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iant layer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저 잡음 수중 청음기의 설계 방안 연구 -Ⅰ. 잡음 전달 특성 및 구조 변경 영향 - (Design and Evaluations of Underwater Hydrophone with Self Noise Suppressing Structures -Part Ⅰ. Noise Transfer Characteristics & Effects of Structure Modifications -)

  • 임종인;노용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15
    • /
    • 1997
  • 수중 청음기는 진동하는 물체 위에 설치되어 다양한 외부 잡음 원이 유입되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외부 잡음 원으로는 수중 청음기가 설치된 구조물 자체의 진동, 프로펠러 잡음, 그리고 유동 유기 잡음들이 있고, 이들 외부 잡음원은 실제 강도가 상당히 높아서 센서의 정확한 작동에 장애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잡음에 무관한 고 정밀도, 저 잡음 특성을 갖는 수중 청음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유한 요소법(FEM)을 사용하여 잡음 전달 특성의 분석 및 air pocket과 음향 감쇠층의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개선된 구조의 수중 청음기를 설계하고, 내 잡음성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센서 측면 하단부에 잡음 원이 위치할 경우 가장 큰 잡음 신호로 작용하므로 구조를 변경한 결과 기존 수중 청음기에 비해 59% 이상 내 잡음성을 증진 시켰다.

  • PDF

TCP Accelerator for DVB-RCS SATCOM Dynamic Bandwidth Environment with HAIPE

  • Kronewitter, F. Dell;Ryu, Bo;Zhang, Zhensheng;Ma, Liangpi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3권5호
    • /
    • pp.518-524
    • /
    • 2011
  • A high assurance IP encryption (HAIPE) compliant protocol accelerator is proposed for military networks consisting of red (or classified) networks and black (or unclassified) networks. The boundary between red and black sides is assumed to be protected via a HAIPE device. However, the IP layer encryption introduces challenges for bandwidth on demand satellite communication. The problems experienced by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ver satellites are well understood: While standard modems (on the black side) employ TCP performance enhancing proxy (PEP) which has been shown to work well, the HAIPE encryption of TCP headers renders the onboard modem's PEP ineffective. Thi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under the bandwidth-on-demand environment, PEP must use traditional TCP mechanisms such as slow start to probe for the available bandwidth of the link (which eliminates the usefulness of the PEP). Most implementations recommend disabling the PEP when a HAIPE device is u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olution, namely broadband HAIPE-embeddable satellite communications terminal (BHeST), which utilizes dynamic network performance enhancement algorithms for high latency bandwidth-on-demand satellite links protected by HAIPE. By moving the PEP into the red network and exploiting the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bypass mechanism allowed by the latest HAIPE standard, we have been able to regain PEP's desired network enhancement that was lost due to HAIPE encryption (even though the idea of deploying PEP at the modem side is not new). Our BHeST solution employs direct video broadcast-return channel service (DVB-RCS), an open standard as a means of providing bandwidth-on-demand satellite links. Another issue we address is the estimation of current satellite bandwidth allocated to a remote terminal which is not available in DVBRC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ment of our solution over FIX PEP is significant and could reach up to 100%. The improvement over the original TCP is even more (up to 500% for certain configurations).

H.264/SVC 공간 계위 부호화 기반 지상파 다채널 하이브리드 고화질 방송 서비스 프레임워크 및 H.264/SVC 부호화 성능 평가 (H.264/SVC Spatial Scalability Coding based Terrestrial Multi-channel Hybrid HD Broadcasting Service Framework and Performance Analysis on H.264/SVC)

  • 김대은;이범식;김문철;김병선;함상진;이근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40-658
    • /
    • 2012
  • 기존의 다채널 지상파 디지털 TV 서비스인 KoreaView는 6MHz의 대역폭을 유지하면서 1개의 MPEG-2기반 HD 비디오와 3개의 H.264/AVC기반 SD 비디오, 총 4개의 채널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KoreaView는 추가되는 3개의 SD급 비디오 채널이 작은 공간 해상도와 낮은 목표 비트율로 인한 화질 열화 때문에 높은 시청 만족도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KoreaView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공간 계위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기반 지상파 다채널 하이브리드 고화질 방송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지상파 다채널 하이브리드 고화질 방송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H.264/AVC 기반 SD 비디오 3개를 H.264/SVC 공간 기본 계층 부호화를 통해 동일하게 서비스 하고, 공간 향상 계층 부호화로 추가된 3개의 HD 비디오를 광대역망을 통해 전송하여 고화질의 다채널 방송을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이같이 기존의 3개의 SD 채널에 공간 향상 계층을 추가적으로 전송하면 고화질 채널을 통해 높은 시청 만족도를 갖는 여러 개의 채널을 확보하게 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로 방송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H.264/SVC를 이용하여 SD 입력 비디오가 공간 기본 계층에서 1.5Mbps 목표 비트율로 부호화될 때, 34.5-42.9dB의 화질을 제공하여 상용 서비스가 가능한 수준의 객관적 화질을 제공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2Mbps 목표 비트율로 부호화된 MPEG-2 기반 HD 복원 영상과 제안하는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H.264/SVC 공간 향상 계층의 HD 복원 영상을 비교하여 부호화 성능을 분석하였다. MPEG-2 기반 HD 복원 영상과 유사한 객관적 화질 수준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서비스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된 H.264/SVC 공간 계위 부호화를 수행한 결과 실험 영상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약 690kbps에서 8,200kbps의 비트율이 발생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유연 기판 위 적층 필름의 굽힘 탄성계수 측정 (Measurement of Flexural Modulus of Lamination Layers on Flexible Substrates)

  • 이태익;김철규;김민성;김택수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3-6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폴리머 기반의 유연 기판 위 적층 된 다양한 필름의 굽힘 탄성계수의 간접 측정법을 소개한다. 패키징 기판의 다양한 적층 재료들의 탄성계수는 기계적으로 신뢰성 있는 전자기기 개발에 결정적이지만, 기판과 매우 견고히 접합하고 있는 적층 필름을 온전히 떼어 내어 자유지지형(free-standing) 시편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그 측정이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필름-기판의 복합체 시편에 대한 3점 굽힘을 진행하였고 시편 단면에 면적 변환법(area transformation rule)을 적용한 응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탄성계수를 알고 있는 기판에 대하여, 굽힘 시험으로 얻은 다층 시편의 강성으로부터 필름과 기판의 탄성계수 비를 계산하였으며, 전기 도금 구리 시편을 이용하여 양면 적층, 단면 적층의 두 가지 해석 모델이 실험 평가되었다. 또한 주요 절연체 적층 재료인 prepreg (PPG)와 dry film solder resist (DF SR)의 굽힘 탄성계수가 양면 적층 시편 형태로 측정 되었다. 결과로써 구리 110.3 GPa, PPG 22.3 GPa, DF SR 5.0 GPa이 낮은 측정 편차로 측정 됨으로써 본 측정법의 정밀도와 범용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