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sted manure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1초

The Influence of Composted Animal Manure Application on Nitrous Oxide Emission from Upland Soil

  • Kim, Sung Un;Choi, Eun-Jung;Jeong, Hyun-Cheol;Lee, Jong-Sik;Hong, Chang Oh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30-537
    • /
    • 2017
  • Composted animal manure added for improving soil quality and enhancing crop productivity can lead to greenhouse gas emissions such as nitrous oxide ($N_2O$) by processes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 addition, the amount of $N_2O$ emission from composted manure amended soils can vary greatly with composted manure type or different soil type. Therefore, the influence of cattle composted manure on $N_2O$ emissions was evaluated during growth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The treatments included control, conventional fertilization (CF), and CF + cattle composted manure (CCM) $10Mg\;ha^{-1}$ were applied in the spring. $N_2O$ emission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composted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and the CCM had greater N2O emissions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The majority of $N_2O$ emissions occurred shortly after composted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growing seasons for all treatments. Also, $N_2O$ flux was associated with water-filled pore space (WFPS) at all treatments. On average of $N_2O$ emission accumulation, the CCM was 1.5 times greater than control treatment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F and control.

Vermicomposting 조건에서 분리한 Phytase의 활성화의 인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hosphorus Content and Phytase Activity from the Vermicomposting Environment)

  • 이주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5-52
    • /
    • 2000
  • 지렁이, vermicomposted com manure(처리구)와 composted cow manure(무처리구)에서 각각 순수 분리한 미생물의 exo- 및 endo-cellular phytase의 활성을 측정하고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의 인의 함량을 비교함으로써 지렁이가 우분 내 인산가수분해효소의 활성과인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미생물의 exo-cellular phytase의 활성은 EW-3,9, CT-2,4,5, SO-2,3,5 등에서만 확인되었으며 지렁이,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에는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난 균주는 지렁이 분리한 EW-3이었다. 2. 미생물의 endo-cellular phytase의 활성은 모든 균주에서 확인되었고 지렁이와 처리구에서 분리한 균주의 효소활성이 무처리구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균주는 처리구에서 분리한 CT-3이었다. 3. 가장 높은 phytase 활성을 나타낸 EW-3과 CT-3균주는 각각 Microbacterium sp.와 Corynebacterium sp.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Vermicomposted cow manure의 총 인과유효인의 함량은 composted cow manure에서 보다 약 41.0%, 36.4% 정도 각각 감소하였다.

  • PDF

고구마 재배 밭토양에서 가축분퇴비의 시용량이 아산화질소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cation Rate of Composted Animal Manure on Nitrous Oxide Emission from Upland Soil Supporting for Sweet potato)

  • 김성은;루앙카르스 추안핏;이현호;박혜진;홍창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2-178
    • /
    • 2018
  • BACKGROUND: Composted animal manure applied to the arable soil for improving soil quality and enhancing crop productivity causes greenhouse gas emissions such as nitrous oxide ($N_2O$) by processes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However, litt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determining effect of application ratio of composted animal manure on $N_2O$ emission rate and its annual emission pattern from upland soil in Sou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N_2O$ emission rate and its annual emission pattern from upland soil supporting for sweet potato. METHODS AND RESULTS: Composted animal manure was applied at the ratio of 0, 10, and 20 Mg/ha to an upland soil supporting for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Nitrous oxide emission was examined during growing season and non-growing season from May 2016 through May 2017. Daily $N_2O$ fluxes showed peaks right after applications of composted animal manure and inorganic nitrogen fertilizer. Precipitation and soil water content affected daily $N_2O$ flux during non-growing season. Especially, $N_2O$ flux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water filled pore space (WFPS). We assumed that the majority of $N_2O$ measured during growing season of sweet potato was produced from nitrification and subsequent denitrification. Annual cumulative $N_2O$ emission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pplication ratio of composted animal manure. It increased to 12.0 kg/ha/yr from 8.73 kg/ha/yr at control with 10 Mg/ha of composted animal manure and to 14.0 kg/ha/yr of $N_2O$ emission with 20 Mg/ha of the manure. CONCLUSION: To reduce $N_2O$ emission from arable soil, further research on developing management strategy associated with use of the composted animal manure and soil moisture is needed.

