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Meat-type Duck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Ducks and Commercial Meat-type Ducks Raised under Same Feeding and Rearing Conditions

  • Kwon, H.J.;Choo, Y.K.;Choi, Y.I.;Kim, E.J.;Kim, H.K.;Heo, K.N.;Choi, H.C.;Lee, S.K.;Kim, C.J.;Kim, B.G.;Kang, C.W.;An, B.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638-1643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meat quality in two different genotype ducks raised under identical feeding and rearing conditions. A total of ninety 1-d-old Korean native ducks (KND, n = 45) and commercial meat-type ducks (Grimaud, n = 45) were fed same experimental diets during 56 d and 42 d, respectively to obtain similar slaughter weights. The experimental diet for starter period contained 20% crude protein (CP) and 2,900 kcal nitrogen corrected true metabolizable energy (TMEn)/kg of diet and that for grower period contained 17% CP and 3,050 TMEn/kg of diet. Average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 of KND were inferior to those of commercial meat-type ducks (p<0.05). Carcass weight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enetically different ducks, but carcass yield of KND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commercial meat-type duc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oking loss and pH of breast meat between two genetically different ducks, but water holding capacity of K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meat-type ducks. The linoleic acid and total polyunsaturated fatty acid of breast meat from KN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corresponding part from commercial meat-type duck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water holding capacity and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ND, whereas growth performance tended to be superior in commercial ducks. At the market weight, the meat from KND was judged to have better qualities with regard to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and greater conten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are with meat from commercial meat-type duck.

Assessment of Microbial and Radioactive Contaminations in Korean Cold Duck Meats and Electron-Beam Applic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 An, Kyung-A;Jo, Yunhee;Arshad, Muhammad Sajid;Kim, Gui-Ran;Jo, Cheorun;Kwon, Joong-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97-304
    • /
    • 2017
  • Animal-origin food products pose serious threat to public food safety due to high microbial loads. The microbial and radioactive contaminations in commercial cold duck meat products were evaluated. Ten different lots of commercial samples ($C_1-C_{10}$) were classified based on type and smoking process. All samples were highly contaminated (< 4-7 Log CFU/g) with total aerobic bacteria (TAB), yeasts and molds (Y&M), and 7 samples ($C_1-C_7$) were positive for coliforms. Furthermore, three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Listeria monocytogenes ($C_4-C_6$) and one with Salmonella typhimurium ($C_6$). No radionuclides ($^{131}I$, $^{137}Cs$, and $^{134}Cs$) were detected in any sample. The results of DEFT (direct epifluorescent filter technique)/APC (aerobic plate count), employed to screen pre-pasteurization treatments of products, indicated that smoked samples were positive showing DEFT/APC ratios higher than 4. Notably, the samples showed a serious threat to microbial safety, thus were irradiated with electron-beam (e-beam). The $D_{10}$ values for S. typhimurium and L. monocytogenes were 0.65 and 0.42 kGy, respectively. E-beam application at 3 and 7 kGy resulted in reduction of initial TAB, Y&M, and coliform populations by 3 and 6 log cycles, respectively. Thus, e-beam was proven to be a good decontamination approach to improve the hygiene of cold duck meat.

오리사 바닥 형태가 육용오리의 생산성 및 사육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Forms of Floor System on Performance of Meat-type Duck and Environments of Duck House)

  • 방한태;김동운;황보종;나재천;강환구;김민지;하룬 무쉬타크;라나 파빈;최희철;이상배;강민;김지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3-262
    • /
    • 2013
  • 본 연구는 오리사의 바닥 형태와 난방 방법에 따른 오리의 성장 특성 및 사육 환경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3처리 4반복에 반복구별로 육용오리 25수씩 총 300수를 공시하여 6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사 직접 난방은 일반적인 사육 방식으로 설치하였고, 바닥 난방은 PVC 파이프를 이용해 온돌식 난방으로 설치하였다. 고상식 처리구는 플라스틱 망을 지상에서 50 cm 정도 높이에 고정하여 오리분이 바닥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였다. 6주령 생산성에서 체중 및 사료 섭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료 요구율은 고상식 직접 난방이 평사 직접 난방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율 및 부분육의 비율은 평사 바닥 난방에서 복강 지방량이 0.8%로 가장 낮은 것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처리구 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주령부터 5주령까지 오리사 내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의 농도는 평사 직접 난방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게 측정되었다. 평사에서 깔짚 수분 함량은 직접 난방이 바닥 난방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이와 반대로 공기 중 분진량은 바닥 난방에서 높게 나타났다. 직접난방 처리구에서 연료 소모량은 고상식이 평사에 비하여 6주 동안 약 21% 적게 소모되었다. 오리의 외관 상태를 관찰한 결과, 오리가 깔짚과 플라스틱 망의 영향을 받아 뒤로 눕거나 다리 벌림, 발목이나 다리가 휘는 현상, 발바닥 상처 등 특이 증상이 일부 관찰되었다. 3주령과 6주령에 조사한 혈구 분석 결과는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일반 농가에서 사용하는 평사 직접 난방에 비하여 바닥 난방이나 고상식 바닥의 오리사 시설은 생산성에서 유의적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부 환경 개선이나 오리의 상태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오리사 시설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한 시설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사육되는 육용오리 세 가지 계통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s and Carcass Traits in Three Major Meat-Type Duck Strains in Korea)

