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mpetency-Based Education

검색결과 981건 처리시간 0.023초

노르웨이 Alesund지역의 평생학습네트워크 사례분석과 시사점 (A Case Study of Lifelong Learning Network and Implication for Korea : Focused on the Alesund Region in Norway)

  • 조세형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67-175
    • /
    • 2011
  • 본 연구는 노르웨이 Alesund 평생학습네트워크 사례분석을 통해 성공요인을 살펴보고 국내 지역단위 학습네트워트의 대표적인 형태인 중소기업 직업훈련 컨소시업의 성공적인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한 것이다. Alesund 평생학습네트워크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구성됨에 따라 참여기업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 둘째, 참여기업이 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조직변화와 혁신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변화관리프로그램 등이 포함되어 있다. 셋째, 조직학습 이론에 기초하여 평생학습네트워크가 설계되어 참여기업에게 필요한 지식을 공동으로 획득하고 실험하여 공유하는 프로세슬 갖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국내 중소기업훈련컨소시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한의대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 전북지역 W대학교 한의과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Medicine Students' curriculum of Korean Medicine College)

  • 박영규;임규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3-266
    • /
    • 2021
  • Objective : This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at korean medicine colleg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reformation of korean medicine colleges. Method :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ver.26 statistical program, using 'curriculum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fter analyzing the frequency of each variable. Result : The average score for curriculum satisfaction at Korean Medicine college was 2.87 points, which was relatively low.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curriculum were 'A favorable impression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W University' β=0.351(p<.001), 'connectivity between major subjects' β=0.312(p<.001), 'duplex between major subjects' β=-0.163(p<.05),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hinese characters' β=0.114(p<.0.5). Conclusion : The curriculum of Korean Medicine College should first, be organized to allow students to be proud of themselves, second, the goal of education should set goals optimized for job competency, third, the content of learning should be consisted of student led problem based learning, fourth, the link between major subjects should be intensified, fifth, the clinical practice time should be expanded significantly and lastly the assessment evaluates the performance process.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을 활용한 '진료수행시험 연습용 챗봇(CPX Practicing Chatbot)' 시범 개발 (Pilot Development of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Practicing Chatbot' Utilizing Prompt Engineering)

  • 김준동;이혜윤;김지환;김창업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03-214
    • /
    • 2024
  • Objectives: 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emphasized in Korean Medicin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ilot version of a CPX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Practicing Chatbot utilizing large language models with prompt engineering. Methods: A standardized patient scenario was acquir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and transformed into text format. Prompt engineering was then conducted using role prompting and few-shot prompting techniques. The GPT-4 API was employed, and a web application was created using the gradio package. An internal evaluation criterion was established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chatbot's performance. Results: The chatbot was implement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internal evaluation criterion. It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correctness and compliance. However,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confidentiality and naturalness. Conclusions: This study successfully piloted the CPX Practicing Chatbot, revealing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educational models using AI technology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Additionally, it identified limitations and provided insights for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s.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 1997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curriculum research through topic modeling: Focused on domestic journals published from 1997 to 2019)

  • 손태권;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3호
    • /
    • pp.201-216
    • /
    • 2020
  •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9년까지 KCI 등재지에 게재된 493편의 국내 수학과 교육과정 논문을 LDA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는 8개의 토픽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 중 '교육과정 이행과 평가'의 비중이 가장 낮았다. 또한 교육과정 적용 시기에 따라 토픽들은 다르게 출현했으며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중점 방향과 부합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학과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인증제도 및 교육과정 운영현황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Accreditation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and Curriculum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김시우;박지원;이시은;이한솔;이유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37-450
    • /
    • 2021
  • Backgrou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health information,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 current certification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Methods: Descrip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to compare the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curriculum run by universi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sults: Regardless of the academic year, the Republic of Korea had one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subject-based criteria. However, the United States had a certification system for associate, baccalaureate, and master's degree programs with competency-based criteria. The accreditation system was different in terms of the way the curriculum is certified and the options for the different levels of university degree programs. Conclus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ersonnel at different levels by improving the current accreditation system and differentiating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gree program levels in the Republic of Korea.

