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chromaticity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78초

석탄폐석을 이용한 소다라임계 컬러유리의 광학적 특성 (Optical Properties of Soda-lime Color Glass Fabricated by Using Refused Coal Ore)

  • 임태영;정상수;황종희;김진호;김정국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524-534
    • /
    • 2010
  • Glass was fabricated using refused coal ore obtained from the Dogye coal mine in Samcheok. We additionally used soda ash and calcium carbonate to make a glass wit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da-lime glass, and we also used white, brown, and green glass cullet to make various kinds of colored glass. Transparent glass was fabricated by melting batch materials including refused coal ore at $1550^{\circ}C$ for 1 hr in an electrical furnace. The light transmittance and color chromaticity were measured by a UV/VIS/NIR spectrometer. Transparent glass with a light transmittance of over 80% was fabricated using normal refused coal ore and white glass cullet. Various kinds of colored glass with a light transmittance of 30-80% were fabricated using refused coal ore and brown or green glass culle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mixed color glass samples, fabricated using normal refused coal ore and brown glass cullet and green glass cullet, indicated 30-47%, a relatively low value, in the condition of a cullet ratio of 20-50%.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chromaticity of the glass samples were indicated in a chromaticity diagram by x-coordinates, y-coordinates, Y (lightness). The values of x-coordinates and y-coordinates were moved with a regular directional property according to the kind and amount of glass cullet. Therefore, we concluded that refused coal ore can be used for raw materials of color glass products like art glass and glass tile.

균등거리 기준 조명 맵과 색 상관성을 이용한 조명 색도 추정 (Estimation of Illuminant Chromaticity by Equivalent Distance Reference Illumination Map and Color Correlation)

  • 김정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6호
    • /
    • pp.267-27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입력 영상에 대한 촬영 장면의 조명 색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조명 기준영역을 이용하여 입력영상의 촬영 장면에 가장 근접한 조명 색도를 추정한다. 기존의 방법은 일정한 수의 기준조명 정보를 이용한다. 입력 영상으로부터 화소의 색도분포 정보와 기준 조명에 대한 미리 준비된 색도 집합을 대조하여 겹치는 면적이 가장 큰 기준 조명을 해당 입력 영상에 대한 장면 조명으로 간주한다. 겹치는 면적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각 기준 조명에 대한 가중치를 가우시안 분포 형태로 적용하였으나, 분산 값에 대하여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주어진 기준조명으로부터 독립적인 기준색도 영역을 추출하고, 입력영상의 모든 화소에 대하여 RGB 칼라좌표계의 r-g 색도 평면에서의 특징치를 계산한 다음, 독립적인 색도영역과 입력영상으로부터의 특징치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평가한다. 유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조명을 해당 영상의 조명 색도 성분으로 추정하였다. 데이터베이스의 영상과 기준조명 색도를 이용한 성능평가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기본 방법에 비하여 평균 60% 정도의 개선을 보였고, 기존의 가우시안 분산 값이 0.1인 경우에 비하여 53% 내외의 개선 성능을 보였다.

CRT 디스플레이의 바탕 화면 영향을 고려한 색 재현 알고리즘 (Color reproduction algorithm considering background effect on a CRT display)

  • 박승옥;김홍석;조대근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8-4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바탕화면의 색도와 휘도의 영향을 고려한 색재현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Panasonic사의 BT-H1450 모니터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보았다. 바탕 화면의 영향을 무시한 경우 Macbeth ColorChecker 24색에 대해 재현된 색과 원래 색의 평균 ${\Delta}E_{ab}^{*}$가 9.0 이상이었는데 비해, 바탕 화면의 휘도와 색도의 영향을 고려한 보정 알고리즘을 사용한 결과 평균 ${\Delta}E_{ab}^{*}$가 1.0이하로 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CRT 디스플레이 색재현에 있어서 바탕 화면의 색도와 휘도가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식품(食品)의 색도변화(色度變化) 측정법(測定法) (Physical Measurement of Color Changes in Foods)

  • 조성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
    • /
    • 1984
  • 식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색깔은 소비자의 기호성 또는 영양학적 가치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가공 및 저장처리조건에 따른 식품의 중요한 인자로 작용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식물성 식품재료의 품종, 성숙도, 성장조건(온도, 수분. 제조공정 별)에 따른 Surface color change를 color & color difference meter와 Munsell disc 색도계(色度計)로 X, Y, Z값을 측정하고 공식에 의하여 Y(one of variation in luminous reflectance), x, y(chromaticity)를 구하여 이로부터 작성한 색도좌표상에서 식품의 색상(hue) 및 강도(chroma)를 산출하여 식품의 색도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와 같이 color & color difference meter와 같은 reflectometer를 이용하여 얻은 data를 중심으로 각각의 chromaticity diagram을 작성, 식품의 저장 및 가공처리별 색도변화를 측정하여 이것을 토대로 식품 품질의 특성을 판정할 수 있는 좋은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Research about evaluating the spectrum of WOLED

  • Lu, Lili;Chen, Wenbin;Shao, Wanl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961-965
    • /
    • 2006
  • White organic LED spectrum for lighting and displaying should be designed for high luminous efficiency as well as good chromaticity coordinate, pleasant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and color rendering. A program based on Matlab was made to make these calculations convenient. The chromaticity coordinate and luminous efficiency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IE 1931 colorimetric system, while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CCT) was calculated based on CIE 1960 UCS diagram. The color rendering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IE Color Rendering Index (CRI), using Ra, Ri and ${\bigtriangleup}E$ from the 14 color samples defined in CIE13.3.