Evaluation of Different Organic Materials in Reducing Cadmium Phytoavailability of Radish Grown in Contaminated Soil

  • Kim, Yong Gyun;Park, Hyean Cheal;Kim, Keun Ki;Kim, Sung Un;Hong, Chang Oh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2-20
    • /
    • 2017
  • Various types of organic materials could affect differently immobilization of cadmium (Cd) and its uptake by plant grown in soil.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 of different organic materials in reducing Cd phytoextractability in contaminated arable soil. To do this, rice straw and composted manure were selected as organic materials and applied at the rate of 0, 15, 30, and $45Mg\;ha^{-1}$ in Cd contaminated arable soil with $6.5mg\;kg^{-1}$ of total Cd. Radish (Raphanus sativa L.) was seeded and grown for 50 days to evaluate Cd phytoavailability with different organic materials. Composted manure was more effective to decrease $1M\;NH_4OAc$ extractable Cd concentration and increase pH of soil than rice straw. $One\;M\;NH_4OAc$ extractable Cd concen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pplication rate of composted manure. Tendency of Cd uptake by radish plant with application of different organic materials was similar to that of $1M\;NH_4OAc$ extractable Cd concentration and soil pH. Changes of soil pH with application of straw and composted might be one of factors to determine extractability and phytoavailability of Cd in this study. Radish yield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up to $45Mg\;ha^{-1}$ of composted manure application but did not with straw application. In the view point of Cd phytoextractability and plant productivity, it is recommended to apply composted manure rather than straw in Cd contaminated arable soil.

발효퇴비 시용이 토마토의 생육 , 수량 및 토양중 양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ted Animal Manure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of Tomatoes and Changes of Soil Nutrients)

  • 전대우;구자형;이영복;이종석;문창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4-259
    • /
    • 1998
  • 농가에서 실행되고 있는 유기농업의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돈분, 또는 돈분과 계분을 혼합하여 만든 발효퇴비를 10a 당 3, 6, 12ton씩 시비하고 다시 미생물제를 처리한 후 토마토의 생육, 수량 및 토양 중 양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토마토 초장은 퇴비 시용구에서 관행구에 비하여 길었으며 엽폭은 관행구에서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관행구에서 계속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퇴비 시용량의 차이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차이는 정식 45일 후부터 아주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미생물제를 사용하여 충분히 발효시킨 경우 12ton/10a의 시용에서 토마토의 수량이 관행구의 50-60%에 불과하였으나, 재배도중 추비하였을 경우에는 6ton/10a 시용구에서 관행구의 82%정도에 달하는 수량을 얻었다. 3. 일차 발효된 퇴비의 시용 후에 미생물제의 토양 살포는 질소성분의 빠른 유실을 초래하였으며 토양중 미생물의 밀도를 상당히 높혀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과실의 색깔은 모든 퇴비 시용구에서 관행구에 비하여 붉은 색이 선명하게 나타났으며, 당도와 산도는 퇴비 시용량이 많은 12ton/10a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도는 관행구에서 유기물 시용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5. 퇴비 시용구에서 $NO_3-N$$NH_4-N$의 함량은 시용 직후에는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나 급속히 감속되어 4-5주 후부터 아주 미량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인산,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의 함량은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제주 토양에서 시용한 가축분 중 양분의 유효화율 (Fractional Recovery as Extractable Form of Nutrient in Composted Livestock Manure Application on Soil Distributed in jeju)

