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emotional Effect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초

LED에 의한 항로표지 시설의 감성식별 조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lighting of AtoN facility by LED)

  • 오진성;최조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5-147
    • /
    • 2010
  • 해안 또는 항만에 설치되는 항로표지 시설에 3색 LED를 적용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시각적인 감성식별 조명에 대한 연구로 항만 양측의 홍등 및 녹등에 의하여 입구를 확실하게 표시하고, GPS에 의한 시각동기와 타이머를 통하여 항만 유도등을 좌우동시 동기 및 일렬순차 동기시키는 콘트롤러를 구현하였다. LED에 의한 등대 구조물을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하고 또한 높이에 따른 층별 색상으로 조화시키는 감성적 조명으로 야간에 항만의 수많은 조명과 구별되어 항해사들의 표지식별에 대한 혼란을 예방하고, 야간항만의 경관을 미화시키는 기대효과가 있다. 선박의 항만진입을 돕는 유도등의 동기 및 순차점멸 그리고 항만안전 메시지를 전달하는 CW 발광에 대한 기능을 부가하였고, 동명기를 고휘도 LED로 대체하여 전력소비를 크게 감소시킨다.

  • PDF

불안관련 주의편향의 시간적 경과 분석 (Time-course of attentional bias in anxious and normal participants)

  • 최문기
    • 인지과학
    • /
    • 제35권2호
    • /
    • pp.113-127
    • /
    • 2024
  • 주의와 정서는 밀접하게 상호작용한다, 이중 불안정서은 주의 메커니즘을 수정하여 위협 관련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처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현상은 주로 정서스트룹 과제의 연구결과로 나타났는데, 이 과제에서 불안한 참가자는 중성적 단어보다 부정적 단어의 색이름을 말하는데 더 늦은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며, 이를 불안 관련 주의편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런 주의편향 현상이 정보처리의 어떤 단계에서 발생하는지는 아직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스트룹과제를 변형하여 단어와 색을 분리하고 두 자극의 제시 시간을 조작하여(SOA 0ms, 120ms, & 240ms) 정서스트룹관련 주의편향이 정보처리의 초기 단계에서 일어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불안을 가진 참가자의 경우 0ms의 SOA에서만 부정단어에 의해 간섭 효과가 나타난 반면, 불안하지 않은 참가자의 경우 간섭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불안이 주의 메커니즘을 조절하여 정서정보처리의 초기단계에서 부정 정보를 더 빠르게 처리하도록 조절한다는 주의의 초기개입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채 환경을 고려한 서울시 아파트 외관 색채 계획에 관한 연구 (Study on Exterior Color of Apartments in Seoul for the Color Environment)

  • 이영란;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43-150
    • /
    • 2016
  • Color plan that contains corporate color of Seoul apartment has a great influence on city environment, considering high-rise vertical dispersion and ext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iew color plan from an integrative viewpoint. Here, this research aimed at deriving guideline factors of esthetic color plan based on city identity,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partment color and color plan characteristic of recently built brand apartments. Exterior color plan characteristic of Seoul brand apartments seen in this research, first, most of dominance colors were in same color similar tone with warm color in bright and warm image, as the psychological function, accessory colors appeared in similar tone of similar color harmonious with the dominance color. Also, accent color was highlighted with its identity through cooperative color. Second, emotional effect diminished size and weight of high-rise apartment. The upper levels showed clear and clean image, middle to lower level showed stability and comfortable image, on the whole, refined and urbane image that aim for natural and modern image. Therefore, apartment color plan requires, first, in respect of dominance color, unity is required proper for urban image by preparing color permission limitation standard. Second, dominance color and accessory color require historicity and differentiation in sociality that urban identity gets. Third, high-rise upper level cooperative color accent color requires compatibility with urban landscape. Lastly, guideline along with rate is required for color, tone, and pattern, etc. by extent contrast. Here, apartment color plan requires consistent research as urban environment color, also, base study should be accelerated as a part of competitive city branding.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마음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olor Mind Expression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Mind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 백현기;윤지원;하태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7-124
    • /
    • 2020
  •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교육 이외에도 인간의 정서, 행동, 신체 간의 관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색채표현을 관찰하여 대학생의 내면과 성향을 이해하고, 색채표현활동이 심리표출과 자아표현, 감정 해소의 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마음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찾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내면 감정과 정서 표현에 영향을 미쳤으며, 색채심리와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취업준비 등의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부정적 정서에 긍정적 및 심리적 회복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주거공간의 색채 계획에 대한 공간별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or planning appropriate for residential space)

  • 하미경;신선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9-83
    • /
    • 2007
  • The demand for residential space is encompassing diverse ranges to keep pace with the times. Due to the Increase in wealth, people today want more functional and physical well being as well as giving more weight to the emotional aspect in spatial planning. This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on the psychological effect of color--especially difference of warm/cold temperature--and the individual variation on favorable colors. 1. For a communal space (e.g. living rooms), subjects showed high preference of YR range of colors and warm colors. 2. For an individual space (e.g. bedrooms), subjects showed high preference of GY range of colors and neutral colors. 3. For a sanitary space (e.g. bathrooms), subjects showed high preference of PB and B ranges of colors, and cold colors. 4. For all of the above spaces, subjects showed high preference of warm colors.

