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 buckwheat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5초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배유성분과 호화성질 (Compositions and Pasting Properties of Fagopyrum esculentum and Fagopyrum tartaricum Endosperm Flour)

  • 김진기;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9-153
    • /
    • 2005
  • 중국산 일반메밀 1종과 쓴메밀 2종의 껍질과 종피을 제거한 배유의 성분과 호화성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메밀은 쓴메밀 보다 상당히 크고 삼각형에 가까우나 쓴메밀-1종은 길쭉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쓴메밀-2종은 삼각형에 골이 깊숙이 파져 있는 형태를 보였다. 메밀쌀 가루의 일반성분과 아미노산 함량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고, 루틴 함량은 쓴메밀이 일반메밀보다 22배 이상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질 함량 중 철, 칼슘과 마그네슘함량은 쓴메밀에서 높았고, 아연, 망간과 인 함량은 일반메밀과 쓴메밀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신속점도계에 의한 호화패턴을 살펴보면 쓴메밀-2종이 최고점도, 최저점도와 breakdown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쓴메밀-1종은 breakdown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쓴메밀의 setback은 일반메밀보다 약 2.2배 컸다. 메밀가루의 색도는 일반메밀과 쓴메밀 사이에 또한 쓴메밀 사이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새싹 추출물의 장내 유익균 증식 및 염증조절 효능 평가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and Intestinal Inflammation of Sprout Extract from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 김수정;손황배;김종원;임상현;이종남;박수형;남정환;김도연;이예진;장동칠;김율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55-46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메밀 새싹 추출물의 비피더스균과 락토바실러스균 증식에 미치는 영향, 항염증 효과 및 관련 생리활성 물질의 분석을 통해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메밀 새싹 추출물을 10종의 프로바이오틱스에 첨가하여 각각 배양하였을 때, 대조군보다 pH 값이 낮아지고, 생균수는 증가하였다. 쓴메밀 새싹 추출물을 Bifidobacterium longum ssp. infantis BT1에 첨가하여 배양한 실험군의 생균수는 8.61×108 CFU/mL로 증식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메밀 새싹 추출물을 10종의 프로바이오틱스에 첨가한 다음 LPS로 유도하였을 때,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와 NO, PGE2 발현에서도 유의적인 억제 효과를 보여 우수하였다. 특히, 비피더스균 중 BT1에서 NO 생성량이 29.5 mM로 가장 낮았으며, 락토바실러스균 중에서는 Lacticaseibacillus paracasei LPC5에서 30.6 mM로 NO 생성량이 매우 낮아 항염증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루틴, 퀘세틴 및 콜린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진 메밀 새싹 추출물이 특정 배양액에서 염증 관련 지표인 NO 생성 및 PGE2 생성량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밀이 장내 유익균 증식과 염증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메밀과 쓴메밀 종실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iNOS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저해를 통한 항염증 효과 비교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eed ethanolic extracts of the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are mediated through the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 cells)

  • 김수정;손황배;이경태;신지선;김수연;남정환;홍수영;서종택;장동칠;김율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65-575
    • /
    • 2019
  • 메밀은 전 세계적으로 알곡, 싹, 차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주요재배종으로는 일반메밀과 쓴메밀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메밀과 쓴메밀 종실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루틴 함량은 쓴메밀 추출물이 일반메밀 추출물보다 65-78배 높았으며, 퀘세틴은 쓴메밀 추출물에서만 검출되었다.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함량도 쓴메밀 추출물이 1.8-2.0배 높았다. 쓴메밀 추출물은 6.25-400 ㎍/mL 범위의 농도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을 때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세포 내 NO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성 NO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 iNOS 단백질과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쓴메밀 추출물에서만 iNOS 단백질과 mRNA 발현이 감소되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억제 효과에서, TNF-α와 IL-1β의 경우 쓴메밀과 일반메밀 추출물 모두에서 생성억제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IL-6의 경우 일반메밀 추출물은 생성억제 효과가 없었으나 쓴메밀 추출물에서는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일반메밀과 쓴메밀 추출물에 의한 mRNA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쓴메밀 추출물의 억제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고려하면 루틴 함량과 항염증 효과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루틴 함량이 높은 쓴메밀이 항염증 식의약 소재 개발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쓴메밀 유전자원의 종자특성과 유용성분 변이에 관한 자원 정보 구축 (Construction of Data System on Seed Morphological Traits and Functional Component in Tartary Buckwheat Germplasms)