  • 황기성;이인복;박진면;유봉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4
    • /
    • 2007
  • 본 연구는 축분 퇴비시용에 따른 토양중 양분행동 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직경 30 cm 높이 1 m의 PVC pot에 화산회(구좌통) 토양과 비화산회(애월통) 토양을 충진하고 표토 20 cm 깊이로 계분 부숙퇴비, 돈분 부숙퇴비, 우분 부숙퇴비를 0, 50, 100, 150 ton/ha 해당량을 시용한 후 210일이 경과한 후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풍건한 후 가축분 퇴비 처리에 따른 토양중 인산, 칼리 및 마그네슘의 유효화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축분 퇴비의 시용은 통양중 유기물을 $23\sim111$, 질소 $80\sim450$ ton/ha 해당량을 시용하는 효과가 있었다. 가축분 퇴비의 시용에 따른 인산의 유효화율 변화는 $1.6\sim91.7%$로 가축분 종류에 따른 차이가 매우 컸는데 토양별로 비화산회 토양이 화산회토양에 비하여 월등히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칼리의 유효화율 변화는 $22\sim94%$ 범위로 가축분의 종류 및 시용량에 따라 차이가 컸는데 가축분 종류에 따른 유효화율은 계분 부숙퇴비, 우분 부숙퇴비, 돈분 부속퇴비의 순으로 컸다. 칼슘의 유효화율은 화산회 토양은 $38\sim93%$ 비화산회 토양은 $9\sim90%$ 범위로 가축분 종류 및 토양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컸는데 가축분 종류별로 살펴보면 계분 부숙퇴비, 우분 부숙퇴비, 돈분 부숙퇴비의 순으로 컸다.

Evaluation of Composted Pig Manure and Organic Fertilizer for Organic Onion Production in Paddy Soil

  • Lee, Jong-Tae;Kim, Hee-Dae;Lee, Sang-Dae;Ro, Chi-Woo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23-128
    • /
    • 2012
  • A two year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composted pig manure applications on organically managed intermediate-day onion ($Allium$ $cepa$ L.) with mid-season production. The manure application rates were 0, 4.0, 6.0, and 8.0 $ton{\cdot}ha^{-1}$, and accompanied by organic fertilizer with 240 $kg{\cdot}ha^{-1}$ nitrogen for all treatments. There was a positive linear effect on the marketable bulb yield with increasing applications of pig manure. However, pig manure rates of 6.0 or 8.0 $ton{\cdot}ha^{-1}$ did not affect the marketable yields or bulb weights at harv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ig manure application rates and mineral concentration or nutrient uptake in onion bulbs. Soil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EC) were lower at harvest compared to preplant soil, while exchangeable potassium and calcium contents increased at harves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soil pH, EC, and organic matter or exchangeable cations caused by different pig manure application rates. Mineralized $NO_3$-N content was not affected by pig manure application rates except at transplanting and 129 day after transplan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organic fertilizer is applied at a rate of 240 $kg{\cdot}ha^{-1}$ N, 6.0 $ton{\cdot}ha^{-1}$ composted pig manure should be adequate for producing onions using an organic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ation of composted chicken manures discharged from farms in South Korea

  • Nguyen, Xuan Phuc;Jho, Hoon;Jeong, Yeon-Jae;Jo, Young-Tae;Islam, Mohammad Nazrul;Park, Jeong-H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54-259
    • /
    • 2015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maturity and stability of chicken manure collected from nine chicken farms in South Korea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seasons of 2014 are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 values of the manure, such as BOD, $NO_3-N$ and $PO_4-P$ etc. were determined using the Korea Standard test Method, HPLC, and APHA standard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lkalinity content and COD concentration in winter chicken manure were higher than those of summer chicken manure. The moisture content of summer manu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most all of the other parameters of the manure, whereas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most all of the other parameters in the winter manure.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C/N ratio, chicken manure indicated good quality compost. However, composted chicken manure showed immature and unstable compost when considering the criteria of the $NH_4-N/NO_3-N$ ratio and $NH_4-N$ concentrations.

