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 Gras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8초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efficacy of herbal oils and extracts in disinfection of gutta percha cones before obturation

  • Makade, Chetana S.;Shenoi, Pratima R.;Morey, Elakshi;Paralikar, Ameya V.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2권4호
    • /
    • pp.264-272
    • /
    • 2017
  • Objectives: Literature has shown that micro-organisms contaminate gutta percha (GP) during storage and manipulation. Till date herbal extracts are not explored as an alternative medicament for pre-operative chairside disinfection of GP cone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efficacy of lemon grass oil (LG), basil oil (BO), and obicure tea extract (OT) in disinfecting GP cones before obturation. Materials and Methods: Agar diffusion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efficacy of LG, BO, OT, and sodium hypochlorite (control) against common contaminants, namely, Enterococcus faecalis, Staphylococcus aureus, and Candida albicans. One hundred and twenty GP cones were contaminated and cut into 2. First half was placed in the broth and incubated; whereas the second was treated with herbal extracts for 1 minute and then incubated for 24 hours in the broth. Any inhibition in bacterial growth was noted with presence/absence of turbidity.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d ${\chi}^2$ test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herbal extracts to decontaminate GP. Results: LG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zones ($29.9{\pm}6.9mm$) for all tested organisms, followed by OT extract ($16.3{\pm}1.8mm$), sodium hypochlorite ($16.0{\pm}1.6mm$), and BO ($14.5{\pm}5.3m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LG and other herbal extracts (p < 0.05). Conclusions: All extracts proved to be potential rapid chairside disinfectants of GP cones with LG showing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Impacts of Different Urban Surfaces on Summer Thermal Performance

  • Jo, Hyun-Kil;Wu, Qi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19-826
    • /
    • 2015
  • This study measured temperatures and albedos of urban surfaces for different colors and materials during summer, and calculated the energy budget over different urban surfaces to find out the thermal performance affecting the heat built-up. The study selected six surface colors and 13 materials common in urban landscape. Their surface temperatures (Ts) and albedos were measured at a given time interval in the daytime from June to August. Average Ts over summer season for asphalt-colored brick was $4.0^{\circ}C$ higher than that for light red-colored one and $9.7^{\circ}C$ higher than that for white-colored one. The Ts for artificial surface materials of asphalt paving, brown brick wall, and green concrete wall was $6.0^{\circ}C$ higher than that for natural and semi-natural ones of grass, grassy block, and planted concrete wall. There was the greatest difference of $16.3^{\circ}C$ at midafternoon in the Ts between asphalt paving and planted concrete wall. Average albedo over summer season of surface materials ranged from 0.08 for asphalt paving to 0.67 for white concrete wall. This difference in the albedo was associated with a maximum of $15.7^{\circ}C$ difference at midafternoon in the Ts. Increasing the albedo by 0.1 (from 0.22 to 0.32) reduced the Ts by about $1.3^{\circ}C$. Average storage heat at midday by natural and semi-natural surfaces of grass and grassy block was about 10% lower than that by artificial ones of asphalt, light-red brick, and concrete. Reflected radiation, which ultimately contributes to heating the urban atmosphere, was 3.7 times greater for light-red brick and concrete surfaces than for asphalt surface. Thus, surfaces with in-between tone and color are more effective than dark- or white-colored ones, and natural or semi-natural surfaces are much greater than artificial ones in improving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This study provides new information on correlation between Ts and air temperature, relationship between albedo and Ts, and the energy budget.

"본초정화(本草精華)" 초부(草部) 향약명(鄕藥名)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local medicinal herbs in Bonchojeonghwa Chapter of Grass)