  • 방한태;나재천;최희철;채현석;강환구;김동욱;김민지;서옥석;박성복;최양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89-3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입종오리(PS)에서 생산된 육용오리와 농가에서 자가 생산된 육용오리 계통($F_1$)의 생산성과 오리의 도체 성상 및 육질 특성을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생산성에 있어서 체리밸리, 그리모, $F_1$이 각각 6주령 체중은 3,294 g, 3,248 g, 3,217 g였고, 8주령에는 4,013 g, 3,852 g, 3,922 g으로 체리밸리가 가장 높은 체중을 보였다. 또한 각 계통의 체중 성장의 변화를 볼 때, 그리모는 초기 성장은 빠르나 후기 비육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에 반하여 체리밸리와 $F_1$은 나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사료 섭취량은 전 기간에 걸쳐 $F_1$ 9,935 g, 그리모 9,872 g, 체리밸리 9,584 g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사료 요구율은 체리밸리가 6주령에 1.93, 8주령에 2.42로 타 계통에 비해 전반적으로 좋은 성적을 보였다. 생산지수 값에서도 체리밸리가 6주령과 8주령에 각각 405.6, 295.9로 그리모, $F_1$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도체율은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나 6주령과 8주령의 복강지방 함량은 그리모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부분육의 도체 수율은 전 부위에서 유의차가 없었고, 주령이 증가할수록 다리의 비율은 줄어들고 가슴의 비율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에 사용된 세 계통 간 가슴육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서는 각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모두 페킨종에서 개량된 계통이지만 육질에 관한 개량은 아직 미진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환경에서 생산 성적은 체리밸리 계통이 타 계통에 비하여 좋은 경향을 보였으나, 육질에서는 계통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남은 음식물 및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오리사료의 제조 및 그 가치평가 (Utilization of food and Organic Wastes for Duck Feeds and Evaluation of Their Feeding Values)

  • 정승헌;이상락;김철;이도형;맹원재;권윤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18
    • /
    • 2000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feeding values of food and other organic wastes, and to determine their dietary effects on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in ducks. A total of 156 meat type ducklings at the age of 25 days were housed in 12 pens and assigned to 4 treatments, in which the birds were fed for 21 days. One of 4 diets, commercial duck feed, raw food waste (RFW), fermented food waste(FFW) and mixture of 50% RFW and 50% FFW (R+FFW). Feed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RFW groups. Body weight gai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other treatments. The feed consumption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FW groups (p<0.05)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Carcass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FFW groups (p<0.05) than the other groups. The weight of liver per live body weigh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 groups (p<0.05). The length of intestin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treated groups(p<0.05).

  • PDF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Chitin-chitosan (FERMKIT) on Toxicity of Mycotoxin in Ducks

  • Khajarern, J.M.;Khajarern, S.;Moon, T.H.;Lee,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5호
    • /
    • pp.706-713
    • /
    • 2003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ietary FERMKIT, a commercial toxin binder consisting of probiotic-fermented natural product containing chitin, chitosan and chitosan oligosaccharides ($FERMKITO^{(R)}$, EASY-BIO SYSTEM, Inc., Korea), in binding aflatoxin (AF) and zearalenone (ZEN) and ameliorating their mycotoxicity in meat type ducks. FERMKIT was supplemented to AF contaminated diets (at 120 ppb) at either 0.3 or 0.6% in experiment 1 and to ZEN contaminated diets (at 150 ppb) at 0.6% in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body weight gains were reduced by 37% and mortality was increased by 18% in ducks fed diet contaminated with AF at 120 ppb compared to ducks fed control diet (<10 ppb AF) for the 4-wk experimental period. However, dietary FERMKIT supplementation effectively alleviated overall toxicity induced by AF. The significant treatment-related changes in feather growth, web-toe hemorrhage, leg deformity, liver paleness, organ weights, hematological values and serum biochemical values, as compared to the control, were observed. The FERMKIT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iminished the adverse effects of AF and restored all the parameters measured back (<0.05) toward the control value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FERMKIT, when added at the levels of 0.3 or 0.6% in the 120 ppb AF diets, could modulate the toxicity of AF with percentage sorption capacity of 52.70% at the level 0.3% and 79.85% at the level 0.6% of the diets (experiment 1). In experiment 2, FERMKIT, when added at 0.6% to the 150 ppb ZEN diets for the 4-wk experimental period, diminished the toxicity as shown by body weight gain, weights of testicles, oviducts, Bursa of Fabricius and cloaca eversion scor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s (<10 ppb ZEN) and 150 ppb ZEN diet with no added FERMKI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ERMKIT could be protective against the effects of ZEN in young growing ducks with percentage sorption capacity of 67.11% as evaluated from toxicity index parameter measured when added at 0.6% of the diets containing 150 ppb ZEN.

