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inuted fracture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8초

요골두 치환술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Radial Head Prosthesis)

  • 문준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40-145
    • /
    • 2011
  • 목적: 금속 요골두 치환술은 주관절 불안정성을 동반한 고정할 수 없는 분쇄된 요골두 골절의 치료로 최근 다양한 임플란트의 개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저자는 금속성 요골두 치환술의 적응증과 국내에 사용중인 임플란트의 종류와 수술 술기를 문헌 고찰과 함께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요골두 치환술의 주 적응증은 동반된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주관절의 불안정성이 있고, 요골두의 분쇄 골절로 안정적인 내고정이 불가능한 골절이다. 이러한 경우 과거 시행되었던 요골두 절제술은 많은 합병증의 발생으로 금기시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양극성, 압박 고정 단극성 및 이완 고정 단극성 임플란트의 3종류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요골두 치환술은 궁극적으로 원래의 요골두의 크기와 길이로 복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도하게 긴 요골두의 삽입은 흔한 합병증으로 수술 시 주의가 필요하다. 결과 및 결론: 요골두 치환술은 적절한 적응증과 정확한 수술 술기로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향후 장기추시 연구와 다양한 치환물들의 임상적인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총상 골절 개에서 자가골 이식과 주관절 고정술 (Elbow Arthrodesis with bone Autograft for the Management of Gunshot Fracture in a Dog)

  • 이종일;알람;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0-64
    • /
    • 2005
  • 체중 23kg, 나이 6세된 수캐 잡종 사냥개가 왼쪽 주관절에 총상을 입어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방사선 사진에서 요골 척골 근위부에 복잡골절과 주관절 돌기 후방에 금속성 탄환이 발견되었다. 첫 번째 외과처치는 탄환을 제거하고 bone plate, bone screw, K-wire등을 이용하여 정복 고정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두 번째 시도는 주관철 고정술과 13번째 늑골로부터 얻은 자가골을 이용하여 결손부를 충진 하였다.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자가골 재이식과 3번째 수술을 실시하여 주관절의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 할 수 있었다. 60주가 지난 현재 평상시 활동에는 커다란 문제점이 없지만 속보 혹은 뛰는 경우 관절 고정술을 실시한 다리를 들고 세 다리만 사용하는 아쉬움이 있다.

치료법을 달리한 상악골절후 부정유합 2예 (THE CARE OF DELAYED MALUNION AFTER MAXILLARY FRACTURE BY DIFFERENT METHODS:REPORT OF THREE CASES)

  • 유재하;이원유;류수장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17-127
    • /
    • 1991
  • 현대 사회에서 외상의 특성은 다발성 손상이 빈발하는 것이며 상악골절시 생명을 위협하는 다발성 전신손상이 동반되면 수술이 지연되어 골절부의 지연된 부정유합을 보일 수 있다. 또한 골절된 양상에 따라서는 관혈적 정복술의 적용여부가 고려되는데 특히 골절편의 분쇄가 심하면 수술시 골절부위의 이개 후 정상위치로의 이동이 어렵고 설사 골절편의 이동이 이루어졌다고 하여도 정상위치로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쇄골절편의 상실량이 많아지면 골이식까지 시행해야 하는 등 외과적이술식의 적용에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악골절 후 통상 6주일 간의 시간경과가 없다면 오히려 상악골절편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전방견인용 headgear 또는 headcap 을 사용한 교정적인 치료를 시도함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더우기 reverse headgear를 이용한 치료법은 골절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유용함이 실험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입증된 만큼 이를 상악골절후 후퇴된 상악골의 전방견인에 적용할 경우 교정치료의 최대장애인 cortical bone의 연속성이 골절로 인해 끊어지고 섬유성 유착상태로 남게되어 교정력의 효과가 치아이동 뿐만 아니라 골편의 이동에 매우 유익하리라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상악골적이 분쇄양상인 한 환자에서 headgear와 headcap을 이용한 교정치료법을 5개월간 적용해 양호한 결과를 얻었고, 골절양상이 분쇄형이 아닌 증례에서는 외상후 5주간 경과 되었지만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여 정상교합을 회복했으며, 심한 두부 손상으로 6개월만에 의식 회복을 한 LeFort I, II, III, 환자에서는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 교합기 상에서의 모형분석,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 등을 시행한 후 새로운 골면에다 LeFort I -osteotomy with iliac bone graft를 시행해 정상교합 및 안모추형을 개선시켰기에 이를 보고한다.

