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Garden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1초

Analysis on the Types of Benefits of Gardens in Urban Areas: Comparison of Korea and Overseas Cases

  • Park, Jiwon;Jeong, Mia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67-681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ed for relaxation and familiarity with nature in residential and living spaces faced daily by urban residents, leading to a growing social interest in urban garde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gardens in a city provide physical and social benefits, comparing cases in Korea and overseas. Methods: We used the keywords "garden" and "city" for Korea, and "urban," "garden," and "green" for overseas. We then determined the Korean and overseas research trends in urban gardens by analyzing 63 Korean and 90 overseas articles deemed suitable for this study. Results: As to the types of urban gardens, the most significant type was community gardens, both in Korea and overseas (30.2% and 48.6%, respectively), followed by rooftop gardens in Korea (22.2%) and kitchen gardens overseas (22.2%). Due to the narrow and complex urban structure in Korea, people focus on using rooftop, wall, and alley spaces, and tend to arrange container-type flexible gardens. Overseas there has been a focus on promoting health and reducing food inequality through allotment and kitchen gardens, and a tendency to use a larger area as a fixed form than Korea.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gardens in urban areas had a positive effect on urban biodiversity. Conclusion: To sum up, gardens in Korea are close to living spaces, and gardens overseas influence the ecosystem with an emphasis on food production. Therefore, creating urban gardens is a method of urban regeneration with a high utility that goes beyond mere food production, both in Korea and overseas, providing comprehensive benefits for the environment (37.73%) and society (62.27%). As such, continuous research on this area of study is needed to create policy guidelines for Korea.

Investigation of Necessary Items for Garden Events to Revitalize Urban Communities

  • Hong, In-Kyoung;Chae, Young;Lee, Sang-Mi;Jung, Young-B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35-444
    • /
    • 2019
  •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 garden space is a place that not only requires physical labor but also encourages conversation in the gardening group. We suggest the use of urban gardens as a place to revitalize local communities by promoting people to participate in various event program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we set the requir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urban garden events". We developed measurement items and scales to be used as variables of each construction concept. Our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19 and above who visited the 8th Korean Urban Agriculture Expo. Out of total 310 copies of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 only 298 effective samples were used in the empirical analysis. We can assume that people want to revitalize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fact that 71 (23.8%) participants said they thought the purpose of the event is to achieve unity among residents. Throughout analysis, 15 of the necessary items were confirmed and classified into two factors: image of event (Factor 1) and evaluation item (Factor 2).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level for Factor 1, age was significant in five items and education level was significant in six items. For Factor 2, four items were effective in relation to education level, while significant results were not found in relation to ag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significant if the intellectual curiosity of the residents is satisfied and the demand base of the urban garden ev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ity people is expanded.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use of urban gardens as an event with social functions as well as various programs that can be carried out in gardens to build and revitalize the community.

2017년 대한민국 조경·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정원선호도 분석 - 조성 장소 및 식물 특성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Garden Preferences of Visitors to Korea Landscapes and Gardens Expo in 2017 - Focused on Location and Plant Characteristics -)

  • 이동진;노희영;김민;조효진;이혜민;조동길;송유진;조혜령;전진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26-136
    • /
    • 2017
  • 정원 수요자들은 정원을 감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조성하고 정원 디자이너로써의 역할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정원의 주된 소재인 식물에 대한 식재나 관리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으로 정원활동에 있어 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원수요자의 정원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정원을 쉽게 경험하고 조성할 수 있도록 정원 수요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선호도가 높은 조성 장소별 정원조성 요령 및 선호 식물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들의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른 조성 장소와 식물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원 수요자로 예상되는 2017년 대한민국 조경 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분석 결과,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라 정원 수요자는 감상목적형, 다기능형, 참여목적형의 세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감상목적형은 정원 조성 장소로 베란다 및 테라스와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며, 다른 유형과 비교하여 실외장소보다는 실내장소를 선호하고 있었다. 식물소재 선정에 있어서는 실내 환경에서도 관리가 용이하고, 화색과 잎색을 통하여 자연의 색을 감상할 수 있는 소재를 선호하였다. 다기능형은 정원 조성 장소로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며, 다른 유형과 비교해서는 '공동주택 유휴지'와 '도심 내 커뮤니티 정원'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정원활동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소재 선정에 있어서는 작물과 열매 수확이 가능한 유실수나 텃밭작물과 같이 생산성을 가진 소재를 선호하였다. 참여목적형의 경우, 정원 조성 장소로 베란다 및 테라스와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였다. 수종에 있어서는 관리가 용이한 식물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의 조성 목적별로 조성 장소와 식물 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도출하고, 정원 수요자 유형별 정원 조성 장소 및 식물 특성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농어촌지역 공동생활시설 이용실태 고찰 (A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of Community Living Facilities in Rural Area)

  • 김강섭;손광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91-98
    • /
    • 2011
  •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weak class in rural area is inferior, the elderly ratio is high, and senior citizens whose living by themselves are increasing.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utilization status, characterization of residency, management method of the federation of construction associate's love house and local government's case, and usage of the village hall. For better study, we reviewed the literatures and conducted field surve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velopment plan of rural community living ho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for proper site of rural community living home plans to select adjacent location in the surrounding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including community facilities). Second, the living space for one person does not need such a space; about $33m^2$ is suitable. Third, it is important to use surplus area to make kitchen garden in the site planning. Also the architectural plans must be considered to minimize the maintenance costs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house and winter heating expense problem.

