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 disorder

검색결과 948건 처리시간 0.026초

방사선 치료중인 암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정신과 장애의 관련성 (A Relation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on Radiotherapy and Psychiatric Disorders)

  • 김호찬;문창우;박시성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134-141
    • /
    • 1999
  • 연구목적 : 암환자에서는 암의 임상적 특성이나, 치료방법에 따라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들이 발생한다. 특히 방사선 치료는 다른 방법의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 볼 수 없는 다른 심리적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정서적 고통과 갈등이 가중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 치료중인 암환자들에게는 어떠한 정신과 장애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 정신과 질환이 암과 관련된 다양한 임상적 특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방사선 치료를 위해 치료방사선과에 입원한 암환자 47명을 대상으로 하여. DSM-IV 진단기준에 따라 정신과 장애를 평가하고, 환자들의 인구학적 자료, 암의 부위, 이환기간, 재발횟수 등의 임상적 특성, 암환자의 암에 대한 인지여부, 치료결과에 대한 기대 등의 요인과 정신과 장애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 1) 21 명(44.7%)의 환자가 정신과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적응장애가 14명(66.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5명(23.8%)의 환자에서 동반된 주요 우울장애였다. 2)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종교 등의 인구학적 변인과 정선과적 장애와의 관련성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3) 암의 부위별로는 골반부에 위치하는 암이 22명(46.8%)으로 가장 많았으며, 암의 부위, 이환기간과 정신과 장애와의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다. 4) 암의 재발에 있어 재발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재발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신과 장애의 이환율이 높았다. 5) 암의 인지여부와 정신과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은 없었다. 6) 치료결과에 대한 기대와 관련하여, 방사선 치료가 단지 보조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군이 방사선치료에 의해 완치될 것으로 생각하는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신과 장애의 이환율이 높았다.

  • PDF

공통(共通) 비골신경(?骨神經) 마비(麻痺)로 발생한 foot drop 환자 치험 1례 (A Case Report on Foot Drop Caused by Common Peroneal Nerve Palsy)

  • 김수연;이동원;김경수;최재홍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9-153
    • /
    • 2004
  • This report present on a case of common peroneal nerve palsy effectively treated with oriental medical therapy. Common peroneal nerve palsy caused by compression of nerve, general illness(diabetes mellitus) etc. It occur foot drop, disorder of ankle dorsi-flexor and eversion, disorder of foot sensory. If nerve palsy is progressed, muscle atropy is occurred. This patient fall foot drop before two month ago without reason. He is diagnosed as peroneal nerve palsy by brain MRI, EMG and doctor's physical examination. This patient effectively treated by oriental medical therapy. Oriental medical therapy is herb medicine(kamisamul-tang), acupuncture(S36, S38, S40, S41, G34, G39, G40, G41, LIV3, LIV4, K3, B60), Electro-acupuncture, bee venom acupuncture, moxibustion, electro physical therapy(EST, SSP). Time of therapy is two months and sequela is nothing.

  • PDF

공황장애의 뇌영상 및 신경생물학적 식견 (Brain Imaging Provides Insight into the Neurobiology of Panic Disorder)

  • 박주언;강은호;이인수;유범희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1-96
    • /
    • 2007
  • Panic disorder is a common psychiatric illness that causes considerable morbidity. However, the biological basis of panic disorder remains unclear. In this report, we present and summarize the current literature on functional neuroimaging studies related to the neurobiology of panic disorder.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nd divided into six groups : (1) known brain structures related to anxiety, especially panic disorder ; (2) structural results ; (3) functional imaging studies at rest ; (4) functional imaging studies with challenge testing ; (5) neuroreceptor studies ; and (6) changes in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se neuroimaging studies, it seems as though panic disorder involves the hippocampal and parahippocampal areas, including the amygdala, as well as some cortical regions, such as the temporal and prefrontal cortices. Panic disorder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n imbala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hemispheres of the brain at rest or during panic attacks. During a panic attack,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re likely to experience an increase in local activity in the cingulate, insula, midbrain, and so on. On the other hand, a widespread reduction in the cortical areas has also been reported in most provocation studies. Thus, panic disorder may be related to the excess activation of the fear networks in response to subtle environmental cues and insufficient inhibition from higher cortical control areas ; however ;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neurobiology of panic disorder.

  • PDF

신경아교세포와 기분장애 (Neuroglia and Mood Disorder)

  • 이정구;서미경;박성우;김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2호
    • /
    • pp.34-39
    • /
    • 2015
  • Mood disorder is a common psychiatric illness with a high lifetime prevale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A serious problem such as suicide is commonly occurring in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Till now, the monoamine hypothesis has been the most popular theory of pathogenesis for depression. However, the more specific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and cellular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action of commercial antidepressants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Several recent studies demonstrated that glial cells, especially astrocytes, are a promising answer to the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In this article, current understanding of biology and molecular mechanisms of glial cells in the pathology of mood disorder and new research on the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will be discussed.