  • PDF

육류에 대한 혐오감이 돼지고기 소비에 미치는 인과 효과 평가 (Measuring the Causal Effect of Disgust with Meat on Pork Consumption)

  • 강종헌;배성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53-66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uch variables as moral concerns for animals, meat texture, meat color, satiety from meat, disgust with meat and pork consumption.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used to measure the causal effects of the constructs. The study outcomes demonstrated that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of the data were an excellent model fit. The effects of moral concerns for animals, meat texture and satiety from meat on the disgust with me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disgust with me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rk consumption. Moreover, moral concerns for animals and satiety from mea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pork consumption through disgust with meat. Also, satiety from meat alone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pork consumption through disgust with meat. By developing and testing conceptual models that integrated the relationships among ideational variables, sensory affective variables, anticipated consequences variables, emotional variables, and behavioral variables, this study may approach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relationships among pork consumption-related variables.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se complex relationships can improve the managerial diagnosis of problems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including pork production and pork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communications.

  • PDF

고양 종합운동장의 환경색채 디자인 개발 연구

  • 최은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335-344
    • /
    • 2003
  • 우리가 거주하는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는데는 여러 가지 방안이 있다. 그 중 환경색채는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조형요소 중 하나로서 그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안정되고 적절한 도시환경의 색채는 사람들에게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도시의 이미지 홍보에도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도시민들에게 감성적, 미학적, 정서적 만족을 주기 위해서는 환경색채 계획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디자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환경색채디자인을 함에 있어 기존환경 및 사례조사, 이미지 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등의 현황 조사를 면밀히 분석하여 지역환경개선을 위한 환경색채계획에 적용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색채디자인의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환경색채 디자인을 함으로써 지역의 아이덴티티 형성, 색채의 통합적 적용으로 고유 이미지 제고 및 통일성 강화, 미적 특성을 살린 시각환경 조성, 그리고 지속적인 색채관리의 효율성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 PDF

빛과 색이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거공간 3D이미지의 실험적 적용을 중심으로 - (Effects Psychological Response Light & Color - Focusing on Experimental Application of 3D Image-)

  • 윤갑근;강경원;정사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99-207
    • /
    • 2005
  • We recognize analysing and quantifying an effect of light and colors on people' psychological response changing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a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mprove efficiency in realizing emotional design that contributes to creation of helpful and pleasant interior using architecture that is able to refresh human emotion or light and color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interior design.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ses an effect of colors in interior space and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light and color through modeling to identify types of psychological response. And it is to present a generalized conclusion through an analysis of meaning of the two effect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and possibility of actual design. This study measures response on questionnaire through representative vocabulary by abstracting based on evaluation image selected through the 1st and 2nd preparatory research and grouping similar words. In next step, images represented both by light and colors are presented as virtual space and for data input and analysis based on psychological response corresponding to each image, this study uses SPSS 1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analyse data collected. The space to be experimented is a livingroom, a center of residential area.

외식업 식공간 색채 및 디자인 연출이 고객의 심리적 반응과 만족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ning Space Color and Design on Customers' Psychological Reactions,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in Restaurants)

  • 허영욱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3-118
    • /
    • 2015
  • 본 연구는 외식업 식공간 색채 및 디자인 연출이 고객의 심리적 반응과 만족 및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 데 목적을 갖고 외식 고객 400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식업 식공간 색채 및 디자인 연출이 고객의 심리적 반응과 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검정결과, 유의적이며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갈수록 높아져만 가는 고객의 욕구와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자사의 외식업 속성으로서의 음식의 맛 이외에 실내 환경과 조화된 기술, 장치장식, 음향, 디자인적 요소를 연출로 이미지화함으로써 고객의 심리적 반응을 인지함과 동시적 요소가 고유의 상징성을 부여한 감정적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함으로서 긍정적으로 평가된 서비스에 대한 결과로서 종국적으로 심리적 만족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재방문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생체신호 기반 사용자의 긍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Attributes of Interior Design Affecting User's Positive Emotions Measured via Bio-Signals)

  • 김시은;하미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5호
    • /
    • pp.83-91
    • /
    • 2020
  •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known to impact human health and behavior, emotions such as pleasure, anxiety, and depression, and reduce stress. Interior design that elevates emotional comfort and satisfaction can help improv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that analyzed previous empirical studies that explored the effect of interior design elements on the user's emotional response which is quantitatively evaluated by bio-signal and qualitatively evalua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s. This paper aims to derive the attributes of interior design and biometric indicators that affect the user's positive emotion through the synthesis of previous studies and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measuring bio-signals as an objective evaluation tool for architectural design and 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biometric data from EEG, fMRI, ECG, EMG, GSR, and eye-tracking were us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emotional responses, which were manifested as positive or negative depending on certain attributes of interior design such as the form, color, lighting, material and furniture. The attributes of interior design related to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were the curved shape, high ceiling, openness of space, and subdued tone colors. Standard lighting conditions and wooden spaces were related to stress reduction in terms of comfort and relaxation. The free arrangement of furniture was related to the user's posi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consistent experimental protocols could not be found, and although the sample sizes of the studies were small, the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the emotional response measurement by using the biometric data.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a useful objective tool in the measurement of human-centric data in architectural design, and to develop the evidence-based design to induce positive emotions and minimize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