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dwelling Elder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수면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on Sleep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아린;채명옥;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86-19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메타분석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가이드라인에 따라 2016년 11월 20일까지 출판된 연구물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각 기준에 따라 선별한 결과 총 7편이 메타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자료 분석은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Q 검정을 통하여 연구들 사이의 동질성 여부를 검정한 후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를 병합한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인, 힐링요가, 에어로빅댄스, 아쿠아로빅스, 한국무용, 베하스 운동, 운동프로그램, 타이치 운동이 수면에 미치는 총 효과는 Hedges' g=0.577(95% Confidence Interval (CI):0.337~0.817)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신체활동 프로그램 중 베하스 운동프로그램은 Hedges' g=0.758(95% CI:0.248~1.267)로 노인의 수면에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타이치 운동프로그램이 Hedges' g=0.697(95% CI:0.071~1.324), 운동프로그램은 Hedges' g=0.650(95% CI:0.141~1.159)의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였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학적 중재를 적용함에 있어, 노인의 수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베하스 운동과 타이치 운동을 프로그램화 하여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노인의 수면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 중재프로그램의 내용 및 특성,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중재 개발 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노인의 신체질환과 자살사고 간의 연관성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Disorders and Suicidal Ideation in Elders)

  • 박철;강희주;이주연;김선영;배경열;김성완;김재민;신일선;윤진상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4-29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disorders and prevalent/incident suicidal ideation in a community dwelling older population aged 65 years or over. Methods : 1204 people aged 65 years or over evaluated at baseline. Suicidal ideation was identified using the questions from the community version of the Geriatric Mental State Schedule ("GMS B3"). Reported physical disorders covering 11 common and generally chronic health problems were ascertained. Covariates included were depression, age, gender, years of education, accommodation status, past occupation, and current occupation. Of 1066 without suicidal ideation at baseline, 805 (76%) were followed 2 years later, and incident suicidal ideation was evaluated. Results : Prevalent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4 of 11 physical disorders: eyesight problems, persistent cough, heart disease and paralysis or weakness in one leg or arm. Incident suicidal ideation was associated with 3 physical disorders: asthma, high blood pressure and paralysis or weakness in one leg or arm. Both prevalent and incident suicidal ide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number of physical disorders. Conclusions : Certain physical disorders were comorbid and precipitat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elders.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treatment of physical disorders might prevent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삼킴장애 위험실태와 관련인자 (Dysphagia Risk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 박수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9-56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거주하고 있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삼킴장애 위험군을 선별하여 위험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및 충북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재가노인 419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에서 12월까지 일대일 면접방법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 가운데 과반수(53.50%)가 삼킴장애 위험군으로 판정되었고 삼킴장애 위험점수는 평균 13.17점으로 국내외 선행연구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노인의 삼킴장애 위험도는 65~74세군보다 75세 이상군에서 높았고, 의치를 하는 경우와 일상생활에서 독립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삼킴장애 위험군과 비위험군에서 노인의 식품섭취 문제와 그에 따른 향후 섭취 문제 위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삼킴장애 위험군은 비위험군보다 식욕부진, 식사량 감소, 잦은 결식, 입맛이 나쁘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향후 섭취 문제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내 재가노인의 삼킴장애 실태는 간과하기 어려운 수준이며 향후 지역사회의 다양한 환경에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일부 재가 노인의 식욕부진 실태와 관련 인자 분석 (Appetite and Related Factors among Community Elders in Korea)

  • 박수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431-1438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의 삶의 질과 영양개선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된 단면연구로서 재가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 상태를 조사하고, 식욕부진과 관련된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병리적 특성과 심리 특성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등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경기, 충북 지역의 65세 이상 재가 노인 419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에서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면접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35.1%였고, 특히 남성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이 여성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남성노인의 식욕부진은 중추신경계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가 가장 많았고 여성노인의 경우 식욕부진은 내분비 질환이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우울증 증상이 있거나 일상생활에서 의존도가 높은 경우 식욕부진이 현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국내 재가 노인들의 식욕부진이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노인의 식욕부진은 생리적 특성과 병리적 특성은 물론 우울과 같은 심리적 특성과도 깊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의 식욕부진 개선이나 예방을 위하여 구체적인 영양중재와 영양치료가 필요하며,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의 식욕증진을 고려한 노인식품 개발이 시급히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본 조사는 단면연구이므로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식욕 수준에 관련된 인자들이 노인의 식욕부진 원인으로 작용했는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추후 보다 대표성을 갖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의 조사는 물론 식욕부진과 관련된 원인 규명을 위하여 횡단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을 일대일 대면하여 자가보고 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므로 문항에 따라서는 노인에 따라 사실보다 과장하거나 축소하는 등 응답 수준이 주관적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식욕부진과 관련된 인자들은 선행 연구와 유사하며 따라서 자가보고에 의한 사회적 기대 효과는 다소 적었다고 판단된다. 향후 재가노인의 범위를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형태별 등으로 일치시키고 확대하여 노인의 식욕부진 실태와 관련 인자 연구의 확대를 제안한다.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Gender Difference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ccessful Aging among Rural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s)

