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mushroom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Different Substrates and Casing Materials on the Growth and Yield of Calocybe indica

  • Amin, Ruhul;Khair, Abul;Alam, Nuhu;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8권2호
    • /
    • pp.97-101
    • /
    • 2010
  • Calocybe indica, a tropical edible mushroom, is popular because it has good nutritive value and it can be cultivated commercially.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determine a suitable substrate and the appropriate thickness of casing materials for the cultivation of C. indica. Optimum mycelial growth was observed in coconut coir substrate. Primordia initiation with the different substrates and casing materials was observed between the 13th and 19th day. The maximum length of stalk was recorded from sugarcane leaf, while diameter of stalk and pileus, and thickness of pileus were found in rice straw substrate. The highest biological and economic yield, and biological efficiency were also obtained in the rice straw substrate. Cow dung and loamy soil, farm-yard manure, loamy soil and sand, and spent oyster mushroom substrates were used as casing materials to evaluate the yield and yield-contributing characteristics of C. indic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effective fruiting bodies, the biological and economic yield, and the biological efficiency were statistically similar all of the casing materials used. The maximum biological efficiency was found in the cow dung and loamy soil casing material. The cow dung and loamy soil (3 cm thick) was the best casing material and the rice straw was the best substrate for the commercial cultivation of C. indica.

가축질병 세균 및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의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Mushroom Liquid Culture Extracts Against Livestock Disease-Causing Bacteria and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 박주웅;김택;임동중;이향범;주이석;박용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5-147
    • /
    • 2004
  •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의 균사체 배양액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돼지와 가금류의 설사 유발 세균류인 E. coli K88, E. coli K99, E. coli 987P와 Salmonella typhimurium 14058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구름버섯 추출물은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한편, kanamycin과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Staphylococus aureus CARM3230과 E. coli CARM1381 균주에 대해서도 세 가지 버섯 배양 추출물 모두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구름버섯 추출물은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다. 이는, 이들 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이 기존 항생제 대체용으로 가축 사료에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 버섯류로부터 항생제 내성균을 억제할 수 있는 신규 항균성 물질의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Viral Effects of a dsRNA Mycovirus (PoV-ASI2792) on the Vegetative Growth of the Edible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Song, Ha-Yeon;Choi, Hyo-Jin;Jeong, Hansaem;Choi, Dahye;Kim, Dae-Hyuk;Kim, Jung-Mi
    • Myc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283-290
    • /
    • 2016
  • A double-stranded RNA (dsRNA) mycovirus was detected in malformed fruiting bodies of Pleurotus ostreatus strain ASI2792, one of bottle cultivated commercial strains of the edible oyster mushroom. The partial 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gene of the P. ostreatus ASI2792 mycovirus (PoV-ASI2792) was cloned, and a cDNA sequences alignment revealed that the sequence was identical to the RdRp gene of a known PoSV found in the P. ostreatus strain. To investigate the symptoms of PoV-ASI2792 infection by comparing the isogenic virus-free P. ostreatus strains with a virus-infected strain, isogenic virus-cured P. ostreatus strains were obtained by the mycelial fragmentation method for virus curing. The absence of virus was verified with gel electrophoresis after dsRNA-specific virus purification and Northern blot analysis using a partial RdRp cDNA of PoV-ASI2792. The growth rate and mycelial dry weight of virus-infected P. ostreatus strain with PoV-ASI2792 mycoviru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ree virus-free isogenic strains on 10 different media. The virus-cured strains showed distinctly higher mycelial growth rates and dry weights on all kinds of experimental culture media, with at least a 2.2-fold higher mycelial growth rate on mushroom complete media (MCM) and Hamada media, and a 2.7-fold higher mycelial dry weight on MCM and yeast-malt-glucose agar media than those of the virus-infected stra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fection of PoV mycovirus has a deleterious effect on the vegetative growth of P. ostreatus.

배지조성에 따른 표고 톱밥재배의 생육 효과 (Effects of difference in medium composition on the growth of Lentinula edodes)

  • 이관우;전종옥;김민자;김익제;장명준;박혜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7-271
    • /
    • 2018
  • 봉지재배용 표고의 적합한 배지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참나무톱밥+미송톱밥+미강(40:40:20, v/v) 혼합배지인 T5에서 pH 5.3으로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며 C/N율은 71.8로 대조구 85.2 대비 낮은 경향이었다. 배양특성은 T5에서 대조구 대비 산조701호는 13일, 농진고는 18일 배양기간이 단축되었다. 자실체 특성조사 결과 산조701호 품종에서는 T5에서 대조구 대비 갓이 크고 두꺼웠으며, 대도 길고 두꺼워 개체중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농진고 품종에서는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배지조성에 따른 혼합배지별 수량은 T5에서 대조구 대비 산조701호는 17%, 농진고는 19% 증수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참나무톱밥의 50%를 미송톱밥으로 대체할 경우 배양기간이 단축되고 수량이 증수되며 또한 생산비 절감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약용버섯의 계통분류 및 국내유통 Inonotus속내 종간 구별을 위한 신속동정법 개발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edicinal mushroom and taxonomical positions of their commercial products)

