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s

검색결과 1,780건 처리시간 0.029초

제 6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그 운영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6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 최승언;한인옥;오필석;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2-634
    • /
    • 1999
  • 전국의 112개 중학교의 213명의 과학 교사들과 43명의 사범대학 교수들의 평정과 자기 보고를 토대로 제 6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그 운영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문항들은 과학 교육과정의 네 단계와 조사 항목별로 분류되었다. 제 6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의 계획 단계에서 제 6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체계 내용'은 탐구 활동의 강화라는 개정 방침에 비추어 적절하였다. 그러나, 학습 분량은 적정화되지 못하였고, 방법은 제대로 실현되기 어려웠다. 문서화 단계에서 '목표', '내용 체계','내용', '방법', '평가'는 중학교 과학을 지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시행 단계에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은 지역 사회 문제를 소재로 활용하지 못하였으며, 학습 집단 조직의 다양화, 평가 도구의 공동 개발,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 및 프로그램의 운영을 실천하지 못하였다. 이에는 학습 분량의 과다, 자료의 미비, 지원의 부족 등이 원인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제 6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의 실현 단계에서,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라 학습한 학생들은 그 이전의 학생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성취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1996년 한국과학재단 국제공동연구비 (966-1300-001-2) 지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 결과 일부이다.

  • PDF

3년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An Investigational Stud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 김은하;오윤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6-19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nd the degre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e sample consisted of 488 nursing students who had been i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from 6 junior nursing colleges in Korea.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20 May to 20 June, 2000. Data were analysed by SPSS/PC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highest motive of selecting a nursing science came to be 'having a good prospect for getting a job' (29.3%), major place of the clinical nursing practice was university hospital(46.5%),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 nursing science was 'relatively satisfied' (43%). 2.The fields that the highest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were DR(3.25), NR(3.18), ICU(3.11), and OR(3.10). The highest rank of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as 'feels more continuous nursing studying is required after getting a job or pass the RN exam'(4.24). 3. There was significant value between the Grade(2yr, 3yr)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p<0.001), the clinical practi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0.001), the clinical practice evaluation (p<0.05), and there was significant value between the satisfaction about the nursing scie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p<0.001), the clinical practice interpersonal relation ship (p<0.05), the satisfation after the clinical practice(p<0.001). 4. There was significant value between 'the opinion of the clinical practice period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place(p<0.05),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p<0.001), the clinical practice interpersonal relationship(p<0.001), the satisfation after the clinical practice(p<0.001). 5.The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fluenced on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R^{2}=.188$).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 like to improve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 PDF

공업고등학교 졸업생의 대학 동일계 학과 진학시 동일 과목 학점 인정에 관한 전문가 인식 조사 (A survey of Specialists Cognition on Authorization of Credits for the Same Subjects in Entering a Same Department of the College Among Technical High School Graduates)

  • 이상혁;김호동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43
    • /
    • 2008
  • 이 연구는 공업고등학교 졸업생이 대학의 동일계 학과에 진학했을 때 동일 과목 학점 인정에 관한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대학 교육이 일반화되면서 공업고등학교 졸업생의 80% 정도가 대학에 진학하고 있다. 그러므로 공업고등학교와 전문대학, 4년제 공과대학이 연계 교육 차원에서 동일 과목 학점 인정은 교육적 낭비를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공업교육 분야 전문가인 공업고등학교 교사, 연구원, 전문대학 및 4년제 공과대학 교수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84명이 응답하였으며 응답률은 81,25%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고등학교 교사와 연구원은 공업고등학교 졸업생이 대학의 동일 학과에 진학했을 때 공업고등학교에서 이수한 모든 실습 과목 학점은 인정해 주는 것이 타당하다고 한 반면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교수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둘째, 공업고등학교 졸업생이 전문대학 또는 4년제 공과대학 동일 학과에 입학했을 때 동일 과목은 대학 자체 소정의 시험을 거쳐 학점을 인정해 주는 것을 연구원과 4년제 대학 교수는 대부분 동의하였으나 전문대학 교수는 62.5%가 반대하였다. 셋째, 공업고등학교 졸업생이 전문대학 동일 학과를 졸업하고 4년제 공과대학 동일학과 3학년에 편입했을 때에 동일 과목은 4년제 대학 자체 인증 시험 성적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학점 인정을 해 주는 것을 응답자 대부분이 동의하였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학점 인정을 해 주는 것이 타당하다.