  • 김희경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819-83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정도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서술적 조사연구로써 C도 K시 농촌지역 면단위, 리 단위에 거주하는 남성노인 73명, 여성노인 77명 총 150명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5월 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X^2$ 검정, t-test, Pea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s와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평균연령은 77.5세이었고 건강상태는 보통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은 결혼상태, 건강상태, 동거자, 가족 수, 직업, 한달 용돈, 학력, 질병 수, 운동 횟수, 친구와의 교재에서 분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정도는 3.59점(${\pm}.32$), 여성노인은 3.63점(${\pm}.37$)으로 보통정도의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고 있으며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여가만족도, 가족지지, 우울, 외로움, 자기초월감과 성공적 노화의 정도는 유사하였다. 또한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는 생활만족도, 가족지지는 순 상관관계를, 우울과 외로움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는 생활만족도, 여가만족도, 가족지지, 자기초월감과는 순 상관관계를, 우울과 외로움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은 생활만족도와 우울이었고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은 생활만족도, 우울, 가족지지와 자기초월감이었으며, 생활만족도와 우울, 가족지지와 자기초월감이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52.9% 설명하였다. 추후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이러한 변인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노인의 요실금과 수면의 질이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Urinary Incontinence and Quality of Sleep on Fall Efficacy of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 윤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42-2149
    • /
    • 2014
  • 지역사회 노인의 요실금과 수면의 질이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12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낙상에 관한 정보, 요실금 증상, 수면의 질과 낙상 효능감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연구기간은 2013년 1월 3일부터 1월 30일까지였다. 지난 1년동안 낙상 발생률은 40.2%였고, 2회 이상 낙상을 경험한 노인은 낙상 경험자의 26.7%로 나타났다. 주로 겨울(53.3%)과 오후(53.3%)에 거리(44.4%)에서 많이 넘어졌으며, 낙상의 원인은 미끄러진 경우가 37. 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변수의 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5.71, p<.01), 모형의 설명력은 9. 6%이고 낙상 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면의 질(${\beta}$=.24, p<.05)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에게서 낙상은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각종 안전사고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 효능감을 사정하는 것은 낙상을 예방하는데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 지역사회거주 치매의심 노인에서 Apolipoprotein E ${\varepsilon}4$와 인지기능 간의 연관성 (An Association Between Apolipoprotein E ${\varepsilon}4$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with Questionable Dementia)

  • 문석우;서정석;남범우;최진영;이창훈;박경운;김기웅
    • 생물정신의학
    • /
    • 제15권1호
    • /
    • pp.5-13
    • /
    • 2008
  • Objectives : It was the aim of the present pap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apolipoprotein E(APOE) ${\varepsilon}4$ on cognitive performa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samples with 'questionable dementia'. Methods : Total 295 samples who were diagnosed with 'questionable dementia' in the recent year and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CERAD-K)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protocol, were recruited. The CDR test established score of 0.5.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 venous blood and APOE genotyping was done in this group. Their cognitive performance was compared by the occurrence of the APOE ${\varepsilon}4$ allele. Results : The impact of ${\varepsilon}4$ allele was significant in the Word List Recall Test(WLRT, F=4.511, df=1, p=0.035). The 'young-old' group aged 75 years and under had a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n the Word List Recall Test(WLRT, F=5.090, df=1, p=0.015), but the 'old-old' group over 75 years of age ha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erformance on the all the item of tests in ${\varepsilon}4$+ allele group. Conclusion : The conclusion to be drawn here is that community-dwelling elderly samples with ${\varepsilon}4$ allele in 'questionable dementia' had a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n the Word List Recall Test in the CERAD-K neuropsychological test batteries and the effect was prominent in the 'young-old' age group.