  • 김성윤;정민정;김기영;박재민;김문옥;문동오;이태호;이재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2-59
    • /
    • 2005
  • 국내유통약용버섯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이들 속 및 종간의 유연관계확립을 위하여 계통학적 정보를 지니고 있는 ITS부위의 염기서열을 밝히고 ITS1과 ITS2부위의 다양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확립하였고, 시판 I. obliquus 종의 진위여부와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확립 및 종 특이적인 유전자 탐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약용버섯으로 주로 시판되고 있는 국내유통균주는 총 6개의 속(Phellinus, Inonotus, Sparassis, Fomes, Ganoderma, Hericium)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 기존에 잘 알려진 상황버섯과 최근 들어 수입양이 급증하고 있는 차가버섯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일명 차가버섯으로 유통 중인 15개 제품 중 중국에서 수입되어진 59번 균주가 P. pini로 확인되었으며 일본에서 수입되어진 51, 52번 균주가 P. baumii와 P. linteus와 유사종 혹은 동일종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I. rheades(AY237731)와 I. radiatus(AY354217) 및 F. fomentarius(AY354213)는 NCBI 등록 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실험에서 조사되어진 30번 균주 F. fomentarius가 정확한 말굽버섯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여러 환경 조건에 따른 균사 생장 특성 (Mycelial growth properties of an Amanita javanica strain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 강정아;가강현;김준영;윤성탁;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1-196
    • /
    • 2019
  • 노란달걀버섯은(Amanita javanica) 국내에서 산림법으로 보호받고 있는 식용 가능한 외생균근성 버섯이나, 중요한 산림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특성 연구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채집 야생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노란달걀버섯 NIFoS 1267 균주를 이용하여 PDA 배지 상에서 물리적 요인(온도, pH, 광)과 화학적인 요인(염분, 중금속, 농약)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최적의 물리적 환경은 온도가 30℃, pH가 5-6, 암조건으로 배양이었을 때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요인으로서 염분은 2.0% 농도 조건까지 버섯균주의 균사 생장이 가능하였다. 50 ppm 농도의 중금속 이온 환경에서 비소(As) 이온은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카드뮴(Cd)와 납(Pb) 이온은 균사 생장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국내 산림에 사용되고 있는 2가지 농약의 경우, Abamectin 첨가 배지에서는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에 영향이 없었으나 Acetamiprid, Emamectin benzoate, Thiacloprid가 첨가된 배지 환경에서는 균사 생장이 모두 다 저해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상업적 생산을 위한 새로운 자원으로서 노란달걀버섯의 인공재배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목질섬유소 분해효소의 최적 추출 및 특성 (Optimal Ext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Lignocellulytic Enzymes from Various Spent Mushroom Composts)

  • 임선화;이윤혜;강희완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0-166
    • /
    • 2013
  •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팽이버섯(Flammulina velvtipes)과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 느티만가닥버섯(Lyophyllum ulmarium),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ornucopiae), 잣버섯(Lentinus lepideus), 버들송이버섯(Agrocybe cylindracea)의 수확 후 배지 (spent mushroom compost, SMC)로부터 ${\alpha}$-amylase (EC 3.2.1.1), lignin peroxidase (EC 1.11.1.14), laccase (EC 1.10.3.2), xylanase (EC 3.2.1.8), ${\beta}$-xylosidase (EC 3.2.1.37), ${\beta}$-glucosidase (EC 3.2.1.21) 및 cellulase (EC 3.2.1.4)의 활성을 추출 buffer별로 조사하였다. 물과 0.25% Triton X-100가 효소 회수율이 높았으며 xylanase는 팽이버섯 SMC에서 153 U/g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laccase는 큰느타리버섯 SMC에서 8.0 U/g로 가장 높았다. ${\alpha}$-amylase (3.6 U/g)와 cellulase (3.2 U/g)는 버들송이 SMC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큰느타리버섯 SMC 추출물의 laccase와 cellulase 활성은 상용 효소와 필적하는 효소활성을 보여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큰느타리(새송이)버섯에서 역교배를 통한 속성형질의 도입 (Introduction of a speedy growing trait into Pleurotus eryngii by backcrossing)

