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psibility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9초

RAINDROP PLOT을 이용한 차원축소 (Collapsibility Using Raindrop Plot)

  • 홍종선;김범준;박지용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2호
    • /
    • pp.471-485
    • /
    • 2005
  • 범주형 자료분석에서 차원축소(collapsibility)는 오즈비로 설명되었다. 실제의 $2{\times}2{\times}K$ 분할표 자료를 이 이론에 적응시켰을 때 오즈비의 값으로 차원축소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오즈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중에서 Doi, Nakamura와 Yamamoto(2001)가 제안한 Contour plot을 통해서 분할표 자료를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차원축소의 가능성을 결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즈비의 신뢰구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Barrowman과 Myers(2003)가 제안한 Raindrop plot을 이용하여 $2{\times}2{\times}K$ 분할표 자료를 설명할 수 있으며 동시에 차원축소의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가 Airway size와 Airway Collapsibility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 on Airway Size and Airway Collapsibility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Cine CT during Sleep)

  • 홍승봉;경승현;한현정;나동규;손영익;박영철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2호
    • /
    • pp.110-115
    • /
    • 1999
  • 목 적: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서 수면 중 구강내 기구의 착용이 수면 중 기도의 크기와 airway collapsi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방 법: 9명의 폐쇄성 수면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환자들에서 구강내 기구를 착용하기 전과 후에 수면다원검사와 axial airway CT를 시행하였다. 상기도의 다섯 곳(retropalatal-high, retropalatal-low, retroglossal, epiglottis, hypopharynx levels)에서 axial CT를 시행하였는데, 각 위치에서 수면무호흡 상태에서 하나의 axial CT image를 얻고, 정상적인 수면호흡 중에 1초 간격으로 10장의 axial CT images를 연속적으로 얻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강내 기구를 착용하기 전과 후에 airway CT를 각각 2회 실시하였다. 각 CT 영상에서 기도의 횡단면적(cross-sectional area)을 측정하여서 구강내 기구의 착용 전과 후에서 기도 횡단면적의 최소 크기, 최대 크기 및 airway collapsibility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유의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 과: 수면무호흡 중에 가장 흔하게 좁아지는 부위는 retropalatal-low level이었다. 정상 수면호흡 중에 retropalatallow level의 최소 기도면적이 구강내 기구에 의하여 유의하게 넓어졌다(p=0.011). 평균 airway collapsibility는 retropalatal-low level에서 가장 높았다. 구강내 기구는 retropalatal-low level(p=0.021) 뿐만아니라 epiglottis level(p=0.038)에서도 유의하게 airway collapsibility를 감소시켰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구강내 기구는 일부 환자에서 수면 중 기도의 최소면적을 넓히고, airway collapsibility를 낮추어서 수면무호흡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규산소오다계 자경성주형의 붕괴성에 미치는 L.D 전로 슬래그 경화제의 영향 (Effect of L.D Converter Slag Hardener on the Collapsibility of Sand Molds Using Sodium Silicate Binder)

  • 최준오;박성택;한윤성;최창옥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35-243
    • /
    • 2003
  • The collapsibility of sodium silicate-bonded sands mixed with the L.D converter slag powder to form a hardener were investigated. Five to six percent sodium silicate on the basis of silica sand and 30-40% L.D converter slag powder on the basis of sodium silicate, were mixed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surface stability index(SSI), bench time, retained strength of the standard sand specimens were measured. The properties were similar to those of general inorganic bonded self-setting molds.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urface stability index were increased and the retained strength and bench time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amount of the L.D converter slag powder. The retained strength of sodium silicate-bonded self-setting molds with the L.D converter slag powder were decreased than $CO_2$ sand molds. The collapsibility of sodium silicate-bonded self-setting molds with the L.D converter slag powder were superior in comparison with $CO_2$ sand molds. The L.D converter slag powder could be used as hardener and collapse agent for the sodium silicate-bonded self-setting molds.