  • PDF

상완골 대결절 골절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예비 보고- (Arthroscopic Treatment of Greater Tuberosity fracture - Preliminary Report -)

  • 지종훈;김영율;박상은;라기항;도정훈;김원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7-65
    • /
    • 2007
  • 목적: 관절경하에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못을 동반 사용하여 상완골 대결절 골절편을 고정하며 동시에 동반된 병변을 치료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전위 골절, 복잡 골절, 회전 근개 파열, 견관절 구축이 나 관절 순 손상을 동반한 미세 전위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 중에서 관절경하에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못을 동반 사용하여 정복 및 고정을 시행한 총 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6개월 이상 추시된 환자의 최종 운동 각도 및 ASES 및 UCLA score를 이용하여 술후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로 평근 ASES 및 UCLA score는 술후 최종 추시 시 93.6점과 31.5점로 향상되었으며 술후 최종 추시시 평균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 154.3도, 측방거상 145.8도, 외회전 32.6도, 내회전 제 1 요추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전위된 골절이거나, 골절편이 작거나 여러개일 경우, 또는 회전근 개 파열, 견관절 구축이나 반카르트 병변등의 동반질환들이 있는 경우에는 관절경하에서 동반 병변 치료와 함께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 못을 동반 사용하여 대결절 골절을 고정하는 방법은 유용한 치료방법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의 이중 금속판 고정술 (Dual Plate Fixation for Periprosthetic Femur Fractur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김동휘;차동혁;고강열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6-33
    • /
    • 2021
  •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 삽입물 주위 골절에 이중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 후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 23예 중 Lewis와 Rorabeck의 분류상 II형으로 삽입물 이완은 없으나 과상부 분쇄골절이거나 골절선이 외상과까지 연장됐거나 주대(stem)가 있어 편측 고정만으로 골절부의 안정성을 얻을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내, 외측 이중 금속판을 이용하여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72세(65-82세)였고 여자가 11예, 남자가 2예였다. 수상 기전은 낙상이 9예, 교통사고가 4예였다. 류마티스관절염 1예를 제외하고 12예에서 골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았고 3예에서 재치환술 등의 이유로 주대가 있었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골절 발생까지의 평균 기간은 28개월(1-108개월)이었고, 술 전 환자의 평균 골밀도는 T score -3.2 (-1.7에서 -4.4)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23개월(12-65개월)이었다. 수술법은 골절부의 내측에 먼저 광근 하방으로 접근하여 해부학적 정복을 시행하고 금속판으로 내고정을 시행한 후 추가로 외측에 최소 절개법을 통해 잠김 압박 금속판을 사용하여 내고정하였다. 골유합 기간 및 합병증, 최종 추시 시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Knee Score (HSS)를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골유합 기간은 17.4주(7-40주)였으며 2예에서 지연 유합이 발생하였으나 추가적 수술 없이 36주와 40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1예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여 재고정술 및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 후 3개월에 완전한 골유합을 얻었다. 최종 추시 시 전후방각형성은 평균 2.86도(0-4.9도), 내외반 각형성은 평균 1.67도(-1.2-4.9도)로 전체 예에서 부정 유합은 없었다. 최종 추시 시 슬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90도였고, HSS 점수는 평균 85점(70-95점)이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 시 편측 고정만으로 골절부의 안정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 이중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안정적인 고정으로 빠른 재활이 가능하고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Treatment of Surgical Site Infection and Delayed Union in Fetlock Arthrodesis of a Mare

  • Lee, Sang-Kyu;Kim, Jinyoung;Seo, Jong-pil;Lee, Inhyung;Kang, Byung-Jae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57-162
    • /
    • 2020
  • A 6-year-old Thoroughbred mare presented to the Korea Racing Authority Equine Hospital with dropping of the left front fetlock due to an injury sustained while racing. Ra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a comminuted fracture of both proximal sesamoid bones of the affected fetlock. Arthrodesis of the fetlock joint using a broad dynamic compression plate with a tension band wire was performed as a salvage procedure for the future use as a broodmare. After surgery, however, a delayed union of the bones and surgical site infection was present for a prolonged period. Staphylococcus aureus was persistently identified from the surgical site, and antimicrobial therapies were based on antibiotic sensitivity tests, including regional perfusions. The removal and replacement of surgical implants associated with seropurulent discharge was based on coordinating the development of fetlock ankylosis and infection control over 13 months. Firstly, seven screws associated with surgical drainage were replaced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2 (BMP-2) and local antibiotics were placed into the surgical site to accelerate bone fusion at postoperative month 7. Further six screws, along with drainage, were removed at postoperative month 10. The plate and screws were removed from the limb due to the progression of bone fusion at postoperative month 13; BMP-2 and local antibiotics were also used. Delayed healing of arthrodesis due to surgical site infection and implant instability were treated by implant removals and antibiotic therapies, and the horse eventually showed improved weight-bearing ability of the affected limb.

Analysis of Bone Fixation Methods in Digital Replantation

  • Lee, Seung Woo;Lee, Dong Chul;Kim, Jin Soo;Roh, Si Young;Lee, Kyung Ji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53-58
    • /
    • 2017
  • Background Adequate fixation of replanted digits is essential not only for short-term healing but for long-term function. Various bony fixation methods using Kirschner (K-) and intraosseous wire are available in replantation. We examined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fixation methods on bone union after digital replantation. Methods A single institutional retrospective review identified 992 patients who had undergone 1,247 successful replantations between July 2009 and September 2015. Exclusion criteria included amputations of the distal phalanx, comminuted fractures, and intra-articular fractures.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5 categories of fixation methods: single K-wire, double longitudinal K-wires, cross K-wires, wire with, and wire without K-wire support. Bone union was evaluated by 5-month postoperative X-ray and fixation outcomes were compared across the 5 groups. Results The ex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and 88 patients with 103 replanted digits remained for analysis. Single K-wire fixation was used in 40 digits, double longitudinal K-wires in 30, and cross fixation in 14. Wire with and without K-wire support was required in 15 and 4 digits. Nonunion was observed in 32 digits (31.1%), of which 13 required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bone graft or corrective osteotomy. The highest percent of nonunion was observed after cross fixation (35.7%) and the lowest after wire alone (25.0%). Conclusions In this study, contrary to general knowledge, we found that single K-wire fix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poorer outcomes. Successful bone union outcomes may be achieved by careful selection of bone fixation methods.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planning bone fixation in digital replantation.

