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Nursing Students

검색결과 3,840건 처리시간 0.036초

학교폭력 피해 경험 중학생의 정신건강과 신체적 증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Mental Health and Physical Symptoms on Suicide Thinking)

  • 한상영;전용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155-516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 정신건강, 신체증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도 T시에 위치한 4개의 중학교에서 총 1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7.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 정신건강, 신체증상, 자살생각에 따른 공통적인 유형별로는 성별, 학년, 부모유형,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정신건강,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자살생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정신건강과 자살생각은 통계적으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신체증상은 자살생각과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 중학생들의 정신건강, 신체증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중학생들이 자살생각에 대한 예방접근방법과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학교현장은 물론 지역사회의 사회적, 정서적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신이 인지한 배우자의 갈등대처행동이 자존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cognition of spouse's conflict-coping behavior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 강리리;이진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61-1068
    • /
    • 2012
  • 본 연구는 결혼 5년 이내 부부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인지한 배우자의 갈등대처행동이 자존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결혼초기 부부들의 부부관계증진 교육과 프로그램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에 있는 S대학 학생들의 가족과 이웃 중 결혼 5년 이내 부부 17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철회형의 갈등대처행동에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신체형 및 철회형의 갈등대처행동과 우울에 차이가 있었다. 직업에 따라서는 언어형의 갈등대처행동과 우울에 차이가 있었다. 부부의 대화시간에 따라 자존감과 우울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신이 인지한 배우자의 갈등대처행동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존감은 간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의사 결정요인 (Determining Factors of Intention to Actual Use of Charged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Aged)

  • 유진영;전진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1호
    • /
    • pp.16-24
    • /
    • 2005
  • Objectives : To help develop strategies to cope with the changes arising from the rapid aging process by predicting the determining factors of intention to actual use of the charged long-term care services for elderly as perceived by the middle aged who play the major role of supports. Methods : Subjects were the parents (men 177, women 507) in their 40s of the students selected from a university of Busan c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4 weeks in October 2003 about the knowledge for long-term care service, the intention of actual use, and the preferences about the type of service supplier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frequency, chi-square test, and t-test using SPSS program (ver 10.0K), along with data mining using decision tree of Enterprise Miner V8.2 by SAS. Results : About half of the subjects (53.7%) had the actual experiences of elderly supports. Intentions to use the charged services were relatively high in home visiting nursing care service (40.1%) and long-term care facilities service (40.4%), and were influenced by previous knowledge about the services. The intentions were stronger in women, those with higher education, and those with greater income levels. Actual elderly supports were mostly (80%) done by women, and the perceived burdens for the supports were bigger in women and those of lower socioeconomic level. Desired charges were about 10,000 won for the bath service, 20,000 won for the rests services per day, and about 500,000 won for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service per month. From the result of decision tree analysis, the job professionalism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ing factor of intention to actual use of the services with validation as $63{\sim}71%$. Health and welfare mixed type facilities were preferred, and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as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Conclusions : Intention to actual use of the charged services was largely determined by the aspects of time and cost. Polices to increase the number of service suppliers and to decrease the burdens perceived by actual supporters were strongly recommended.

한국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식생활, 신체활동, 정신·심리 상태의 분석: 2010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바탕으로 (Analysis of Internet Addiction, Eating, Physical Activity Behavior and Mental-psychological State among Korean Adolescents: Based on 2010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 지영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979-4988
    • /
    • 2013
  • 본 연구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식습관, 신체활동, 정신심리상태의 차이와 상관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73238명의 12-18세 한국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기입식 자료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식습관, 신체활동, 인지하는 행복감과 정신건강을 묻는 설문내용이 사용되었으며, 자료는 SPSS 14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x^2$-test, ANOVA와 상관관계 분석하였다. 결과 94.5%의 정상군, 2.5%의 잠재적 위험군, 3.0%의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어 졌으며, 격렬한 운동, 근육강화 운동은 세 그 룹간 차이가 없었다. 식습관, 신체활동, 정신심리 건강과 인터넷 중독은 상관이 있었으며, 식습관, 정신심리건강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청소년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에는 식습관, 신체활동, 정신심리건강이 포함되어야함을 제안한다.

의료경영 전공자의 의료산업내 역할과 역량 (The Expected Role and Competency of Graduates Majored in Health Services Management)

  • 장혜정;권영대;한보라;김한해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8-148
    • /
    • 2004
  •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in health services management(HSM) are recently established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programs train their students for diverse sectors within the field of healthcare management, including hospitals, nursing facilities, consulting firms, health industries such as pharmaceutical, insurance companies, etc. This study investigates many of the managerial roles expected to graduates from academic curricula in HSM, and required competencies to be successful in their positions. The information of roles and competencies for HSM graduates were collected, and their importances were evaluated by healthcare management experts through a Delphi method. As the result, 11 items for present roles and 13 items for future roles were derived, and 15 and 16 items were derived for present and future competencies respectively. Utilizing the classification of work roles by Timmreck and that of managerial competencies by Robbins, the importance of roles and competencies of healthcare managers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major domains of roles at present turned out to be 'organizer', 'planner', 'problem solver', and 'coordinator' in order according to importance. On the other hand, as graduates develop their careers, the domains of future roles would be changed to 'director' and 'planner'. For competencies, the most important domain at present was 'technical skill', but the future important domain was 'interpersonal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een as an initial step toward improving the academic curricula of HSM in college and universities and promoting collaborative efforts between academic programs and on-site practices in healthcare industries.

