test, crossover analysis, and correlation. Evaluation result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educational performance was active participation. It also proved to be very helpful for understanding excel functions & expression.

Polyline Nearest Neighbor Queries (다중선 최근접 객체 질의)

  • Chung, Jae-Hwa;Jang, Hong-Jun;Jung, Kyung-Ho;Kim, Sung-Suk;Gil, Joon-Min;Jung, S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a
    • /
    • pp.17-22
    • /
    • 2008
  • 최근접 객체 질의(Nearest Neighbor Query)는 질의가 요청된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객체를 찾는 질 의로 위치기반 서비스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질의의 형태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지역 최근접 객체 질의 (Range Nearest Neighbor), 연속 최근접 객체 질의(Continuos Nearest Neighbor)등의 확장 된 개념으로 다양한 최근접 객체 질의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최근접 객체 질의를 기반으로 한 연구들은 점으로 표현된 질의를 기준으로 하여 최근접 객체를 찾는 기준점 최근접 객체(Point Nearest Neighbor) 질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점으로 표현이 불가능한 1 차원 형태의 질의에 대하여 효과적인 최근접 객체를 검색하는 연구는 연구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한 개 이상의 1 차원 형태의 선분으로 이루어진 질의에 대하여 질의 주변의 객체 중 최근접 객체를 찾는 다중선 최근접 객체 질의 (Polyline Nearest Neighbor)를 정의하고 효과적인 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 분석을 위한 실험은 객체와 질의가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환경아래 진행되었으며, 실험 결과는 기대 값과 근접한 결과 값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