  • PDF

Effect of Wavelength-dependent Scattering on the Color Chromaticity of the LCD Backlight

  • Kwon, Jin Hyuk;Jun, Hwa Joon;Gwag, Jin Seog;Lee, Hong Su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7권3호
    • /
    • pp.275-278
    • /
    • 2013
  • The effect of the wavelength-dependent scattering on the change of the color chromaticity in the lightguide pane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is examined. Th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white LEDs located at the edge of the lightguide propagates in the lightguide and is scattered by the patterned dots that are placed on the bottom of the lightguide. The scattered lights that are far from the LEDs showed reddish color compared to the bluish color that is scattered from the near area from the LEDs. The color difference was between 0.01 to 0.06 depending on the resin and the thickness of the lightguide.

투과체에 적용된 채광방식이 사무소공간의 색도 및 색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Glazing Systems on Chromaticity and Color Temperature in the Office Room)

  • 정인영;김정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8-26
    • /
    • 2007
  • 투과체는 기본적으로 외부환경과 접촉할 수 있는 친화적이고 생태학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유입되는 빛은 실내공간에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투과체가 적용된 사무소건물을 대상으로 채광유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채광방식을 설계하여 적용 시 실내의 색도와 색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10축소모형을 제작하였으며, Prometric 1421이라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측정결과 투과체가 갖는 파장대별 투과특성이 실내의 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빛의 유입을 증대시키는 채광방식을 설치할 경우 천정면의 색온도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5{\sim}20[%]$정도의 색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채광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활동적인 분의기의 공간이 연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gb 색도를 이용한 칼라 영상의 조명 정보 평가 방법 (Illuminant Estimation Method of a Color Image using rgb Chromaticity)

  • 윤창락;조맹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419-421
    • /
    • 2000
  • 정확한 색 재현(Color Reproduction)을 위해서 영상 입력 장치(Image Input Device)의 조명색(Illuminant Color)에 따른 영상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영상 입력 장치는 피사체(Object)를 비추는 조명의 색 특성에 따라 영상을 생성한다. 이는 인간 시각 시스템(Human Visual System)이 가지는 색 불변성(Color Constancy)과는 다른 특성이며, 정확한 색 재현을 위해 필요한 색 실현 모델(Color Appearance Model)이 영상을 변환하는데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영상 입력 장치가 생성하는 영상으로부터 조명 정보를 분석하여 인간 시각 시스템의 색 불변성을 재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조명 정보를 평가하기 위해 채도(Chroma)가 높은 기준 색 샘플들의 rgb 색도를 이용하여 색도 평면에 색도 다각형(Chromaticity Polygon)을 구성하고 영상의 모든 픽셀들의 rgb 색도 분포와 기준 색 샘플들의 색도 다각형간의 포함 관계에 따라 조명 정보를 평가한다.

  • PDF

카본 아미노 실리카 블랙 기반 고성능 감수제가 블랙 컬러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및 발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bon Amino Silica Black Contained Superplasticizer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and Chromaticity of Black Color Concrete)

  • 한민철;홍석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81-1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CASB-SP가 블랙 콘크리트의 기초적 물성 및 발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험변수로서 CASB-SP와 기존 Carbon black의 두 착색제 종류에 따라 치환율을 변화시키고 이후 백화방지를 위해 4수준의 발색제를 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CASB-SP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슬럼프 및 공기량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응결시간은 0.75% 이상 사용시 기존 Plain에 비해서 현저히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블리딩은 CASB-SP 혼입율이 증가 할수록 감소되었다. 압축강도는 CASB-SP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였고, 발색도는 CASB-SP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검정색 발현이 선명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발색제의 사용에 따라 백화가 방지되어 안정적인 색상유지가 가능해졌다. 이상을 종합하면, 블랙 콘크리트에 CASB-SP를 사용할 경우 Carbon Black에 비해 콘크리트의 품질향상 차원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고, CASB-SP 혼입율은 콘크리트의 품질을 고려하여 0.5% 혼입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분석된다.

염색공단폐수의 색도처리를 위한 염료분해 균주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terization of Dye-Degrading Microorganisms for Treatment of Chromaticity Contained in Industrial Dyeing Wastewater)

  • 김정태;박근태;이건;강경환;김중균;이상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9-142
    • /
    • 2014
  • To treat chromaticity contained in effluents of dyeing wastewater efficiently, potent dye-degrading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influent water, aeration- tank sludge, recycle water and settling-tank sludge located in leather and dyeing treatment plant. Six potent strains were finally isolated and identified as Comamonas testosteroni, Methylobacteriaceae bacterium, Stenotrophomonas sp., Kluyveromyces fragilis, Ascomycetes sp. and Basidiomycetes sp. When Basidiomycetes sp. was inoculated into ME medium containing basal mixed-dyes, 93% of color was removed after 8 days incubation. In the same experiment, the 1:1 mixed culture of Basidiomycetes sp. and photosynthetic bacterium exhibited 88% of color removal; however, it showed better color removal for single-color dyes. The aeration-tank and settling-tank samples revealed higher color removal (95-96%) for black dyes. The settling-tank sample also revealed higher color removal on basal mixed-dyes, which resulted in 90% color removal after 6-h incub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o achieve a higher color removal using the mixed microorganisms that were isolated from aeration-tank and settling-tank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