  • 임착한;김민근;제희정;김경희;류재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9-56
    • /
    • 2012
  • 선행연구인 큰느타리버섯의 자실체 특성연구에 기초하여 속성형질과 품질이 우수한 계통을 선발하여 품질이 우수하면서 조기에 수확할 수 있는 품종을 육성하고자 하였다. 수확소요일수가 우수한 KNR2503과 품질이 우수한 KNR2322를 육종모본으로 정하고 이들 계통으로부터 유래한 단포자의 특징을 조사하고 KNR2322는 자식, KNR2322와 KNR2503은 혼합하여 교배를 실시하였다. $KNR2322-4{\times}37$은 품질과 갓형태에 있어서 육종학적 가치가 우수하였고, 여기에서 유래한 자식계통 $KNR2322-4{\times}37-6{\times}12(B)$는 수확소요일이 20일 정도로 길었지만, 무게가 68.5g 품질이 6.5로 우수하여 육종모본으로 선발하였다. $KNR2322-30{\times}KNR2503-60(A)$은 수확소요일이 13.5일로 육종모본으로서의 가치가 있었다. 육종모본 A와 B 교배결과 A8B8과 A8B10이 수확소요일, 무게, 품질이 각각 14.0일, 88.8g, 92.7g, 7.0, 7.1로 우수하였다. 고유성 검사의 일환으로 기존품종(큰느타리3호)를 대조구로 핵산지문법과 대치배양을 실시하였는데, 다형성과 대치선이 존재하여 유전적으로 차별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선발된 두 계통중 A8B8은 "새송이1호"라고 명명하고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등록을 하였다.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교잡분리집단의 형태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segregation population developed by crossing in Flammulina velutipes)

  • 우성이;공원식;김은선;장갑열;신평균;오연이;오민지;남윤걸;김경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7-222
    • /
    • 2015
  • 팽이버섯의 야생 갈색 균주에서 유래한 단핵 계통 ASI 4019-20과 상용 품질에서 유래한 백색 단핵균주 M3를 교잡하여 분리집단을 만들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육종의 기초 자료를 작성하였다. 4019-$20{\times}M3$ 교잡으로 육성된 $F_1$인 M3-Sn 계통으로부터 단핵균주 94개를 분리하고 다시 교배 모본의 하나인 M3와 교잡하여 $BC_1F_1$인 M3-n 집단을 육성하여 생장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단핵균주는 형태상으로는 균사의 생장 형태가 불규칙한 것이 있었으며 톱밥 생장이 늦은 것이 많았다. 그 반면 이핵균주인 $BC_1F_1$(M3-n) 계통의 균사는 생장형태가 대부분 균일하며 톱밥에서 생장이 양호하였다. 갈색 야생 균주와 백색 상용 품종 유래의 단핵균주간 교잡으로 육성된 $F_1$의 자실체 갓색은 연갈색으로 나타나 유색이 백색에 우성이었으며, 백색 회보친을 교잡하여 육성한 $BC_1F_1$ 분리집단에서 색깔이 분포는 진갈색 7%, 갈색 25%, 연한갈색 27%, 아이보리 16%, 흰색 25%로 나타나 전체 유색에 백색의 비율은 3:1이었다.

계통간 교잡에 의한 느타리 품종 '청'의 육성 및 그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new variety 'Chung' by intra-specific hyphal anastomosis in Pleurotus ostreatus)

  • 유영복;이상철;정원순;장갑열;공원식;정종천;오세종;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7-51
    • /
    • 2008
  • 느타리버섯류의 새로운 품목을 개발하기 위하여 느타리 계통간 교잡으로 청색 느타리를 개발하였다. 단포자를 분리하고 균사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느타리 4개 계통에 의한 3개 교잡조합으로 166개의 교잡주를 육성하였다. 이중에서 $2487{\times}2194$, $2194{\times}2344$, $2183{\times}2344$의 교잡주 166개중에서 조합별로 각 1개의 청색 자실체 교잡주가 나타났다. 이들 중 청색 특성이 우수한 2487과 2194 교잡주 Po 2005-4121호를 선발하여 새로운 품종 '청'을 육성하였다. 주요 특성으로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sim}30^{\circ}C$,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2{\sim}16^{\circ}C$ 원기형성을 위하여 저온처리가 필요하며 여름철을 제외한 봄부터 가을까지 재배하기에 적합한 품종이다. 자실체의 갓 색깔은 청색에서 청회색이며 자실체 형태는 다발형으로 기존 느타리종의 품종과 동일하다. 균사체 배양기간을 포함한 생육일수는 37일로 2487계통과 유사하다. 자실체 형태는 깔때기형이며 유효경수는 병당 29개, 대굵기는 11mm로 다른 느타리 종에 비해 다소 굵고, 개체중은 10.2g으로 갓이 보통이고 수량은 병당(850ml) $102.7{\pm}12g$ 이다. 생육온도를 $13-16^{\circ}C$로 유지하여야 자실체의 갓색을 청색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색깔이 다양한 웰빙 식품이 각광을 받음에 따라 버섯의 칼러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청느타리는 시각적 효과가 뚜렷하여 버섯요리 개발과 판촉행사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버섯의 수요 창출로 농가소득에 이바지 하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