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mmon Criteria Recognition Arrangement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Suggestion and problem of Korea Skim looking into through the CCRA-CAP Analysis (인증서발행국(CAP)들의 스킴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의 평가, 인증 제도의 문제점과 시사점)

  • Kang, Jang-Mook;Yoo, Eui-Sang;Park, Kwang-Cheol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467-478
    • /
    • 2003
  • 국제공통평가기준(Common Criteria)2.1을 기반으로 한 국제공통평가인정협정(Common Criteria Recognition Arrangement)은 21세기 정보보호 산업 전반에 수출입 장벽 및 국제적 표준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이미 국제공통평가상호인정협정(CC-MRA)에서부터 적극적으로 기술을 축적하고 세계적 표준을 선도한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의 주요 선진국들은 국제공통평가인정협정 인증서발행국(CCRA-CAP)으로서의 우월적 지위를 확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CCRA-CAP국가들에 대한 스킴(Skim)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의 스킴 개발이 국제적인 선도국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와 우리나라의 문제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CCRA-CAP국가로 세계적 평가, 인증체계의 선도국이 되기 위한 준비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통찰력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스킴 중 정보보호시스템 평가, 인증 제도 관련 기관 책임 및 임무에 관한 1번 스킴을 주요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분석 연구한다.

  • PDF

Limitations of Common Criteria and Analysis of future Common Criteria with Collaborative Protection Profile (기존의 CC 평가제도의 한계와 cPP의 등장으로 인해 개정되는 새로운 CC 평가제도 분석)

  • Choi, Hyunduk;Yi, Ok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832-834
    • /
    • 2015
  • 최근 CCRA(Common Criteria Recognition Arrangement) 협정서 개정에 따라 공통평가기준인 CC(Common Criteria) 평가제도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현재의 CC 평가제도가 가지는 한계를 보완하고자 PP(protection profile)를 대신하는 cPP(collaborative protection profile)가 개발되었는데, 기존의 폐쇄적으로 운영되던 PP 개발 프로세스와 달리 cPP 개발에는 CCRA 회원국의 여러 기관 및 기업이 적극적으로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세계 각국에서 cPP 개발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세분화된 연구도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CC 평가제도가 가지는 한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cPP의 등장 및 개정되는 새로운 CC 평가제도의 운영을 분석한다.

Analysis of the Trends of Domestic/International IT Product Introduction Policy and Deduce Improvement Plan of Domestic Policy (국내외 IT제품 도입제도 동향 분석 및 국내 제도 개선방안 도출)

  • Son, Hyo-hyun;Kim, Kwang-jun;Lee, Man-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9 no.4
    • /
    • pp.897-906
    • /
    • 2019
  •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ed, the administration computerization of the government was promoted, and cyber attacks targeting IT products are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due to the reverse functions. Accordingly, governments in each country have begun to verify the security in the introduction of IT products by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protect information, and established the policy required in the introduction process. This research analyzes the introduction policy of domestic IT products to identify the supplement point. In addition, we analyze trends of introduction of IT products in the majo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UK, Japan, Canada, and Australia. Finally, we propose the improvement method of domestic introduction policy through comparison analysis with domestic introduction policy.

Analysis on CC Evaluation Demand and Selection of IT Security Products to be evaluated under CC Scheme in Korea (CC 평가수요 분석 및 차기 평가대상 제품군 선정)

  • 오흥룡;염흥열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4 no.5
    • /
    • pp.79-95
    • /
    • 2004
  • The Common Criteria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one CCRA member to avoid re-evaluating IT security products which were already evaluated by other CCRA members.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the evaluated IT security products under CC scheme in several nations, such as Unite States, Great Britain and Australia. and defined new category of the IT security products for the domestic CC evaluation. And we have analyz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on the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have conducted a poll to receive opinions and demands of the Korean industries for Korea policy decision maker to select the possible IT security products which will be evaluated in Korea under CC scheme. As a conclusion, we have selected 15 IT products based on the response to a poll by the industries, the market size, the evaluation amount demanded by the user, manufacturer, and evaluator, to select the possible IT security product under CC schemes in Korea during next 5 years.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the benefit, and the demerit of the selected IT products were analyzed. This paper can be used as a guideline document for Korea policy decision maker to select the IT products to be evaluated under CC scheme in Korea for next 5 years.

국제공통평가기준(CC)기반의 상호인정협정(MRA)동향 분석

  • 이유신;이경구
    • Review of KIISC
    • /
    • v.10 no.3
    • /
    • pp.49-62
    • /
    • 2000
  • 인터넷을 통한 기업간(B2B) 전자거래 시장규모가 올해 17조원대에 이르고 기업과 소비자간(B2C)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또한 1조원을 넘어서는 등 전체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가 18조원을 넘어 설 전망이다. 이는 정보통신시스템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의존도가 한층 증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고 전자상거래의 규모가 커져 갈수록 정보보호시스템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전성에 대한 입증 노력 또한 더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특히 안전성이 입증되진 않은 취약한 정보보호시스템을 사용한 시스템 구축은 오히려 그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최근의 많은 해킹사례를 통해 경험한바 있다, 향후 예견되는 이러한 엄청난 사회적 손실을 막기 위한 제도적 노력의 일환으로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에서는 10여년 전부터 자국의 환경에 적합한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정보보호시스템을 평가해오고 있다 본고에서는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제도와 관련하여 최근의 국제동향과 그에 따른 국내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특히 정보보호시스템 평가를 위한 국제기준의 CC(Common Criteria)와 이를 기반으로 맺어진 MRA(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유럽의 상호인정협정인 ITSEC-MRA의 출범배경과 올 5월에 새롭게 출범한 CC-RA체제와 특징적인 모습을 고찰해 보고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