사육 기간에 따른 토종 실용오리의 도체 내 지방산과 아미노산 함량 변화 (Changes of Fatty Acids and Amino Acids Contents of Korean Native Commercial Ducks Meats with Different Raising Periods)

  • 허강녕;추효준;김종대;김상호;김학규;이명지;손보람;최희철;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5-241
    • /
    • 2013
  • 본 시험은 토종오리 대형종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함량을 주령에 따라 평가하여 적정 출하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 동물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토종오리 대형종에서 발생된 병아리 90수로서, 15수씩 6반복으로 나누고, 육용오리 사료를 이용하여 8주 동안 사양하였다. 일정 주령(6주령, 7주령 및 8주령)에 도달하였을 때 각각의 주령을 처리구로 하고, 체중이 유사한 토종오리 2수를 1점으로 반복당 4수씩 도압(屠鴨)하고,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2점씩 총 36점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포화 지방산인 myristic acid(C14:0)와 palmitic acid(C16:0)는 6주령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7주령과 8주령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포화지방산 중 stearic acid(C18:0)는 7주령에 가장 높았으며(P<0.05), 6주령과 8주령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불포화 지방산 중 arachidonic acid(C20:4n6)는 6주령에 가장 낮게 나타났고(P<0.05), 7주령과 8주령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7주령과 8주령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다른 불포화 지방산들은 주령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6주령과 7주령은 차이가 없었으나, 8주령에 포화 지방산은 낮아졌고, 불포화 지방산은 높아졌다(P<0.05). 필수 아미노산 중 histidine, leucine, lysine, methionine, phenylalanine 및 threonine은 6주령에서 8주령까지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5), 이 중 histidine은 6주령과 7주령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isoleucine과 valine은 주령경과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모든 비필수 아미노산은 8주령까지 함량이 증가하였으며(P<0.05), 이 중 cystine과 proline은 7주령과 8주령, glycine은 6주령과 7주령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8주령까지 지방산과 아미노산 함량이 모두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는 토종 오리의 적정 출하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료된다.

배당침액을 첨가한 간장소스와 된장소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저장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ies of soy sauce and soybean paste sauce added with extracts of pear and sugar)

  • 박연옥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65-474
    • /
    • 2015
  • 이 연구는 배의 가공식품으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배당침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2종 소스(간장소스와 된장소스)를 개발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저장성을 알아보고 훈제오리와의 조화도를 평가하여 육류요리와 어울리는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종 소스는 이론적인 레시피와 다량조리 실험과 관능평가를 통하여 최종 레시피를 결정하였다. 또한 된장소스는 관능평가에 재료의 입자 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마늘과 양파를 0.2cm 크기로 다진 것과 분쇄기에 분쇄한 두 가지 형태(된장소스 I,II)로 제조하여 관능평가 실시하여 그 결과 최종 소스를 확정하여 이후 이화학적 분석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된장소스 I이 강도 관능평가에서 향미, 색깔, 맛, 전체적인 품질이 더 높게 평가되었고(p<0.05) 기호도 평가에서는 색깔, 맛, 산미, 훈제오리와의 조화도, 전체적인 선호도 에서 된장소스 II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따라서 된장소스 I을 선택하여 차 후 이화학적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간장소스와의 관능평가 결과 이취, 색깔, 점도는 간장소스가 유의적으로 된장소스 I보다 더 높았으며(p<0.05) 냄새, 맛, 후미, 전체적인 품질은 된장소스 I이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두 소스의 기호도 평가에서는 된장소스 I이 맛, 오리훈제와의 조화도, 전반적인 기호도 등에서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았다(p<0.05). 배당침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1.2{\pm}5mg/100g$ 이었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9.7{\pm}3.7%$, $ABTS^{{\cdot}+}$ radical 소거능은 $14.2{\pm}7.5%$였다. 배당침액을 첨가한 소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간장소스 $147.7{\pm}12.6mg/100g$, 된장소스 $156.2{\pm}13.4mg/100g$로 두 군이 유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 radical 소거능은 간장소스 $43.6{\pm}6.3%$, 된장소스 $17.0{\pm}5.0%$로 간장소스의 활성이 높았고, $ABTS^{{\cdot}+}$ radical 소거능은 간장소스 $18.9{\pm}2.1%$, 된장소스 $17.0{\pm}9.0%$로 두 소스가 유사하였다. 개발된 두 소스의 저장성 평가에서 pH, 염도, 미생물, 색도의 변화는 저장기간 동안 유의하지 않았고 당도는 간장소스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된장소스는 증가하였다. 점도변화는 간장소스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도가 감소하였고, 된장소스는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장기간 동안 소스의 점도변화를 안정화시키면 배당침액을 첨가한 간장소스와 된장소스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배와 배당침액, 마늘, 양파 등 각 소스 재료의 다양한 기능성분을 함유하면서 항산화활성이 높고 저장성이 안정적인 육류 요리 소스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