뉴스초점 - 옥상농원의 필요성과 일본에서 농업이용사례 (Necessity of the Rooftop farm and Agricultural Use Instance in Japan)

  • 이성갑
    • 기술사
    • /
    • 제45권3호
    • /
    • pp.36-39
    • /
    • 2012
  • Roof gardens/Rooftop farm are most often found in urban environments. Plants have the ability to reduce the overall heat absorption of the building which then reduces energy consumption. Plant surfaces however, as a result of transpiration do not rise more than $4-5^{\circ}C$ above the ambient and are sometimes cooler. As Urban agriculture in an accessible rooftop farm, space becomes available for localized small-scale urban agriculture, a source of local food production. An urban garden can supplement the diets of the community it feeds with fresh produce and provide a tangible tie to food production.

  • PDF

베를린의 중정형 집합주거단지의 성립과 발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undation and Development of perimeter Block Housing in Berlin)

  • 최규학;이재훈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5-19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foundation and development of perimeter block housing in Berl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Perimeter block housing in Berlin have been developed from small laborer house to gradually large- scale housing. The court used for natural lighting and draft, have been developed to a space for resident community or individual garden.

  • PDF

봉래산(부산)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Bongrae)

  • 조정환;이정훈;문성기;성정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9호
    • /
    • pp.1027-103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Bongrae in Busan from February 2004 to May 2005. The flora in the surveyed area were identified 291 taxa that belonged to 82 families, 201 genera, 251 species, 35 varieties, and 5 forms. Among them, evergreen broad trees were identified 21 taxa, naturalized plants 30 taxa, especial plants decid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24 taxa. By the vegetation of each slope, in northeast slope, it was dominated such as Pinus thunbergii community, Chamaecyparis obtusa community, Amorhpa fruticosa community,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Hedera rhombea community, north-northeast slope, it was distributed both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board-leaved tree community. In the southwest slope of coast site, it was presented plantation plants, according to altitude distributed such as natural vegetation, evergreen broad trees, warm-temperate plants. In southeast slope, it was to represent secondary vegetation such as Alnus firma community as a forest fire. Underside was mainly to search herbs such as naturalized plants and cruciferous family as a vegetable garden. In northwest slope, it was searched trees such as Pinus thunbergii community, Lindera obtusiloba, Styrax japonca, Prunus sargentii, Aralia elata, Zanthoxylum piperitum, Akebia quinata and herb layer such as Osmunda japonica, Allium thunbergii, Liriope platyphylla, Corydalis ochotensis, Scilla scilloides, Viola orientalis. Around the top, it was distributed such as Rhododendron mucronulatum-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Carpinus coreana, Viburnum erosum, Sorbus alnifolia.

편액과 시문으로 본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해석 (The Location and Landscape Composition of Yowol-pavilion Garden Interpreted from Tablet & Poetry)