주요우울장애에서의 전기경련요법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 이화영;강이헌;이민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15권2호
    • /
    • pp.75-82
    • /
    • 2008
  • Major depressive disorder(MDD)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with serious health consequences such as increased morbidity, disability, and mortality. Electroconvulsive therapy(ECT) has been used as a treatment for mental disorder since the 1930s. A growing number of recent publications support the conclusions that ECT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depressed patients. Dosing strategies, frequency, safety, side effects and efficacy of ECT in MDD will be considered. ECT may be an alternative to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 PDF

BDNF가 ADHD의 병인과 치료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between the Brain-Derived Neurotropic Factor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강나리;송재민;곽영숙
    • 생물정신의학
    • /
    • 제25권2호
    • /
    • pp.21-30
    • /
    • 2018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a common childhood psychiatric disorder. Recent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brain-derived neurotropic factor (BDNF)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DHD. Our aim of this review is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BDNF and its potential relationship with ADHD and therapeutic approaches of ADHD. Searches were conducted in Pubmed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important literatures for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BDNF in neurodevelopment, change of serum BDNF level in ADHD, association of BDNF polymorphism and ADHD and potential association of treatment of ADHD with serum BDNF level.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source and the role of BDNF in ADHD and to develop BDNF based-ADHD treatement.

  • PDF

악관절장애 환자 치험 2례 (Two Case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 김찬중;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9-105
    • /
    • 2004
  •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is quite common dental problem. Research has shown that 5 to 15$\%$ of the population have a TMJ disorder requiring some type of treatment. TMJ disorder's symptoms are pains in the jaw and muscles of your face, limitation of opening or closing jaw and noises in jaw joint such as clicking or popping sounds. Two patients with TMJ symptoms visited our clinic. They complained pain, limitation of jaw opening and clicking sound. We treated them by stimulating trigger points on the TMJ muscle with acupuncture and had a good effects. The symptoms is reduced or disappeared.

  • PDF

기계학습 기반의 장애 음성 검출 시스템 (Machine Learning based Speech Disorder Detection System)

  • 정준영;김기백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53-25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 기반의 분류 방법을 이용하여 장애 음성을 검출하고자 한다. 음성 장애 중 마비말 장애는 뇌성마비, 파킨슨 질환, 뇌졸중 등 주로 뇌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애 음성을 검출함으로써 뇌졸중 등의 급성 뇌질환 발생에 대한 조기 처치가 가능하다. 장애 음성 검출은 입력 음성에 대한 특징벡터 추출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분류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험을 위해서 장애 음성 DB인 TORGO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10가지 기계학습 알고리즘과 다양한 특징벡터 스케일링 방법에 대해 장애 음성 검출 성능을 평가하였다.

자문 조정의학에서의 알코올 사용 장애 (Alcohol Use Disorder in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 서정석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1호
    • /
    • pp.15-19
    • /
    • 2011
  • 알코올은 생물학적으로 피부부터 위장, 간장과 같은 장기와 말초 및 중추 신경계의 기능과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며 그로 인하여 심리적, 생리적 의존과 함께 다양한 정신 장애를 일으킨다. 그리고 실직, 자살, 가정 내 폭력, 범죄 등의 사회적인 문제와 관련이 깊다. 이런 다양한 이유로 알코올 사용 장애는 타과로부터 흔하게 자문이 의뢰되어 조정되는 대표적인 정신신체 질환이다. 이에, 자문 조정 정신의학에서의 알코올 사용 장애의 유병률, 자문률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알코올 상용장애 환자를 자문 조정하는 의사로서의 역할과 일반적인 원칙, 그리고 초기 치료 계획을 세울 때 고려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월경전 불쾌기분 장애에 대한 임상적 고찰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A Clinical Review)

  • 황걸
    • 정신신체의학
    • /
    • 제15권1호
    • /
    • pp.14-21
    • /
    • 2007
  • 월경전 불쾌기분 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PMDD)는 여성의 약 $4{\sim}5%$에서 발병하며 섹스 스테로이드 호르몬 양의 변화에 대한 증가된 반응성 및 세로토닌, 멜라토닌, GABA의 감소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우울증, 계절성 정동 장애, 공황장애, 신경성 폭식증은 질병 특성 상 공통점이 있어서 월경전 불쾌기분 장애와 상호 연관성을 암시한다. DSM-IV-TR의 진단 기준에 따라 월경전 불쾌기분 장애를 진단하려면 반드시 정신적 증상이었어야 한다. 흔한 정신적 증상은 이자극성, 분노, 우울, 기분 스윙, 정동 불안정, 긴장, 불안, 피로, 음식 갈망이다. 현재로서 최선의 치료 약물은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이며, leuprolide, danazol, estradiol, spironolactone, bromocriptine도 사용될 수 있다. 경증 및 중증도 환자에 대한 보조적 치료로는 식이요법, 운동, 광선요법, 정신치료, 일기 쓰기 등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