  • PDF

재가 취약계층 노인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이용 및 유해반응 (The Attitude, Use and Adverse Effect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Therapies among Vulnerable, Community Dwelling Old Adults)

  • 박영임;송미숙;안옥희;양순옥;이인숙;현혜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nformation of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CAMs) and any reported adverse effects of them on vulnerable elders in a community. Methods: 1,837 elderly subjects aged 65 or higher with health problems were selected from those who were enrolled in a public health care center and received visiting health management services. A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was used. Data collection was completed by face to face interview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2$-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prevalence of CAM use last year was 57.5%, and 10.4% of the subjects reported adverse effects of the therapies. The mean score of the subjects' attitudes towards CAM was $4.1{\pm}3.44$ (range 1~10). The major sources of advice and exposure to CAM therapies were most likely to be from family and friends (72.5%). The primary reason for choosing CAM was to manage symptoms and relieve pain (86.6%).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develop nursing strategies for reducing and preventing adverse effects of CAM use by promoting awareness of using safe and appropriate CAM therapies.

노인에서 한국판 성격 5요인 척도의 표준화 및 타당도 (Standardization and Validation of Big Five Inventory-Korean Version(BFI-K) in Elders)

  • 김선영;김재민;유준안;배경열;김성완;양수진;신일선;윤진상
    • 생물정신의학
    • /
    • 제17권1호
    • /
    • pp.15-25
    • /
    • 2010
  • Objectives : The Big Five Inventory(BFI) and the Big Five Inventory-10(BFI-10) are widely used instruments for the evaluation of personality in various cultures, while they have not been formally validated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s of BFI(BFI-K) and BFI 10(BFI-K-10) with a Korean elderly population. Methods :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38 community dwelling elders. BFI-K and BFI-K-10 were administered. For the reliability analyses, scores on Guttmans' split half and Cronbach's ${\alpha}$ were estimated. For the validity analyses, the 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and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 reliability of the BFI-K was good(Guttmans' split half=0.59-0.78, Cronbach's ${\alpha}$=0.52-0.75). Scores on the BFI-K-10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n BFI-K. Scores on the BFI-K and the BFI-K-10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n KGDS and STAI. Conclusion : Both BFI-K and BFI-K-10 might be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s to evaluate the personality in Korean community elders. BFI-K-10 is short and easy to be administered, and therefore it would be very convenient to use.

Motor Learning in Elderly: Effects of Decision Making Time for Self-Regulated Knowledge of Results During a Dynamic Balance Task

  • Jeon, Min-jae;Jeon, Hye-se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6-26
    • /
    • 2016
  • Background: Deficiencies in the ability to maintain balance are common in elderly. Augmented feedback such as knowledge of results (KR) can accelerate learning and mastering a motor skill in older people. Objects: We designed this study to examine whether one session of Wii-Fit game with self-regulated KR is effective for elderly people,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timings of self-regulated KR conditions. Methods: Thirty-nine community-dwelling elders, not living in hospice care or a nursing hom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ring acquisition, two groups of volunteers were trained in 10 blocks of a dynamic balancing task under the following 2 conditions, respectively: (a) a pre-trial self-regulated KR ($n_1=18$), or (b) a post-trial self-regulated KR ($n_2=21$). Immediate retention tests and delayed retention tests of balancing performance were administered in 15 minutes and 24 hours following acquisition period, respectively. Results: In both groups, significant improvements of balancing performances scores were observed during the acquisition period. Regardless of the group, mean of balancing performance scores on retention tests were well-maintained from the final ses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balancing performance scores during the acquisition period (p>.05); however, the post-trial self-regulated KR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balancing performance scores in both the immediate retention test and delayed retention test than that of the pre-trial self-regulated KR group (p<.05). Conclusion: Therefore, subjects who regulated their feedback after a dynamic balancing task, during the acquisition period, experienced more efficient motor learning during the retention period than did subjects who regulated their feedback before a dynamic balancing task. Accordingly, in case of presenting the KR of motor learning in clinical settings to elders who reduced dynamic balance abilities, the requesting time of KR is imperative according to self-estimation processes as well as types of KR and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