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China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독활(韓國獨活)과 중국독활(中國獨活)의 항산화효능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Anti-oxidation Activities of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 신명섭;한효상;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7-76
    • /
    • 2009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compared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used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concerning their anti-oxidant effect Methods : We tested the anti-oxidant effect through in vitro experiment and in vivo experiment that induced oxidative stress using ethanol. Results : 1.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strong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than in Angelica pubescens Root 2.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milar between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3. The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effect was strong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than in Angelica pubescens Root. 4. The phenolic component was high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than in Angelica pubescens Root. 5. Both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GSH and decreased SOD activity in mice, in which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and the effect was strong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6. Aralia continentalis Root increased GSH peroxidase activity but Angelica pubescens Root did not have such an effect. 7. Neither Aralia continentalis Root nor Angelica pubescens Roo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talase, ADH and ALDH in mice, in which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Conclusions : Aralia continentalis Root has a stronger anti-oxidant effect than Angelica pubescens Root. Thus, although Aralia continentalis Root is not an original plant recorded in botanical literature, it may be usable based on the data about its effects.

변이할당기법과 DEA를 활용한 동북아시아 항만간 경쟁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Competitiveness between Ports in Northeast Asia Employing Shift-share Analysis and DEA)

  • 이충배;권아림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9-254
    • /
    • 2014
  • 최근 글로벌화와 SCM의 발전으로 인한 국제무역량의 증가는 물동량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해운 항만 물류환경의 변화로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하역장비의 고성능화 항만운영의 글로벌화 및 급격한 기술의 변화가 해운항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하는것은 이제 항만의 생존문제가 되고 있다. 항만 물동량이 많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우세한 경쟁력을 지닌 항만이라고 할 수 있으나 다른 항만에 비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않으면 곧 경쟁력을 잃을 것이다. 반면에 특정시점에서 경쟁력이 낮은 항만일 지라도 효율성이 높은 항만은 경쟁력의 제고로 이어져 미래에는 우세한 항만이 될 수 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항만간 물동량변화 추이 및 효율성 분석으로 항만경쟁력을 평가하여 국내항만의 경쟁력 제고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실증분석에서는 항만물동량 성장추이와 경쟁우위를 파악할 수 있는 Shift-share기법과 DEA로 항만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동북아시아 항만 총 21개로 하였으며, 두 기법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대상항만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동북아시아 항만 간 경쟁력 위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항만이 부산항은 여전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인천항과 광양항은 성장추세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마케팅의 활성화와 항로의 다변화, 인센티브 제도 적극 실시 등을 통해 물동량 확보에 보다 집중해야 할 것이다.

한(韓)·중(中) 화금자기(畵金磁器) 금채기법(金彩技法)에 대한 비교(比較) 조사(調査) 및 가채(加彩) 실험(實驗) (Comparative Study and Coloring Test for the Technique of Korean and Chinese Gold-painted porcelain)

  • 황현성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8권
    • /
    • pp.13-24
    • /
    • 2007
  • 미술부에서는 "한·중 도자교류전" 연구집에 개제할 목적으로 소장품 중 한·중 금채자기의 금채기법을 보존과학팀에 조사의뢰하였다. 대상 소장품은 금을 사용하여 도자기 유약 층을 장식한 개성 106 청자상감수하원문금채편호 고려청자 1점과 중국 송나라시기에 제작된 본관 10011 천목다완, 본관2027 시유초화접문화금완, 덕수3322시유완이다. 조사 결과, 금채장식의 안정화 방법은 고운 금분에다 매용제 성분을 혼합하여 채식을 한 후 저온에서 번조한 것은 유사하였지만, 채식처리방법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즉, 고려 화금청자는 화려한 상감기법 위에 세필로 일일이 금채장식을 하였다면 중국 화금자기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도자기 유약면에 나비나 당초문을 스텐실 기법으로 장식한 것이 큰 차이이다. 이런 조사결과에 따라 일부 박락된 금채 부분을 새롭게 복원한 결과, 제작 당시 화금자기가 얼마나 화려한 자기이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중국 연변 조선족 성인과 한국 구리지역 성인의 영양소 및 식품섭취 비교 평가 (Comparative Assessments of Dietary Intake of Korean-Chinese and Koreans)