Osteoblast and Bacterial Culture from Cryopreserved Skull Flap after Craniectomy : Laboratory Study

  • Cho, Tack Geun;Kang, Suk Hyung;Cho, Yong Jun;Choi, Hyuk Jai;Jeon, Jin Pyeong;Yang, Jin Se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0권4호
    • /
    • pp.397-403
    • /
    • 2017
  • Objective : Cranioplasty using a cryopreserved skull flap is a wide spread practice. The most well-known complications of cranioplasty are postoperative surgical infections and bone flap resorption. In order to find biological evidence of cryopreserved cranioplasty, we investigated microorganism contamination of cryopreserved skulls and cultured osteoblasts from cryopreserved skulls. Methods : Cryopreserved skull flaps of expired patients stored in a bone bank were used. Cryopreserved skulls were packaged in a plastic bag and wrapped with cotton cloth twice. After being crushed by a hammer, cancellous bon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table was obtained. The cancellous bone chips were thawed in a water bath of $30^{\circ}C$ rapidly. After this, osteoblast culture and general microorganism culture were executed. Osteoblast cultures were done for 3 weeks. Microorganism cultures were done for 72 hours. Results : A total of 47 cryopreserved skull flaps obtained from craniectomy was enrolled. Of the sample, 11 people were women, and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55.8 years. Twenty four people had traumatic brain injuries, and 23 people had vascular diseases. Among the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ies, two had fracture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The duration of cryopreservation was, on average, 83.2 months (9 to 161 months). No cultured osteoblast was observed. No microorganisms were cultured. Conclusion : In this study, neither microorganisms nor osteoblasts were cultured. The biological validity of cryopreserved skulls cranioplasty was considered low. However, the usage of cryopreserved skulls for cranioplasty is worthy of further investigation in the aspect of cost-effectiveness and risk-benefit of post-cranioplasty infection.

Ender Nail을 이용한 경골간부 골절의 치료 (Treatment of the Tibia Shaft Fractures with Ender Nails)

  • 김인기;이동철;서재성;안면환;김세동;안종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30-136
    • /
    • 1992
  • 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형외과에서는 1986년 12월에서 1991년 11월까지 경부 간부 골절 31례에 대하여 Ender nail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평균연령은 37.3세였고, 남자에게서 3배가 많았으며, 교통사고가 가장 많은 원인이었다(67%). 2. 폐쇄성 골절이 20례, 개방성 골절이 11례였으며, 분쇄골절과 분절골절이 18례(57.7%)였고, 중간부 골절이 16례로 가장 많았다. 3. 동반손상이 19례에서 있었고, 수상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7.6일이었다. 4. 평균 골유합 기간은 18.9주였으며, 2례에서 지연유합을 보였다. 5. 합병증으로 하지 단축이 2례, 각형성 변형이 3례, 관절 운동 제한 2례, 감염이 연부조직에 1례 있었다. 이상 경골 간부골절 치료에 사용한 Ender nail은 시술의 간편성, 적절한 고정성과 운동성, 비교적 폭넓은 적용 범위등으로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제한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을 이용한 경골 Pilon 골절의 치료 (Limite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Tibial Pilon Fractures)

  • 강충남;김종오;김동욱;고영도;고상훈;유재두;황준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2-111
    • /
    • 1997
  • 저자들은 1993년 9월부터 1996년 5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입원하여 Pilon 골절로 치료받고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9례(18명)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Ovadia와 Beals의 분류상 제1형이 2례, 제2형이 3례, 제3형이 10례, 제4형이 1례, 제5형이 3례였고, 제3형이 53%로 가장 많았으며, 교통사고와 추락손상 등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골절이 16례로 전체의 약 84%를 차지하였다. 2. 손상의 정도가 비교적 적은 제1형과 제2형에서는 모두 양호 이상의 임상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제4형과 5형에서는 손상의 정도가 심하고 이로인한 정확한 정복의 어려움으로 인해 보통 이하의 성적을 나타내었다. 3. 합병증은 외상후 관절염이 6례로 가장 많았으며 손상정도가 심한 3형 이상에서 정확한 정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가 보통이하였던 제3형 3례에서 부정 유합이 발생하였으나 임상결과와의 연관성은 없었다. 4. 저자들은 제한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로 연부조직의 합병증을 현격히 줄일 수 있었으며, 손상의 정도가 적고 정확한 정복이 가능한 경우, Pilon 골절의 좋은 치료 술식의 하나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