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ur Study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33초

디스플레이에서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링 (Colour Appearance Modelling based on Background Lightness and Colour Stimulus Size in Displays)

  • 홍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3-48
    • /
    • 2018
  • 본 연구는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라 색채를 동일하게 지각 할 수 있도록 디지털 색채 재현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디스플레이의 진화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보다 정확한 색채와 향상된 영상 재현은 화질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시각적 특성을 반영한 디지털 색채 재현을 위해 중심와 시각과 주변시 시각의 특성을 분리하고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링을 계발하였다. 도출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분산분석을 통해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링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모델을 근거로 하여 알고리즘 및 모델링 검증 작업을 실시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 접목을 위해 제안한 모델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색채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복합적인 화상이 입력 영상으로 제시될 경우의 방법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전환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색채 변환 오류를 인간의 시지각 관점에서 해결 하여 보다 정확한 색채 표현과 향상된 화질 영상 재현이 가능하다.

주변시 시각에서 색채 자극과 배경의 밝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연구 (A Study on Colour Appearance along the Variance of Colour Stimulus and Background Lightness at Peripheral Vision)

  • 홍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9-25
    • /
    • 2018
  • 디지털 색채를 통한 화질향상을 위해서 디지털 색채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객관적인 논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미디어 환경에서 시각적 특성을 반영한 디스플레이 관련 연구 및 이를 통해 추진되고 있는 국제 표준안 등이 영향력을 증명하고 있는 가운데, 화질 평가 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색채에 대한 중요도는 사실상 디스플레이의 전반적인 화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 환경에서 시각적 특성을 반영한 디지털 색채 재현을 목적으로 주변시 시각 영역 특성에서 색채 속성 관련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신물리학 실험을 통해 평가된 결과를 바탕으로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디지털 색채 특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색채 자극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주변시 시각 특성을 규명하고 디스플레이에서 재현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 하였다.

헤어패션감각(感覺)에 따른 헤어컬러에 관(關)한 연구(硏究) - 수도권(首都圈) 20대(代) 여성(女性)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Hair Colour Accompanied with Hair Fashion Feeling - Focussed on the Capital Area Women in Their Twenties -)

  • 안현경;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2호
    • /
    • pp.99-116
    • /
    • 2006
  • This study was aimed at giving help to the people intending to change their hair fashion feeling for changing their own hair colour design and also providing the guide line to the cosmetic circles for developing new hair colour design and promoting sales by statistically analyzing hair colours and the other factors(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ir styling, total fashion feeling, hair style) of capital area women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on tatal fasion feeling & hair fashion feeling, and hair trend. The researching methods were composed of prior theoretical research, statistical analysis. The prior theoretical research was accomplished by analysis of literatures, magazines and internet sites about total & hair fashion feelings and hair trend.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33 questions in 5 categories. The survey of the questionnaire had been conducted from June 15 to June 28 in 2005 on the 600 women in the capital area, investigated by a group of experts on cosmetics or clothing from academic or business society. The analysis of materials from the survey was done by SPSS program(ver. 12.0) using frequency analysis, $x^2$-test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specified on high significant valu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x^2$-test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catego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ir fashion feeling groups, especially hair colours in the order of percentage. This study would be very helpful to the people trying to change their own hair fashion feeling and be useful to the cosmetic circles for developing new hair colour design and promoting sales by comprehending hair colour market and also be valuable to develop the analysis methodology of hair colour and hair fashion trend.