  • 박은미;백희영;김정순;문용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68-378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dietary intake and quality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between Korean-Chinese in Yanbian, China(Korean-Chinese) and Koreans in Kuri, Korea(Koreans). The subjects consisted of 730 Korean-Chinese and 696 Koreans. Mean daily energy intake of Korean-Chinese was 1,788kcal and that of Korean was 1,844kcal. Proportions of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were 62.6: 16.9: 14.2 for Korean-Chinese and 65.4: 16.3: 14.4 for Koreans. Nutrient intake levels of Korean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chinese in most nutrients. Calcium and vitamin $B_2$ intakes as percent of Korean RDA were less than 60% in Korean-Chinese. Koreans consumed calcium and vitamin A in the level less than 80% of Korean RDA. Iron intake level of Korean females was less than 75% of Korean RDA. Korean-Chinese consumed 90.4% of food from plant origin, and Koreans consumed 82.5% of food from plant origin. Mean dietary diversity score(DDS) of Korean-Chinese, $3.00{\pm}0.39$,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Koreans, $3.73{\pm}0.76(p<0.05)$. Mean dietary variety score(DVS) of Korean-Chinese, 13.6,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Koreans, 20.1(p<0.001). According to these results, some adults in the both Korean-Chinese and Koreans did not consume enough nutrients, especially calcium and vitamin $B_2$ intake for Korean-Chinese and calcium and vitamin A intake for Koreans. Dietary qualities of Korean-Chinese subjects and Korean females were not adequate.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to promote dietary quality of Koreans including Korean-Chinese must consi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 PDF

패션마케팅 영역에서의 비교문화적 연구의 경향 (Cross-Cultural Studies in Fashion Marketing Discipline)

  • 조윤진;양수진;김은영;추호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312-1322
    • /
    • 2006
  • A recent accelerated globalization has changed every aspect of consumers' life on the globe, thus understanding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among people in the world became the crucial element of business for many global companies. As one of the most globalized industries in Korea, fashion businesses also require urgent assistance of academics in understanding global consumer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ross-cultural fashion marketing studies published in two respectful journals in fashion stud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Four researchers independently searched the target journals to locate studies using cross-cultural approaches. A total of 45 cross-cultural studies published in two journals between 1977 and 2005 were found and analyzed. The major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the US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country followed by China, Japan, Hong Kong and others. Second, popular subjects of cross cultural studies in fashion marketing were fashion marketing environment and management rather than consumer psychology. Third, about 78% of the sampled studies were using quantitative approach, and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X^2$ analysis were commonly used. Finally, problems in sampling methods, translation of scales, and equivalence of concept, measure and sample were analyzed. Suggestions for future cross-cultural studies were discussed.

Evaluation of Pharmacognostical Characters and Comparative Morphoanatomical Study of Saussurea costus (Falc.) Lipchitz and Arctium lappa L. Roots