  • 이현우;김상욱;임근홍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45
    • /
    • 2014
  • 본 연구는 편액과 시문이 과거 누정원림의 고유한 입지 및 조영 특성 추론의 중요한 준거(準據)가 된다는 전제 하에,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을 대상으로 과거 시점의 입지 및 조영 해석을 고구(考究)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요월정원림이 갖는 의미와 문화재적 위상과 가치의 진정성 제고 및 보존의 당위성을 논의할 목적으로 시도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월정원림은 정원주 김경우(金景遇)를 비롯한 당대 거유들이 교유한 시율풍류의 현장이었다. "조선환여승람 호남읍지(湖南邑誌) 장성읍지(長城邑誌)" 등 고문헌을 통해 사화(士禍)를 피해 머문 은신처로서의 성격과 함께 지역정체성을 형성한 교두보로서의 장소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요월정원운(邀月亭原韻)"을 통해 누정원림 작정(作庭) 의도 및 조영 동기를 확인한 바, 요월정원림은 세속과 탈속 그리고 현실과 이상이 뒤섞여 길항(拮抗)한 공간으로 해석된다. 둘째, 당호 요월(邀月)은 누정에서 조망했을 때의 승경적 요인 및 자연현상과 관련된 명칭으로, 마주한 '월봉산에 뜨는 달을 맞이함'을 함의하는 어휘로, 이는 자연의 섭리이자 풍류로서 탈속의 이미지와 맞닿아 있다. 즉 요월정은 세속의 희비를 벗어나 자연의 섭리를 따르려한 조영 의도를 반영한 당호로 해석된다. 셋째, 요월정원림의 입지는 "영광속수여지승람(靈光續修輿地勝覽)"을 통해 조영자가 퇴관 후 휴식을 위해 마련한 처소였으며, 월봉산을 마주하여 황룡강(黃龍江)이 굽이쳐 흐르던 승경지였음을 고문헌과 다수의 시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수호인 인터뷰에 따르면 요월정원림에서 야경의 시지각 빈도(頻度)는 수호인 거처인 고직사에서 요월정을 향해 황룡강 방향인 동쪽을 숙시각(熟視角)으로 조망했을 때가 가장 높다고 한다. 또한 시지각 강도(强度)가 가장 높고 아름다운 풍경은 요월정 좌측 배후면에서 달이 부상하여 요월정 전면(前面)의 배롱나무동산을 가로질러 요월정과 마주한 월봉산 사이에 남중한 때로 증언한 바 있다. 현재 요월정원림의 좌향은 $SE\;141.2^{\circ}$로서 거의 남동향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요월정 좌향 설정은 지형조건뿐 아니라 달의 궤적을 유상(遊賞)하기에 최적화된 방향과 시계(視界)를 확보하기 위한 기도(企圖)가 담겼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전면의 황룡강 수면 위로 남중한 달빛이 투영됨으로써, 하늘의 달과 황룡강 강물에 투영된 달이 동시에 감지되게끔 고려된 것으로 추론된다. 넷째, 현재 요월정원림은 요월정과 광산김씨문숙공파종회각(光山金氏文肅公派宗會閣) 및 고직사(庫直舍)로 구성된 '내원 권역'과 진입부를 아우른 배롱나무동산 및 소나무 배후림이 포함된 '외원 권역'으로 구분된다. 나아가 '용소 및 수생식물원 권역' 및 최근 조성된 '황룡정과 공원 권역'으로 외연(外緣)이 확산되면서 교란되고 변용되었다. 다섯째, 조영 당시 요월정원림은 누정에서 조망한 풍경을 안아 들여 누정을 중심으로 지근거리의 일정한 자연을 점유한 방식인 '경계 없는 산수원림'이었으나, 현재 복합경관은 과거 원형경관과는 괴리된 '이질화 분절화 파편화된' 경관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요월정원림이 문화재지정보호구역임을 감안할 때, 편액과 기문에 묘사된 완전한 원형경관으로의 복원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원림권역에서의 경관적 악영향과 시각적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수립이 요망된다.

TWINSPAN과 CCA Ordination에 의한 서해안 곰솔림과 토양환경과의 상관 분석 (A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inus thunbergii Forests and Soil Conditions by TWINSPAN and CCA Ordination in West Coast of South Korea)

  • 김민하;박종민;장규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9
    • /
    • 2016
  •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s of four sites in west coastal forests in South Korea,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inus thunbergii forests structure and soil conditions. The P. thunbergii forests were divided into four clusters; 1) P. thunbergii - Prunus sargentii var. sargentii, 2) P. thunbergii - Robinia pseudoacacia, 3) P. thunbergii - P. densiflora and 4) P. thunbergii - Quercus serrata. The soil of each site was poor in chemical characteristics but good enough for land plants to grow because of its low sal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by CCA Ordination, certain excessive soil nutrition has influenced on vegetation and specific species distribution. Forty eight species were found in the whole sites of coastal forests and some species appeared in every site. They are P. thunbergii, R. pseudoacacia, Rhus chinensis, Idesia polycarpa and Morus alba. For the tree species importance value, P. thunbergii was followed by R. pseudoacacia, Q. serrata, P. densiflora, Celtis sinensis, M. alba, I. polycarpa and Q. mongolica in order.

영양 서석지원(瑞石池園)의 경관요소를 통한 외원 규모 추정 및 프랙탈 구조(Fractal Structure) (Scale Estimation of External Garden by Landscape Components and Fractal Structure in Seoseokjiwon(瑞石池園))

  • 길승호;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7-67
    • /
    • 2013
  • 지금까지 별서정원과 관련된 연구들은 고문서 및 현장조사를 통한 통시적인 접근을 많이 해왔다. 전통조경공간의 상징성, 입지 특성 등 그 공간에 내재된 특성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많았다. 하지만, 입지 특성 중 내원, 외원, 영향권에 대한 특성은 많았으나, 외원 규모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미진하였다. 사생활권역인 내원과 달리 공동생활권역으로서의 역할인 외원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하기 위해 서석지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서석지원를 대상으로 기존 문헌들과 GIS 프로그램을 통해 가시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외원 규모를 추정하였다. 선행연구와 일부 차이가 있었지만, 부용봉과 입암 중심으로 확인해본 결과, 거의 유사한 면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정된 외원 규모를 통해 서석지원의 다양한 상징성에 대한 프랙탈 차원을 분석해본 결과, 주요 경관요소에서 프랙탈 차원이 상대적으로 집중화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주요 경관요소는 청기천을 제외하고, 일반 자연경관(논, 밭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 및 넓은 범위의 프랙탈 차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외원규모가 그동안 별서정원의 형태 중 내원에 대한 문화재 보호에서 벗어나, 외원에 대한 문화재 보호수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번 연구가 경관분석 요소 중 하나로서 프랙탈 구조 개념을 도입하여 주요 경관요소에 대한 시각적 복잡성에 대해 고려하였지만, 각 경관요소에 대하여 시문학과 더불어 좀 더 융합적인 사고의 결과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