Support for a Campus Tobacco-Free Policy among Non-Smokers: Findings from a Developing Country

  • Yasin, Siti Munira;Isa, Mohamad Rodi;Fadzil, Mohd Ariff;Zamhuri, Mohammad Idris;Selamat, Mohamad Ikhsan;Ruzlin, Aimi Nadira Mat;Ibrahim, Nik Shamsidah Nik;Ismail, Zaliha;Majeed, Abu Bakar Abdu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275-280
    • /
    • 2016
  • Background: A tobacco-free workplace policy is identified as an effective means to reduce tobacco use and protect people from second-hand smoke; however, the number of tobacco-free policies (TFP) remains very low in workplaces in Malaysia.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support for a tobacco-free policy on two healthcare campuses in Malaysia,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FP.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286 non-smokers from two healthcare training centres and two nearby colleges in Malaysia from January 2015 to April 2015.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via staff and student emails. The questionnaire collected information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pport for a tobacco-free policy and perceived respiratory and sensory symptoms due to tobacco exposure. B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independent effects of supporting a tobacco-free campus. Results: The percentage of individuals supporting completely tobacco-free facilities was 83.2% (N=238), as opposed to 16.7% (N=48) in support of partially tobacco-free facilities. Compared to the supporters of partially tobacco-free facilities, non-smokers who supported completely tobacco-free health facilities were more likely to be female, have higher education levels, to be very concerned about the effects of other people smoking on their health and to perceive a tobacco-free policy as very important. In addition, they perceived that tobacco smoke bothered them at work by causing headaches and coughs and, in the past 4 weeks, had experienced difficulty breathing. In the multivariate model,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ther factors, only experiencing coughs and headaches increased the odds of supporting a completely tobacco-free campus, up to 2.5- and 1.9-fold, respectively. Conclusions: Coughs and headaches due to other people smoking at work enhances support for a completely tobacco-free campus among non-smokers.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Effect of Self-Leadership by College Student on Recognition of Opportunity on Establishment of Company and Will of Establishing Company: Centered on Mediated Effect of Entrepreneurship)

  • 강재학;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4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창업 C.E.O.에게 반드시 필요한 리더십 역량 가운데에서도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셀프리더십이 기업가정신의 매개 효과를 통해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정부주도의 창업장려분위기에 따라 대학 교과과정에서도 창업에 대한 다양한 교육 및 행사와 함께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이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고, 학계에서도 기업가정신과 창업기회인식 혹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셀프리더십과 창업기회인식 및 창업의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시피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소재 4개 대학교의 학생들로부터 받은 설문지 320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셀프리더십이 기업가정신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이 창업기회인식 및 창업의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이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셀프리더십과 창업기회인식 그리고 셀프리더십과 창업의지 간에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향후 창업기회인식 및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대학 창업 교육 커리큘럼 설계에 있어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과 아울러, 셀프리더십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시도가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 PDF

Level of Awareness of Cervical and Breast Cancer Risk Factors and Safe Practices among College Teachers of Different States in India: Do Awareness Programmes Have an Impact on Adoption of Safe Practices?

  • Shankar, Abhishek;Rath, G.K.;Roy, Shubham;Malik, Abhidha;Bhandari, Ruchir;Kishor, Kunal;Barnwal, Keshav;Upadyaya, Sneha;Srivastava, Vivek;Singh, Raj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927-932
    • /
    • 2015
  • Background: Breast and cervical cancers are the most common causes of cancer mortality among women in India, but actually they are largely preventable diseases. Although early detection is the only way to reduce morbidity and mortality, there are limited data on breast and cervical cancer knowledge, safe practices and attitudes of teachers in In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level of awareness and impact of awareness programs in adoption of safe practices in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assessment was part of a pink chain campaign on cancer awareness. During cancer awareness events in 2011 at various women colleges in different parts in India, a pre-test related to cervical cancer and breast cancer was followed by an awareness program. Post-tests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at the end of the interactive session, at 6 months and 1 year. Results: A total of 156 out of 182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overall response rate was 85.7 %). Mean age of the study population was 42.4 years (range- 28-59 yr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level of knowledge regarding cervical and breast cancer at 6 months and this was sustained at 1 year. Adoption of breast self examination (BSE)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comparison to CBE, mammography and the Pap test. Magazines and newspapers were sources for knowledge regarding screening tests for breast cancer in more than 60% of teachers where as more than 75% were educated by doctors regarding the Pap test. Post awareness at 6 months and 1 year,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alcohol and smoking habits. Major reasons for not doing screening test were found to be ignorance (50%), lethargic attitude (44.8%) and lack of time (34.6%). Conclusions: Level of knowledge of breast cancer risk factors, symptoms and screening methods was high as compared to cervical cancer.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level of knowledge regarding cervical and breast cancer at 6 months and this was sustained at 1 year. Adoption of BS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comparison to CBE, mammography and the Pap test. To inculcate safe practices in lifestyle of people, awareness programmes such as pink chain campaign should be conducted more widely and frequently.