초등 예비교사의 VR/AR 활용 과학 수업 계획 과정에서 나타나는 TPACK 특징 -인식적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PACK in Science Lesson Planning Using VR/AR Contents: Focusing on Epistemic Network Analysis)

  • 차현정;가석현;윤혜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5-23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인식적 네트워크 분석(ENA)을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VR/AR 콘텐츠 활용 과학 수업 계획 과정에서 나타나는 TPACK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자들은 기존의 TPACK 프레임워크에 기초하여 7개의 TPACK 코딩 요소를 귀납적으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계획하며 나누는 담화를 TPACK 요소에 따라 코딩하고 이를 ENA Web Tool로 분석하였다. 두 모둠의 담화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는데 연구자들이 질적으로 분석한 두 모둠의 담화의 차이는 ENA 그래프를 통해 명확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ENA 방법이 기존 TPACK 연구와 달리 테크놀로지 지식(TK), 내용 지식(CK), 교수 지식(PK)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연구 방법임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두 모둠의 담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통해 예비교사의 TPACK 역량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분류 모델을 활용한 AI 기반 화학 I 수업의 효과에 대한 연구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AI-Based Chemistry I Class Using Classification Models)

  • 양희선;안성혁;김승현;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8권3호
    • /
    • pp.160-17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AI 분류 모델을 기반으로 한 화학 I 수업의 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북 D 고등학교에서 2023년 1학기에 시행된 화학 I 수업에서 AI 분류 모델을 활용한 수업의 개발과 적용 후 그 변화를 탐색하였다. 교과 내용과 AI 도구를 선정하고 교과-AI융합 교육 모형 및 AI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결정한 후, 프로그램의 세부 활동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 적용 후, 학생들의 화학 개념 형성, AI 가치 인식, AI 기반 메이킹 역량의 세가지 측면에서 자기 효능감이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텍스트 및 이미지 분류 모델 기반의 화학 수업이 학생들의 화학 개념 형성에 대한 자아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생들의 AI 가치 인식과 흥미를 증진시켰고, 학생들의 AI와 피지컬 컴퓨팅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I 분류 모델을 기반으로 한 화학 I 수업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며, 교육현장에서의 유용성을 입증한다.

대학생의 창업계획 교육과정 참여가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 S여대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entrepreneurship planning course on the enhanc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entrepreneurship: Focusing on the case of S women's university)

  • 권선아;서희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5호
    • /
    • pp.81-94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이 제공하는 창업계획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여자대학교에서 운영된 사회문제해결기반 창업계획 교육과정에 참여한 여대생 32명(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여대생 31명(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에 대한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이 참여한 교육과정은 3인이 한 팀이 되어 사회문제해결 기반의 창업계획을 담은 창업계획서를 최종결과물로 도출해야 하는 팀 기반 프로젝트학습 교과목으로 총 8주간 운영되는 교육과정이었고, 사전 및 사후검사에 활용된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는 '가치창출 역량', '도전 역량', '자기주도 역량', '집단창의 역량'을 세부 역량군으로 하는 교육부·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2020)이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실험집단의 교육과정 참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i)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이 수행되었으며, 이어서 ii) 집단에 따라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처치(실험집단, 통제집단)와 시점(사전검사, 사후검사)을 두 독립변인으로 하는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가정신 세부역량 중 가치창출 역량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도전 역량, 자기주도 역량, 집단창의 역량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운영한 창업계획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가치창출 역량 증진에는 기여하지 못했지만, 도전역량, 자기주도역량, 집단창의역량 증진에는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고 후속연구의 방향이 제언되었다.

학교도서관진흥법시대의 과제와 전망 - 인력 문제를 중심으로 - (Current Issues and Prospects of the Era of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 with a focus on manpower issue -)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59-180
    • /
    • 2019
  • 이 연구는 모든 학교에 1명 이상의 전담인력을 배치하도록 규정한 학교도서관진흥법과 시행령의 개정에 따라 제기되는 인력 문제의 과제와 전망을 탐구하였다. 정부의 정책과 계획을 토대로 사서교사 인력 수요를 검토하고 현재의 인력 양성 규모의 문제를 정리하였다. 향후 예측되는 인력 수요를 고려하여 교육대학원 과정의 증설과 학부 교직 승인 인원의 증원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법을 통해 개선된 인력제도가 현장에 깊이 뿌리내기 위한 과제로 양성 교육의 내실화와 현장 역량의 강화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의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 역량 제고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이원화된 인력체제의 통합 방안을 검토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지역사회간호학실습경험 (Learn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on Community Health Nursing Clinical Placements)

  • 진영란;송연이;김영미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41
    • /
    • 2018
  • Purpose: In this study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learning in community health nursing clinical placements was explored on order to develop a more effective practice teaching method.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held with 11 nursing students in junior or senior year. The interviews were audio-taped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Nursing students felt that the education system for practice was incomplete in considering the nursing that was needed for their on-site practice. Also they were aware of the totality of the community and voluntarily tried to provide for the expansion of knowledge.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a need to establish a cooperative plan between nursing schools and practice agencies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in th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guide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