  • 이덕호;엄동명;김홍균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18
    • /
    • 2005
  • As a result of study on the names of local medicinal herbs which described in Chobu (Chapter of Grass) of Korean medical book Bonchojeonghwa, we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Compared with the existing domestic medical books' local medicinal herb names, those of Donguibogam had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Bonchojeonghwa. Out of local medicinal herb names described in Chobu of Bonchojeonghwa, a third is only shown in Bonchojeonghwa, and another third is same as those in Donguibogam. 2) The notation of local medicinal herb names in Bonchojeonghwa is not so consistent as Donguibogam. In Bonchojeonghwa, we can see many examples of inconsistent notations over the same thing. Moreover, there are some examples, which are suspected to be an expression of dialect. 3) In spite of close similarity between the names of local medicinal herbs in Bonchojeonghwa and Donguibogam, the author of Bonchojeonghwa doesn't seem to directly refer to or quote Donguibogam, because it doesn’t make sense that the author of Bonchojeonghwa intentionally referred to regular, consistent Donguibogam in irregular, inconsistent way. 4) In spite of very low possibility of direct reference or quotation among Bonchojeonghwa, Donguibogam and Bangyakhappyon, there are many examples of common format in its notation way on local medicinal herbs, which cannot be explained only as coincidence. And it tells us that there must be another publication which had been referred to or quoted by the said three medical books. 5) From the fact that there are a lot of examples of local medicinal herb names which doesn't show palatalization, or labialization, the names of local medicinal herbs described in Bonchojeonghwa must be the expression around 17th century.

  • PDF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하와이 해안지역 식생 분류 (Vegetation Mapping of Hawaiian Coastal Lowland Using Remotely Sensed Data)

  • 박선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96-507
    • /
    • 2006
  • 본 연구는 고해상도 자료와 하이퍼스펙트럴 자료를 혼용하여 하와이 화산 국립공원 내 해안 지역의 식생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에 주로 나타나는 식생은 3종의 초본(broomsedge, natal redtop, and pili)과 작은 관목 등으로 대표되는 비초본으로 구분된다. 분류 기법으로는 unsupervised classification과 supervised classification을 결합한 하이브리드법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3단계 분류과정을 적용하였다. 첫째로는, IKONOS 고해상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식생 및 비식생지역을 unsupervised classification법을 통해 분류하였다. 두 번째로는, minimum noise fraction(MNF) transformation을 이용하여 AVIRIS하이퍼스펙트럴 자료로부터 주성분을 추출하여 자료를 압축하는 과정을 거쳤다. 20미터 해상도를 가진 AVIRIS 픽셀들은 대부분 용암면과 식생면으로부터 반사된 복사신호가 혼합되어 있기때문에, 용암과 식생의 지표피복 비율에 따른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용암면이 갖는 반사 신호를 각 픽셀로부터 제거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픽셀에 대하여, 식생피복 비율에 비례하는 AVIRIS 하이퍼스펙트럴 자료의 식생성분을 토대로 maximum likelihood algorithm에 따라 supervised classification법을 적용하여 초지 및 관목으로 대표되는 지표식생을 분류하였다.

  • PDF

Soil Characteristics of Newly Reclaimed Tidal Land and Its Changes by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 Lee, Kyeong-Bo;Kang, Jong-Gook;Lee, Kyeong-Do;Lee, Sanghun;Hwang, Seon-Ah;Hwang, Seon-Woong;Kim, Hong-Ky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9-135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oil characteristics of newly reclaimed tidal land and the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on soil properties. Summer green manure crops such as sesbania (Sesbania grandiflora), barnyard grass (Echinochloa spp.) and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were cultivated at Hwaong, Ewon, Saemangeum and Yongsangang area. Soil pH of reclaimed tidal land was relatively high, but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orus contents were lower compared to the optimum range for common upland crops. Soil nutrient contents were unbalanced for upland crop growth. Yield of green manure crops had a wide spatial variation. Nitrogen content in green manure crops was the greater in Sesbania and it was estimated that major nutrient ($N-P_2O_5-K_2O$) supply amount were 150-40-370, 220-50-170 and 140-50-250 $kg\;ha^{-1}$ from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esbania and barnyard grass,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desalination is required to grow the upland crops at newly reclaimed tidal lands and management practice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salt damage by resalinization during the growing season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increase the nutrient utilization rat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need to be improved to the level for upland crops by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and fertilizer.