  • PDF

중학생의 BMI 정도에 따른 학교적응 영향요인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adjustment by BMI)

  • 서지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2호
    • /
    • pp.429-440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 초기인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의 BMI 정도에 따라 학교적응의 영향요인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2010 중1 패널의 2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설명변수는 부모의 관심, 문제행동, 공격성, 주의집중 문제, 신체증상, 사회적 위축, 우울 및 학업성취도 (더미변수 처리)이다. 서술적 통계, 피어슨의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은 학업성취도 상이 공통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이 11.3 19.1%였다. 여학생은 주의집중 문제가 공통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이 14.9~42.4%였다. 학교적응의 영향요인들은 남녀학생의 BMI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BMI 정도에 따라 성별 특성에 맞춘 적응 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사회복지학 및 간호학 전공 대학생의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인식, 지식, 편견 및 사회적 거리감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Knowledge, Attitude and Social distance for People living with HIV/AIDS)

  • 이영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38-344
    • /
    • 2016
  • 본 연구는 향후 사회적 취약계층을 돕는 전문직을 양성하는 분야인 사회복지학과 간호학 전공 대학생의 에이즈에 대한 인식, 지식, 에이즈 감염인 및 사회적 소수인에 대한 편견,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탐색하고,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64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첫째,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인식은 성과 관련된 단어를 떠올리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둘째, 에이즈에 대한 지식의 경우, 예방과 관련된 문항, 감염경로에 대한 일부 문항은 전체적으로 지식이 높은 대상자라 하더라도 오답인 경우가 많았다. 셋째, 사회적 소수인에 대한 편견 및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편견은 각각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편견만 최종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으로 남았다. 최종모델의 설명력은39%였다. 본 연구결과가 대학생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청소년의 금주 변화단계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with Stage of Change for Drinking Cessation Among Adolescents)

  • 박혜진;정인숙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5-70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tage of change for drinking cessation among adolescents on the basi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43 high school students in Kimhae-city, who have experienced any kind of alcohol in their lifetim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18. 0 program. Results: The stage of change was as follows: 24.2%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8.7% in the contemplation stage, 10.8% in the preparation stage, 39.7% in the action stage and 16.6% in maintenance stage. The predictive factors to move from the precontemplation stage to the contemplation/preparation stage were dramatic relief (OR=1.36, 95% CI:1.13-1.63) and self-efficacy (OR=1.05, 95% CI:1.01-1.09). The predictive factors to move from the contemplation/preparation stage to the action/maintenance stage were female (OR=0.50, 95% CI:0.27-0.94), the number of friend who have drunk (OR=0.84, 95% CI:0.77-0.91) and self-efficacy (OR=1.04, 95% CI: 1.00-1.07). Conclusions: To stop adolescent drinking, this study suggests the intervention program needs to be considered the individual's stage of change of drinking. The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dramatic relief and self-efficacy is needed to adolescents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It is crucial to develop strategies to raise self-efficacy for adolescents in the contemplation/preparation stage, which also respect their gender and peer groups.

  • PD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Healthy Lifestyle Screening Tool

  • Kim, Cheong Hoon;Kang, Kyung-Ah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8권2호
    • /
    • pp.99-110
    • /
    • 2019
  • Objectiv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scale that measures the healthy life styles among young adults. Design: A methodological study design was employ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Healthy Lifestyle Screening Tool (HLST). Method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HLST wer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DeVellis' 8 steps guideline for tool development. The question items were gener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which were then classified into 12 categories. The HLST was administered to 272 students attending a Korean university. The reliability was tested using Cronbach's alpha.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with the mean inter-item correlations (MIIC) and factor analysis, and was also examined for content validity by experts. Results: The reliability of the HLST was found to be acceptable, as indicated by a Cronbach's alpha of 0.71. In the validity test, items with less than 80% "agreement" ratings on the content validity index by experts were revised. The MIIC values were greater than 0.25. A factor analysis of 36 items extracted 9 factors (i.e., four items per factor), which together explained 50.4% of the variance. The HLST consists of 36 items that measure 9 factors based on a 4-point Likert rating scale, with 4 items per factor, as follows: sunlight, water, air, rest, exercise, nutrition, temperance, trust, and general physical condition. High scores on the HLST are indicative of a healthy lifestyle (HL). Conclusions: The HLST is a valid and reliable scale that can be used to measure HL among young adults. Identification of HL by using the HLST can provide guidance to integrated therapeutic approaches along with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청소년의 SNS 중독경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ocial Network(SNS) Addiction Tendency on Personal Relations)

  • 박공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70-179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중독 경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남 G시의 중 고등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점수는 성별(t=-2.25, p=.011), SNS사용기간(F=3.15, p=.015), 평균사용시간(F=15.87, p=.<001), SNS매체(F=3.12, p=.027), SNS매체 사용시간(F=6.58,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SNS 중독경향성은 대인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영향요인은 SNS 중독경향성(${\beta}=-.64$, p=.<001)으로 37%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