강원도 지역에서 우분의 시용이 사료작물의 건물수량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Dry Matter Yield,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of Forage Crops in Gang-Wondo Area)

  • 노진환;이희충;김윤중;박상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7-263
    • /
    • 2013
  • 본 실험은 강원지방에서 유기 생우분과 유기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밭토양에서 하계작물로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과 동계작물로는 rye 단파구, rye+red clover 혼파구, 논토양에서 벼 '추청' 재배 후, rye 단파구, rye+hairy vetch 혼파구를 도입하였을 때, 각 초종과 작부조합의 건물생산성, 사료가치, 혼파효과 및 가축사육능력을 평가하여 강원지역에서 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작부조합을 선정하고자 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계작물로 밭토양에서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의 건물수량은 CCM150에서 15.12 ton/ha으로 많았으나, CM150과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수량은 1차 예취에서 CCM150이 0.59ton/ha로 유의하게 많았고(p<0.05), 2차 예취에서는 CM150이 0.44ton/ha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K_{CP}+K_{TDN}/2$ 값은 CCM 150이 7.76head/ha로 많았다. 논토양의 유기 생우분 시용구에서 볏짚의 건물수량은 4.95 ton/ha으로 화학비료 시용구의 4.84ton/ha보다 많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의 볏짚이 4.09%로 유의하게 높았고(p<0.05), TDN 함량은 유기 생우분 시용구의 볏짚이 55.63%로 화학시용구의 볏짚 53.9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유기 생우분 시용구에서 볏짚의 $K_{CP}+K_{TDN}/2$ 값은 연간 1.89head/ha였다. 동계작물로 밭토양의 rye+red clover 혼파구의 건물수량은 CCM100에서 4.36ton/ha로 많았으나, 다른 처리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Rye+red clover 혼파구의 조단백질 함량은 CCM100에서 7.33%로 높았으나 CM100에서 rye+red clover 혼파구의 7.19%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ye+red clover 혼파구의 $K_{CP}$$K_{TDN}$ 값은 각각 2.32head/ha와 2.36head/ha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5). 논토양에서는 rye+red clover 혼파구의 건물수량은 4.19ton/ha로 많았으나, rye 단파구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ye+red clover 혼파구의 조단백질 함량과 TDN 함량은 각각 7.21%와 59.33%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강원지방에서 유기우분을 시용하여 조사료를 생산할 경우 밭토양에서는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을 재배한 후 rye+red clover의 혼파가, 논토양에서는 벼 재배 후 rye+hairy vetch를 혼파하는 작부조합이 생산성,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을 높이는데 우수하였다고 판단된다.

돈분 퇴비의 부숙기간이 줄지렁이의 섭식률, 생체량 및 산란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g manure composts with different composting periods on feeding rate, biomass and cocoon production of earthworm(Eisenia fetida))

  • 배윤환;박광일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2호
    • /
    • pp.79-87
    • /
    • 2013
  • 부숙기간(부숙 0일, 15일, 30일, 50일, 80일)이 다른 돈분퇴비에 대한 줄지렁이의 섭식량, 생체량, 산란율 및 돈분퇴비로부터 생산된 분변토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하였다. 돈분퇴비에 대한 지렁이 섭식량은 부숙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지렁이 생체량은 30일간 부숙된 돈분퇴비에서 가장 높았으며, 80일간 부숙된 돈분퇴비에서는 생체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지렁이의 산란수는 부숙이 진행된 먹이일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80일간 부숙된 돈분퇴비에서 현저하게 낮았다. 부숙기간이 다른 돈분 퇴비로부터 생산된 분변토의 pH, 전기전도도, C/N율이 일반적인 퇴비화 공정보다 빠르게 감소되었으며, 생산된 분변토의 유기물 함량은 돈분퇴비의 부숙기간에 무관하게 35.9-39.8%으로 균질화되었다. 이상에서 지렁이의 처리효율, 생장률 등을 고려하였을 때, 돈분에 대한 지렁이처리를 위한 돈분퇴비의 부숙기간은 15-30일 정도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퇴비화와 지렁이 처리법의 혼합적용에 의해 돈분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질의 분변토와 지렁이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