  • Pandey, Madan Mohan;Rastogi, Subha;Rawat, Ajay Kumar Sing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304-310
    • /
    • 2007
  • Saussurea costus (Falc.) Lipchitz syn S. lappa C. B. Clarke (commonly known as 'Kuth') belonging to the family Asteraceae is a well known medicinal plant which finds wide usage in different indigenous systems of medicine of India, China, Korea & Tibet. In different folk medicines the roots of S. costus are used to treat various disorders like ulcer, stomachache, malaria, leprosy, dysentery and toothache. However due to over exploitation, it has become endangered and has become the concern of different governmental bodies in India. The increasing demand of this endangered Himalayan species has resulted in a situation where it is often substituted, knowingly or unknowingly, by other morphologically similar species. Arctium lappa, belonging to the same family, is one such plant that has often been found to be present in the market samples of 'Kuth'. The present study was thus carried out and morphoanatomical characters, physicochemical as well as chemical parameters were developed for proper identification of roots of S. costus and its differenciation from A. lappa as well as authentication of the commercial market samples. The detailed morphoanatomical studies revealed that roots of S. costus can be distinguished from A. lappa on the basis of some important microscopial characters eg. the schizogenous resin ducts observed in roots of S. costus, were absent in A. lappa.. Besides, the HPTLC fingerprint profile showed a distinct band at Rf. 0.72 in S. costus, which was totally absent in A. lappa and a band at $R_f$ 0.64 in A. lappa which was absent in S. costus Chlorogenic acid, used as a chemical marker for HPTLC analysis, was estimated to be 0.077% in S. costus as compared to 0.107% in A. lappa. Thus these detailed pharmacognostical parameters can be successfully used to distinguish between roots of S. costus and A. lappa.

상징체계로서의 설화 -동서양 비교연구를 통해 본 동북아시아 설화의 상징성 (Oral Literature as a Symbolic System -A Discourse on Northeast Asian Oral Literature in Comparative Studies of Eastern and Western Symbolism)

  • 이윤종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3호
    • /
    • pp.267-302
    • /
    • 2019
  • '설화'는 크게 '신화', '전설', '민담'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되며, 역사 시대 이전부터 구전으로 전승된 이야기들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문화 연구의 관점에서 동북아시아 문화의 원천으로서의 설화를 거시적·담론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설화의 '상징성'에 초점을 맞춰 동서양의 설화를 둘러싼 담론을 비교연구하여 동북아시아 설화연구의 특성을 짚어 보고자 한다. 즉, 근대화를 거치면서 탈신화화되고 탈주술화된 서구 사회와 동북아시아에서 설화가 갖는 상징적 의미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설화는 오랜 기간을 거쳐 민간에서 구비전승되며 변화한 것은 물론 근대화 과정 속에서 문자화되며 고대의 원형적 모습을 잃고 현대성 속에서 '오염'됐을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근대화가 탈각시킨 자연과 인간의 '유사성'의 원리는 아직까지도 설화에서 찾을 수 있다. 때문에 서구에서는 설화 중에서도 신화를 중심으로 잃어버린 주술적 사유를 복원하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압축 근대화를 겪으며 상실한 신화적 사유의 상징성을 설화의 비유적 특성과 함께 고찰해보고자 한다.

고구려와 중국의 무관(武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Mu-Gwan(武冠) of Koguryo and China)

  • 이경희;서영대;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69
    • /
    • 2007
  • Mu-Guan(武冠) is a headgear of northern nomadic people's costume, Ho-Bok(胡服). It became a part of Chinese(中原) Costume through the adoption of Ho-Bok(胡服) by King Muryong(武寧王) of Kingdom of Cho(趙). Chinese(中原人) did not use it as the formal costume of high class but the Costume military or low-level classes because Chinese(中原人) reguad it as a practical costume only for low-level classes. In this process, Mu-Guan(武冠) and it's clothes had got changed. It became high in shape by an influence Hsien-pi(鮮卑族)'s headgear and became generous in it's going with clothes for Chinese(中原) Costume. It needs to attend that Mu-Guan(武冠) could be found in Koguryo(高句麗)'s mural paintings. Mu-Guan(武冠) of Koguryo(高句麗) had kept the same pattern from middle of 4C to late of 5C. Actually Koguryo(高句麗)'s Mu-Guan(武冠) was similar with Han(漢) dynasty's, but It was quite different from Qin(晉) or Wei(北魏) dynasty's which belong to same period with Koguryo(高句麗)'s. It is possible to guess at Koguryo(高句麗) advanced Mu-Guan(武冠) as their own. Koguryo(高句麗) could be aware of 'Changed Mu-Guan(武冠)'. Because there are frequent diplomatic event between Koguryo(高句麗) and Chiese Dynasties, Barbarian Dynasties. Moreover the guess have persuasion by the existence of 'Changed Mu-Guan(武冠)'in Jee-an(集安) district's mural painting as a Costume of holy person. In brief, It could be noticed that Koguryo(高句麗)'s Mu-Guan(武冠) is distinguished from Chinese and Barbarian dynasties' and Koguryo(高句麗) advanced Mu-Guan(武冠) in their own style.