  • 김수정;손황배;홍수영;이종남;김기덕;서종택;남정환;장동칠;박민우;김율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46-4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쓴메밀 74개 유전자원의 종자 표현형 및 화학형과 관련된 8개 주요형질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성분분석 및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rutin 고함유 자원 등 기능성 쓴메밀 육성재료로 활용가능한 유망 유전자원을 선발하였다. 쓴메밀 유전자원의 종자크기는 일반메밀보다 작은 평균5.2 × 3.4 mm였으며, 종피색은 흑갈색이 45.9%로 가장 많았다. 종자모양은 달갈형과 타원형이 주를 이루었다. 쓴메밀 종자의 유용성분 평균 함량은 rutin이 1,393 mg/100 g DW였다. Flavonoid 함량 범위는 253-2,669 mg/100 g이었으며, polyphenol 함량 범위는 209-1,823 mg/100 g 으로 나타냈다. 쓴메밀 유전자원의 주성분 분석 결과, 제3주성분까지 적용하였을 때 전체 분산의 68.55%를 설명할 수 있었다. 제1주성분에는 rutin, flavonoid 및 polyphenol, 제2주성분에서는 종자길이, 제3주성분에서는 종자폭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5개의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유전자원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형질로는 rutin, flavonoid 및 polyphenol이었다. 쓴메밀 유전 자원 중 5개 자원(HLB1004, HLB1005, HLB1007, HLB1009, HLB1013)이 높은 rutin 함량을 보였으며, 이러한 유용자원들은 향후 기능성 육종소재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동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시설의 식품알레르기 관리 현황 (Management of Food Allergy in the Facilities Register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Gangdong-gu)

  • 김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96-407
    • /
    • 2021
  • Objectives: We examined the common allergenic foods, symptoms and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in children attending the facilities register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Gangdong-gu, Korea.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directors or head teachers of 186 children's food service facilities with 7,591 children in 2019.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parts, includ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food service facilities, information related to food allergies and allergenic foods and symptoms in individual children. Results: The number of children with food allergy was 271 (3.6%), and the proportion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ge. There were 91 children (33.6%) with a medical certificate, and these childr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allergenic foods and symptoms than those without a medical certificate. Allergenic food groups included meat, fish, eggs and legumes (59.1%), fruits (12.4%), milk and dairy products (8.9%), cereals (7.8%), vegetables (6.2%), processed foods (3.8%) and oils and sugars (1.9%). Eggs accounted for 22.1%, followed by peanut and tree nuts (18.6%), fruits (12.4%), milk and dairy products (8.9%), shellfish (8.6%), vegetables (6.2%), fish (5.7%), cereals (4.3%) and meat (1.1%). The common allergenic foods were eggs, peanuts, walnuts, kiwi, shrimp, milk, tomatoes, mackerel, blue-green fish, peaches, shellfish (clams and abalone), buckwheat, wheat and soybeans. The most common allergic symptoms were skin and mucous membrane symptoms, such as hives, rash, itching and oral angioedema. Meal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showed different trends depending on the causative food. Conclusions: The objective diagnosis by an allergist should be done for food allergy management in children's catering facilities. A system for systematic meal management of causative foods should be prepared.