중남부지역에서 난지형 목초의 생육특성, 월동성 및 사초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Winter Survival and Forage Production for Warm Season Grass in the Mid-Southern Regions of Korea)

  • 박형수;정민웅;정용복;임영철;최기춘;김지혜;이기원;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난지형 목초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고 난지형 목초의 재배 한계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전남 장흥, 광주광역시, 전북 김제 및 충남 천안에서 2009년 5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난지형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Common", "자생형(Ecotype)" 품종, 바히아그라스 "Argentine", "Tifton 9" 품종과 클라인그라스 "Selection 75" 품종을 2009년 5월 하순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출현 소요일은 파종 후 12일정도 소요되었으며 바히아그라스는 파종 후 24~2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동이 가능한 광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의 출수기는 5월 28일경, 바이하그라스는 7월 26일경, 클라인그라스는 5월 30일경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월동성은 전남 장흥 및 광주지역에서는 바히아그라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월동이 가능하였으며 전북 김제와 충남 천안지역은 월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지형 목초의 건물생산성은 모든 시험지역에서 클라인그라스가 6,106 ~ 15,331 kg/ha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바히아그라스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의 Ecotype이 12.7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DF 함량은 버뮤다그라스 common이 30.42%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TDN)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68.23%로 바히아그라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n vitro 건물소화율은 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버뮤다그라스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에서 난지형 목초 활용을 위한 재배한계 지역은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월동이 가능한 전남지역까지로 판단되며 연간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는 한지형 목초와 비슷한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보였다. 하지만 기후 온난화 대응 측면과 한지형 목초의 여름철 수량감소로 인한 지속성 저하를 보완 대체할 수 있는 조사료 자원으로서 난지형 목초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초생대 적정 초종 선정 (Selection of Appropiate Plant Species of VFS (Vegetative Filter Strip) for Reducing NPS Pollution of Uplands)

  • 최경숙;장정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0호
    • /
    • pp.973-983
    • /
    • 2014
  • 본 연구는 밭경지 현장실험을 통해 다양한 초생대 초종을 적용하여 밭의 비점오염저감효과 분석 및 초생대에 적용 가능한 적합한 초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경북 군위군에 위치한 면적 $1,500m^2$, 경사 5%의 밭경지를 선정하여 시험포를 조성하였으며, 시험포내에는 대조구 1개와 초생대 처리구 6개로 구성된 총 7개의 시험구를 조성하였다. 츄파, 피, 바랭이, 잔디, 톨페스큐, 켄터키블루그라스를 포함하는 6개의 초종을 선정하여 초생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실험 결과 대조구 대비 초생대의 유출저감효과는 6.1~77.8%였으며, 비점오염저감효과는 TS의 경우 15.6~90.3%, T-P의 경우 49.9~96.6%, T-N의 경우 6.7~91.1%를 나타내었다. 전체 오염인자 중에 초생대로 인해 전반적으로 높은 비점오염저감 효과를 나타낸 것은 TS, T-P, T-N, SS인 반면, BOD, TOC와 $NO_3^-$는 낮은 저감효과를 보였다. 비점오염저감 및 유지관리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초생대 초종은 잔디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농촌지역 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관리기법으로 초생대가 효과적으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되며, 보다 장기적이고 다각적인 현장실험을 통해 초생대 현장적용을 위한 설계 지침서 개발이 요구된다.

A Study on Community Perceptions of Common Cancers, Determinants of Community Behaviour and Program Implementation in New Delhi, India

  • Seth, Tulika;Kotwal, Atul;Thakur, Rakesh Kumar;Ganguly, K.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6호
    • /
    • pp.2781-2789
    • /
    • 2012
  • Assessment of perceptions of the community, the determinants and development of their behavior regarding common malignancies, helps in establishing evidence-based activities for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of cancer. However information on this important aspect is lacking in our country. Qualitative methods were here used to obtain information through in 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FGDs) with all categories of identified stakeholders. Most were unaware of the activities of the cancer control program. Even the providers were not fully conversant. All respondents mentioned lack of diagnostic and treatment facilities in government, primary and secondary level facilities. Perception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takeholders regarding why many community members did not attend screening camps and other services reflect the determinants of community behavior, acting independently as well as in combination. The cancer control program was thought to be restricted only to some private facilities and overcrowded government tertiary care facilities where the visits were time consuming. Almost all the facilities were considered curative oriented. Issues of supervision, monitoring and feedback were inadequately addressed by providers who were inadequately trained in many program activities. The program lacked effective planning, coordination and appropriate implementation at the grass roots level in Delhi. Social mobilization was grossly inadequate, as most of the community members were unaware of the existence of the program. Misconceptions about the risk factors, signs and symptoms, diagnosis, and treatment were common amongst community members as well as many of the providers. Thus the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 in our country needs further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ocial mobilization. Accessibility, availability, acceptability and affordability of various preventive, curative and rehabilitative activities, as well as intersectoral coordination, training, supervision and monitoring of program activities, all need to be addressed to ensure the success of this important public health program.