Smokers and Marriage: Attitude of Youth in the United Arab Emirates

  • Bello, Salihu Umar;Jibril, Mohammad Awwa;Hassam, Hessa Ali;Haisan, Faris;Zaabi, Jasem Al;Daura, Hafsatu Sani Zangon;Shaikh, Rizwana B.;Sharbatti, Shatha Al;Mathew, Elsheba;Sreedharan, Jayadevan;Muttappallymyalil, Jayakumar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3호
    • /
    • pp.953-956
    • /
    • 2012
  • Introduction: In order to control the tobacco scourge, an array of measures is required. Among them is focusing on adolescent relationships as it has been shown that being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a smoker or a non smoker will in the long run be a major factor in deciding whether the individual adopts smoking for initial non-smokers or ceases the habit for initial smokers. Objectives: To assess the attitude of youth towards other smokers and towards marrying a smoker.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among 415 students from five universitie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Chi square test was used to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requencies. Results: Of the 415 participants who provided their gender information, 99 (24%) were males and 314 (76%) were females. Of all the participants, 83.5% were not willing to marry smokers, while 16.5% were willing. Of those whose parents smoked (106) 68% did not like it when their parents smoked, 13.6% had no opinion, 17.5% did not mind, while the other 1% had other thoughts. Of those whose close friends smoked, 43.4% did not like it, 16.2% did not have any opinion, 36.9% did not mind while 3.5% had other thoughts. Conclusion: Most participants, both males and females are not willing to marry smokers and prefer to have non-smokers as spouses. Also, smokers are seen as less attractive by both genders in contrast to what appears as popular beliefs amongst youngsters and what is depicted in tobacco advertisements. Tobacco control activities can be undertaken in the community and colleges by incorporating students as facilitators.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지각하는 방사선사 인식도 (Perception Level of Nurses and Auxiliary Nurses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

  • 신성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11-220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321명을 대상으로 방사선사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방사선사의 위상과 전문적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연구를 실시한 결과 인식도는 $3.02{\pm}0.42$점이며 영역별로는 직업적 이미지가 높았고 업무적 이미지가 낮았다. 문항별로는 '전문직이다'가 높았고 '환자의 문제를 잘 파악하고 있다'가 가장 낮았다. 교육과정, 시험주관기관을 정확히 알고 있고 의료법상 의료인, 의료기사라고 응답한 대상자들의 인식도가 높았고 호칭을 기사로 사용하는 대상자의 인식도가 낮았다. 방사선사 직업 선택을 찬성하고 의료기관내 위치가 높다는 대상자의 인식도가 높았다.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친절한 태도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하고 호칭을 정립하기 위한 개인과 협회차원의 홍보와 대책이 필요하며 과거 전문대학의 이미지에서 탈피하기 위한 노력과 학술대회와 보수교육 활성화, 전문방사선사제도의 법령 제정으로 방사선사의 자질과 위상을 높이고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와 모니터링으로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이미지 향상을 위한 개인과 협회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카지노 시큐리티 종사자의 직업사회화 과정 - 경호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the Security Guards in the Casinos - Case of Security Science Majors -)

  • 전용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37-346
    • /
    • 2010
  • 본 연구는 카지노에서 근무하고 있는 시큐리티 종사자의 사회화 과정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각 단계별 사회화 과정 질문이 이루어 졌다. 또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대상자로는 서울소재 3곳의 외국인전용 카지노 중 2곳을 선정하 였으며, 본 연구의도에 합당하다고 판단되는 시큐리티 종사자 중 본 연구목적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학부과정 중 경호학을 전공한 재직기간, 1년 이상- 5년 이하의 종사자 7인을 선정하였으며, 업무형태로는 영업장 현장에서 안전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종사자들로 구성되어있다.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방법과 지속적인 자료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을 주된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응기 사회화에서는 스포츠참여와 미디어를 통해 사회화가 이루어졌으며 둘째, 직업준비 사회화에서는 다양한 학교 교과과정과 전공학과 선배들이 사회화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셋째, 직장에서의 조직 사회화는 직장동료들과의 어려움, 전문적인 안전교육 부족, 시큐리티 근무자로서의 자부심, 인사제도의 형평성 등이 직장에서의 사회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영유아권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gards to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 이영애;곽정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88-1003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영유아권리의 중요성 및 권리교육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 경기, 충청, 전라, 제주도의 3년제 전문대학 6곳의 유아교육과 1, 2, 3학년 5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영유아 권리의 중요성을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학년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권리를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권리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이 영유아권리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영유아의 권리교육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1, 2학년보다 3학년이 영유아의 권리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권리관련 과목 수강여부에 따라서는 영유아 권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영유아 권리의 중요성 보다 권리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