우리나라 꿩고기 조리법(調理法)의 역사적(歷史的) 고찰(考察) (The Historical Study of Pheasant Cooking in Korea)

  • 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3-9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arious kinds of recipes of pheasant through classical cookbooks written from 1670 to 1943 which are the basic materials to the meat cooking. The recipes of pheasant are found 39 times in the literature,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eleven groups. Chronologically, the recipe of mandu (ravioli) was first appeared, and guk, tang (soup), kui (roasted), jang (salted meat), chim (steamed), po (dried meat), whe (raw meat), gijim (boiled in soy sauce), cho (sparkly heated in soy sauce and sugar), jolim (hard boiled in soy sauce), and jungol (meat with vegetable cooked in pan) followed in the records. Kui was the most popular one with the frequency of 43.6%, which proves that kui is the most suitable one for pheasant among all of recipes. Mandu and guk, tang were 10.2%, chim and po were found with the same rate of 7.7% and the next ones were jang, gijim, cho, and jungol with the rate of 2.6%. The recipes of pheasant were recorded much less than those of beef, chicken, pork, lamb, and dog meat. Particularly, in comparison with chicken belonging to fowls, the frequency of pheasant cooking did not reach even to one third of that. The Korean recipes of pheasant have been independently developed with originality, having nothing to do with the Chinese ones. The recipes of pheasant before the late 1800s have based on the strict recipe principles along with the spirit of art and sincerity, but they were deteriorated to simple and easy ones discarding principles. The main ingredient was the flesh of pheasant and the sub-ingredients such as flour, pinenut, buckwheat powder, and mushroom were included in common. In additon, oil, soy sauce, black pepper, and stone leek were frequently used as main seasonings.

  • PDF

서울시내 대중식사(大衆食事)로 부터 중금속의 총섭취량(總攝取量) 평가(評價) (Assessment of Total Dietary Intake of Some Heavy Metals from Common Restaurant Meals in Seoul Area)

  • 송미란;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58-467
    • /
    • 1986
  • 서울시내의 대중음식점에서의 판매되는 식사 유해 중금속 (Cd, Pb, Cu, Zn)의 오염정도를 분석하고 이들 식사로 부터 섭취하게 되는 중금속의 1일 총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시료는 설릉탕(또는 갈비탕), 육개장, 된장찌게백반, 비빔밥, 비빔냉면이며 이들을 다시 고형물과 국물로 분리하여 원자흡광분광광도계로 중금속 함량을 분석 하였다. 전 지역의 식사 105점중 고형물과 국물에서의 평균 농도는 각각 Cd 0.034ppm, 0.017ppm, Pb 0.179ppm, 0.073ppm, Cu 0.491ppm, 0.308ppm, Zn 4.624ppm, 1.403ppm이었으며 대중식사 1식당 중금속의 평균함량은 Cd $28{\mu}g$, Pb $145{\mu}g$, Cu $416{\mu}g$, Zn $3654{\mu}g$이었다. 대중식사로 부터 섭취하게 되는 중금속의 1인당 1일 총섭취량을 추정해보면 Cd $84\;{\mu}g$, Pb $434\;{\mu}g$으로 FAO/WHO의 허용량보다 약간 높았으나 Cu와 Zn은 유해한 수준이 아니었다.

  • PDF

충남지역(忠南地域)에서 재배(栽培)하는 메밀종자(種子)의 몇가지 특성(特性)과 그 분포(分布)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Studies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Grown in Chungnam Province)