Investigating the Colour Difference of Old and New Blue Japanese Glass Pigments for Artistic Use

  • Chua, Lynn;Quan, Seah Zi;Yan, Gao;Yoo, Woo Sik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3
    • /
    • 2022
  • Colour consistency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selecting pigments used on works of art. In this study, we analyse the colour difference between two sets of synthetic blue glass pigments acquired at least 8 years apart from the same manufacturer in Japan. The old pigment set (unused, dry powder with four different grain sizes) appears faded compared to the new set. These pigments are made available for artistic use, commonly in Nihonga or Japanese paintings. Raman spectroscopy and SEM-EDS results characterize these pigments as cobalt aluminate spinels dissolved in leaded glaze, a special class of complex coloured inorganic pigments that is not well-understood in the field of conservation. Colour difference between the old and new pigments with four different grain sizes were quantified by analysing photomicrographs with image analysis software. Blue pigments with coarse and extremely fine grains showed significant colour change compared to pigments with medium and fine grain sizes. The high occurrence of crystallites in the finer grains give a final colour that is bluer and lighter. Possible causes for the colour difference including manufacturing methods and storage environment are discussed.

실내색채의 공간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 거실의 천장 , 벽 , 바닥 색채를 중심으로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patial Effects of Colours - with relevance to colours of ceilings , walls and floors in living rooms -)

  • 조원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3-19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spatial effects of colours in interior design. The visual feeling in the 1/10 living room scale models that are different in the colour combination of ceilings, walls and floors is judged using a semantic scale of the fifteen adjectiv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ree dimensions, "evaluation", "activity" and "warmness" are extracted. Dimension 1, "evaluation", is most greatly affected by the chroma and hue of the room colour, dimension 2, "activity", by the hue and value, by the difference in hue and value of ceilings, walls and floors, dimensions 3, "warmness", by mainly the hue of the rooms. 2) Concerning the spatial effects of colour, the subjects felt higher vlaue with relevance to the hue of GY, Y, low chroma and high value. The room colours other than walls is felt more comfortable in similar colour, especially hue and value.re comfortable in similar colour, especially hue and value.

  • PDF

RGB 컬러모델에서 자외선 조명하 박락태(剝落苔)의 설태와 설질 사이의 색 강도 차이에 관한 연구 (Comparison between Colour Intensity of Tongue Body and That of Tongue Coat under the Ultraviolet Light in RGB system of Peeling Tongue Coat Image)

  • 남동현;김지혜;이우범;이상석;홍유식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9-158
    • /
    • 2011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lour intensity of tongue body and that of tongue coat under the visible light and the ultraviolet light. Methods: We selected 7 subjects with completely or partially peeled tongue coat among the recruited 94 adults for the experiment. We took each tongue picture under the visible light and the ultraviolet light (315-400 nm) and then extracted sample images from the tongue body and tongue coat regions. Mean, median and mode of colour intensity from the sample images were calculated in 256 RGB system. Results: The green and the blue colour intensities of the tongue coa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ongue bodies under the visible light. In all channels, the red, green and blue, the colour intensities of the tongue coa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ongue bodies under the ultraviolet light. The colour differences between tongue coats and tongue bodies under the ultraviolet ligh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lour differences under the visible light. Especially the colour difference under the ultraviolet light was highest in the green channel. Conclusions: We suggested that green colour image of the RGB system taken under the ultraviolet light could be used for more easy separating tongue coat region from tongue body.

Vari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in Korea-native weedy rice germplasm

  • Cho, Ei Ei;Kim, Ji-Young;Chung, Nam-J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78-278
    • /
    • 2017
  • Brown rice grains are increasingly attended by consumers due to their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antioxidant capacity.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 rice in Korea-native weedy rice germplasm. Two hundred and twenty one accessions of weedy rice used in this study were received from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of RDA, and were regenerated in the experimental field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e sampled seeds were extracted using methanol and the extracts were analyzed using the 1, 1-dipheny-2-picrylhydras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for antioxidant capacity determination. Among the all germplasm, the samples of seed coat in red colour, white colour, red -white mixing colour and brown colour were 171 (81%), 26 (12%), 12 (6%) and 2 (1%),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values of all samples were varied in the range from 22.31% to 95.53 % and mean value was 82.09%. Depend on the seed coat colour, the averag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of weedy rice seeds indicated that the following order in seed coat colour: red colour (89.11%) > the red-white mixing colour (70.67%) > brown colour (53.16%) > white colour (45.99%).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d coloured weedy ri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It is suggested that Korea-native weedy rice accessions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could be developed as a potential functional food material by further research of component analysis.