남방노랑나비(Eurema hecabe)의 생태환경 및 실내사육 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cological Environments and Indoor-rearing Conditions of the Common Grass Yellow Butterfly, Eurema hecabe)

  • 이상현;김세권;남경필;손재덕;이진구;박영규;최영철;이영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3-139
    • /
    • 2012
  • 본 연구는 남방노랑나비의 인공사육을 위한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와 실내에서의 인공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를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주 서식지인 경남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A지역, 하천변의 개활지)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B지역, 구릉성 산자락) 두 곳을 조사지로 선정하여, 2010년 6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6개월간 월 2회 정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산자락인 B지역의 남방노랑나비의 개체수가 개활지인 A지역보다 성충의 경우 6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 애벌레, 번데기도 더 많은 수가 조사되었다. B지역의 경우 먹이식물이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먹이식물의 선호도는 비수리에서 170개체가 관찰되어 자연에서는 비수리가 가장 선호하는 기주식물임이 확인되었다. 실내 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실내 사육을 실험하였다. 기주식물에 따른 산란선호도를 조사하기위해 암 수 100개체를 산란장에 넣고 짝짓기를 유도한 후 비수리와 결명자를 넣고 10분간 산란한 알의 수를 세어 산란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비수리에 산란한 알의 수가 $104.9{\pm}19.6$개로 결명자의 $12.7{\pm}4.5$개 보다 많아 비수리의 산란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란된 알을 고온 장일 조건($25^{\circ}C$, 16L : 8D)의 인공적인 환경에서 사육한 결과, 산란된 알의 부화율은 53.7%이었으며, 산란에서 부화까지 평균 소요일수는 $5.1{\pm}0.9$일이었다. 유충기간은 $12.1{\pm}0.9$일이었으며, 각 령별 두폭측정 결과 1령 $0.36{\pm}0.02$, 1령 $0.61{\pm}0.02$, 3령 $0.93{\pm}0.05$, 4령 $1.46{\pm}0.08$, 5령 $2.25{\pm}0.11$로 나타났다. 사육된 애벌레의 용화율은 81.0%으로 나타났으며, 번데기기간은 평균 $6.9{\pm}0.7$일로 조사되었다. 나비의 우화율은 79.6%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남방노랑나비의 자연상태에서의 서식환경과 실내 인공사육을 위한 사육조건이 확인되었다.

제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 및 바히아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사초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for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and Bahiagrass (Paspalum notatum) in Jeju)

  • 박형수;박남건;김종근;최기춘;임영철;최기준;이기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1-138
    • /
    • 2012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난지형 목초의 도입을 위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사초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조사료 시험포장 (해발 200 m)에서 2007년 4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난지형 영년생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Common", "제주 자생형 (Ecotype)" 품종과 바히아그라스 "Argentine", "Tifton 9" 품종을 2007년 4월 22일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출현일은 5월 8일로 파종 후 16일정도 소요되었으며 바히아그라스는 파종 후 24~2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수기는 버뮤다그라스 Common은 5월 28일, 바이하그라스 Tifton 9은 7월 4일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3년간 평균 건물수량은 Common이 16,749 kg/ha으로 Ecotype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바히아그라스에 있어서는 Tifton 9이 23,695 kg/ha으로 Argentine 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의 Ecotype이 13.8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DF 함량은 버뮤다그라스 common이 27.9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 (TDN)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65.48%로 바히아그라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n vitro 건물소화율은 각각 70.90%, 70.44%로 두초종이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는 월동이 가능하여 여름철 조사료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또한 지하경과 포복경을 가지고 있어 말의 제상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 방목용 초종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