  • 최창열;최관삼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47-54
    • /
    • 1985
  • 본(本) 조사연구(調査硏究)는 충남도내(忠南道內) 36개지역(個地域)에서 수집(蒐集)한 1984년도산(年度産) 메밀종자(種子)에 대(對)하여 몇가지 기초적(基礎的)인 특성(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고 그들의 지역적분포(地域的分布)를 밝히고자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다음과 같다. 1. 종자(種子)의 입형(粒型)은 유시형(有翅型), 중간형(中間型) 및 보통형(普通型)등 3개형(個型)이었고 어느 지성(地城)에서 수집(蒐集)한 종자(種子)이든 이들 3개형(個型)의 종자(種子)가 섞여 있었는데 그 혼합비율(混合比率)은 전체(全體) 평균(平均)으로 볼 때 보통형(普通型)이 50.1%, 중간형(中間型)이 26.8% 그러고 유시형(有翅型)은 23.1%이었으나 이러한 혼합비율(混合比率)은 지역간(地域間)에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2. 1000 입중(粒重)은 전체평균(全體平均) 24.9gr이었으나 지역간(地域間)에 큰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어서 서산군(瑞山郡)((No.30)에서의 수집종자(蒐集種子)가 17.4gr로 가장 가벼웠고 서천군(舒川郡)(No.16)에서의 수집종자(蒐集種子)는 31.9gr로 가장 무거웠는데 입형별(粒型別) 혼합비율(混合比率)과 1000입중(粒重)과는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나타나지 않았다. 3. $5^{\circ}C$로부터 $30^{\circ}C$사이에서는 온도(溫度)가 높아짐에 따라서 일반적(一般的)으로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되었는데 서천군(舒川郡)(No.16), 홍성군(洪城郡)(No.23), 천원군(天原郡)(No.35) 및 예산군(禮山郡)(No.27)에서의 수집종(蒐集種)은 $15^{\circ}C$ 그리고 서산군(瑞山郡)(No.29), 당진군(唐津郡)(No.32) 및 청양군(靑陽郡)(No.21)에서의 수집종(蒐集種)은 $25^{\circ}C$에서 발아율(發芽率)이 낮았다가 그 이상(以上)의 온도(溫度)에서 다시 상승(上昇)하였으며 $5^{\circ}C$의 저온(低溫)에서는 대부분(大部分)의 수집종자(蒐集種子)들이 10%미만(未滿)의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으나 아산군(牙山郡)(No.33)과 대덕군(大德郡)(No.3)에서의 수집종(蒐集種)은 각각(各各) 20%와 30%의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4. 종피(種皮)의 색(色)은 흑색(黑色)과 암갈색(暗褐色)으로 구분(區分)되었으며 입형(粒型)과 종피색(種皮色)을 조합(組合)한 종자형(種子型)은 유시흑색(有翅黑色), 중간흑색(中間黑色), 보통흑색(普通黑色), 유시암갈색(有翅暗褐色), 중간암갈색(中間暗褐色) 그리고 보통암갈색종(普通暗褐色種) 등 6개형(個型)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고 종피색(種皮色)의 차이(差異)에 따른 광(光)Energy의 흡수(吸收) Spectrum의 차이는 190~390nm범위 이었다.

  • PDF

고문헌(1400년대~1800년대) 및 근대문헌(1900년대~1960년대)에 나타난 묵의 변천과 묵 쑤는 방법에 대한 고찰 (Investigation on the History of the Muck (Traditional Starch Jelly) and Its Processing Methods Reviewed in the Ancient and the Modern Culinary Literatures)

  • 차진아;차경희;정라나;김수연;정유선;양일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3-89
    • /
    • 2008
  • Muck (Korean traditional starch jelly) is very unique and the one of the oldest starch processing traditional food. The typical ingredients for making muck such as acorns, mungbean and buckwheat have been eaten since the new stone age or even before that era. This study was for investigation on the history of muck and its processing methods in the ancient and the modern culinary literatures from the 1400’s to 1900’s. The summary of the reviews was as follows. In the ages from the 1400’s to 1700’s, using starch powder, Se-myon and Chang-myon were made and their shape were like noodles instead of cubical shape. It was after the 1700’s that muck making methods were revealed in the literature, like ${\ulcorner}Gyeong-do-jabji{\lrcorner}$ (1730) and${\ulcorner}Go-sa-sib-e-jib{\lrcorner}$ (1737). The naming of muck might be from the time after 1800’s, in${\ulcorner}Myoung-mul-kiryak {\lrcorner}$ (around 1870) the basis of the names of Choeng-po (white mungbean jelly) and Whang-po (yellow mungbean jelly) could be found. One of the most well-known muck dish, Tang-pyeong-chae, was recorded many old literatures, so it was found that Tang-pyeong-chae was very popular and governmental policy of Tang-pyeong-chak influenced the food of the common people. In ${\ulcorner}Shi-eui-jeon-seo{\lrcorner}$ (late 1800’s) there were records of several types of muck and starch powder making methods in detail which were handed down to the modern 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