  • PDF

디스플레이상에서 주변시를 고려한 색채 인지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Colour Perception considering Peripheral Vision on Display Device)

  • 홍지영;박연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3-53
    • /
    • 2016
  • 본 연구는 배경의 밝기와 색상 자극의 크기에 따라 인지될 수 있는 색상 속성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정 아래, 배경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Peripheral vision에 해당하는 $10^{\circ}$$20^{\circ}$의 자극을 colour matching하는 실험을 진행 하였다. 실험결과, 배경의 밝기 및 실험 자극으로 사용된 Munsell 색상 속성의 조합에 따라 동일한 색상임에도 불구하고 colour를 각기 다르게 인지할 수 있다는 경향성을 볼 수 있었으며, 자극의 크기에 대한 색상 인지 관련 선행 연구 결과와 다르게 배경의 밝기의 변화에 따라 색상 자극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고 하더라도 더욱 colourful하거나 더욱 밝게 인지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영상의 크기가 변환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화질 열화를 개선할 수 있으며 2D 뿐만 아니라 3D나 홀로그램 영상처리 시, 시감적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입체 영상 재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도시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 색각장애인 대상으로 - (A Study on City Color Planning considering Visual Impairments - Considering the color blind -)

  • 안세윤;김소연;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5-148
    • /
    • 2007
  • The people shares the street with various activities. The colour-blind also shares this public space of the city. But, the colour-blind is difficult to feel and act as the normal people, because of their limited visual abi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color matching codes of the city for the colour-blind adopting the NCS color system.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with color programs. This paper discusses ways of improving city color planning towards the public environment for all people, especially the colour-blind.

  • PDF

섬유컬러 그루핑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Grouping System to Fashion)

  • 이재정;정재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7-38
    • /
    • 2004
  • 디자이너의 감성적$.$직관적 의사결정을 객관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컬러 코디네이션 지원 모델과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전 단계로 디자이너의 색채 사고 과정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상호간의 색채 커뮤니케이션을 도울 수 있는 컬러 그루핑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디자이너들의 색채 업무 효율을 높이고 디자이너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도울 수 있는 컬러 그룹의 제정과 각 그룹별 대표어휘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루핑 방법은 고바야시와 히데끼 치지와, 그리고 엘리스 웨스트게이트와 마사 질의 이론을 참고하여 4개의 컬러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분류 방향은 색조별(톤별) 색채체계에 의한 분류가 정량적 표준 색표에 의한 분류보다 디자이너의 감성을 표현하는데 유리하다는 전제하에 섬유 색채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색조별(톤별) 색채 체계를 근간으로 하였다. 각 그룹별 대표 어휘는 브라이트 , 파스텔 , 딥 , 뉴트럴로 추출$.$정의하였다. 각 그룹별 색조 개념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브라이트(Bright) - 순도 높은 기본 색상군 파스텔(Pastel) - 기본 색상 군에 화이트가 혼합된 색상군 딥(Deep) - 기본 색상 군에 블랙과 회색이 혼합된 색상군 뉴트럴(Neutral)- 기본 색상군의 성격이 드러나지 않는 중도색. 분류된 각 그룹의 추정 색상은 정시화의 색채시계와 색채 삼각형에 배치하여 색채 지각 공간에서의 분포 개념을 시각화함으로서 각 그룹별 영역 관계를 검증하였다. 4개의 대그룹으로 나누어진 색채군은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질 선호 색채 수집 상황에 따라 몇 개의 소단위로 나누어지게 되며 각 소그룹의 색채군은 각 단위별로 배색 스토리를 전개할 수 있다. 또한 그룹과 그룹간의 크로스 오버 코디네이션이 가능해 짐에 따라 디자이너들은 이제까지의 개별 색상 조합의 색채 사유 패턴에서 벗어나 그룹별 색채 사유가 가능해짐으로서 디자이너들의 색채 사유 패턴의 혁신을 도모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