  • PDF

담양소쇄원(潭陽瀟灑園)과 소주창랑정(蘇州滄浪亭)의 조영사상과 경관구성요소에 관한 의미(意味) 비교연구 (A Semantic Comparative Study of Formative Idea and Landscape Elements Composition of Damyang 'Soswaewon(潭陽瀟灑園)' & Suzhou 'Canglang Pavilion(蘇州滄浪亭)')

  • 위첨첨;김재식;김정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6-47
    • /
    • 2017
  • 신흥유학 성리학을 바탕으로 조영된 조선시대 별서원림인 소쇄원과 중국 송대 성리학 생성기(生成期)에 조영된 창랑정을 비교 고찰하여 원림문화의 조영사상과 구성요소의 의미론적 해석에 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쇄원은 한국 별서원림 중에서도 성리학사상을 오롯이 구현하였으며, 중국 창랑정은 현재까지 잘 보존된 가장 연원이 깊은 중국의 사가원림으로서, 조영 시기는 소쇄원보다 약 500년가량 앞서며 조영자인 소순흠 또한 송대의 사대부로서 창랑정 조영배경에는 성리학이라는 뿌리 깊은 사상이 자리 잡고 있다. 둘째, 소쇄원과 창랑정 두 원림 모두 은일사상(隱逸思想)에 뿌리든 둔 자연친화(自然親和)성향이 두드러진다. 특히 소쇄원은 산림에 입지한 형태로 은일(隱逸) 중에서도 '소은(小隱)'이며 창랑정은 도시에 입지한 '중은(中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소쇄원과 창랑정의 명명(命名)에 상징의미가 배태된 원림요소들을 비교분석하면, 소쇄원은 자연합일(自然合一)된 원림으로서 유불선(儒佛仙)의 다양한 사상들이 습합되어 발전된 중국 송대 성리학 사상이 원림조영에 깊숙이 내재되어 있으며, 현재 창랑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상징요소들의 의미해석의 밑바탕으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 사상적인 변화는 반드시 원림의 형식적 양식이나 요소들에 체현(體現)됨으로 원림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소쇄원은 최대한 자연을 활용함으로써 최소한의 인공을 가미하여 조영된 원림임을 알 수 있다. 즉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을 결합함으로써 공간의 의미적인 특징을 표출하고자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로 소쇄원의 대봉대는 조영자의 이상을 표현하는 장소이며, 창랑정은 높은 담장 내에는 원내의 경치가 새롭게 창출되고 속세와의 단절감을 둔 채 재현된 자연을 구축함으로써, 창랑정은 가산 위에서 주변의 가경을 관조하며 삶을 성찰하는 공간으로서의 장소성이 감지된다. 한국과 중국은 같은 문화적 뿌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원림의 양식이나 성격에서는 다양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이는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각 민족의 특성과 결합하여 원림을 형성하였고, 상이한 결과를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성인의 비만 관심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tress in the Influence of Obesity Awareness on Health Behavior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Adults)

  • 신선화;강정인;김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41-453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의 비만 관심이 지각된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건강행위에 미치는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 국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19년 8월 26일부터 10월 11일까지 일대일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한국은 서울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와 종합병원에서 140명의 성인이 참여하였고, 중국은 심양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와 종합병원에서 성인 140명의 성인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분석한 결과, 성인의 비만 관심은 건강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비만 관심이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의 국적에 따라 비만 관심이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경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지각된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는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 비해 중국 성인이 비만 관심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과 중국 모두 비만 관심이 지각된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건강행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볼 때, 비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긍정적인 건강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