Collapsibility Criteria using Raindrop Plots

  • 홍종선;김범준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75-178
    • /
    • 2004
  • 범주형 자료분석에서 차원축소(collapsibility)는 오즈비로 설명되었다. 실제의 $2\times2\timesK$ 분할표 자료를 이 이론에 적용시켰을 때 오즈비의 값으로 차원축소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오즈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중에서 Doi, Nakamura와 Yamamoto(2001)가 제안한 Contour plot을 통해서 분할표 자료를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차원축소의 가능성을 결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즈비의 신뢰구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Barrowman과 Myers(2003)가 제안한 Raindrop plot을 이용하여 $P_{\lambda,;,T}^M-policy$ 분할표 자료를 설명할 수 있으며 동시에 차원축소의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Suppression and Collapsibility for Log-linear Models

  • Sun, Hong-Cho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1권3호
    • /
    • pp.519-527
    • /
    • 2004
  •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al likelihood ratio statistics for logisitic models and the partial goodness-of-fit statistics for corresponding log-linear models is discussed. This paper shows how definitions of suppression in logistic model can be adapted for log-linear model and how they are related to confounding in terms of collapsibility for categorical data. Several $2{times}2{times}2$ contingency tables are illustrated.

($CO_2$ 주형(鑄型)의 붕괴성(崩壞性)에 대한 잔류강도(殘留强度)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Retained Compression Strength on the Collapsibility of $CO_2$ Process)

  • 최창옥;성경훈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1-187
    • /
    • 1983
  • Effects of retained compression strength on the collapsibility of $CO_2$ mold sand using sodium silicate were studi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are summurized as follows; 1) The sand mixtures increased their compression strength and retained compression strength when content of sodium silicate is high or mole ratio of sodium silicate is high. 2) Increase of retained strength has a maximum value at temperatures about $200^{\circ}C$. When the sample reached $800^{\circ}C$, the binder bridge are homogeneous. The retained strength is increased. 3) Decrease of retained strength at temperatures over $200^{\circ}C$ is caused by pore formation and additives of seacoal markedly accelerated pore formations.

  • PDF

대규모 분할표 분석 (Analysis of Large Tables)

  • 최현집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2호
    • /
    • pp.395-410
    • /
    • 2005
  • 많은 수의 범주형 변수에 의한 대규모 분할표 분석을 위하여 차원축소(collapsibility) 성질을 이용한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kullback-Leibler의 발산 측도(divergence measure)를 이용한 서로 완전한 연관을 갖는 변수그룹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에 의한 변수그룹은 주변 로그선형모형(marginal log-linear models)에 의하여 변수들간의 연관성을 식별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적용 예로 데이터 마이닝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대규모 분할표 자료인 소비자들의 구매행위 분석을 위한 장바구니 자료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Contour Method and Collapsibility Criteria for $2{\times}3{\times}K$ Contingency Tables

  • Hong, C.S.;Son, B.U.;Park, J.Y.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5권4호
    • /
    • pp.717-729
    • /
    • 2004
  • The contour method which was originally designed for $2{\times}2{\times}2$ contingency table is studied for $2{\times}2{\times}K$ and $2{\times}3{\times}K$ tables. Whereas a contour plot for a $2{\times}2{\times}K$ table is represented on unit squared two dimensional plane, a contour plot of a $2{\times}3{\times}K$ table can be expressed with a regular hexahedron on three dimensional space. Based on contour plots for categorical data fitted to all possible three dimensional log-linear models, one might identify whether $2{\times}2{\times}k$ or $2{\times}3{\times}K$ tables are collapsible over the third variable.

  • PDF

하악의 전방이동이 구인두 내경의 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ndibular Protrusion on Dynamic Changes in Oropharyngeal Caliber)

  • 정재광;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3호
    • /
    • pp.193-202
    • /
    • 2010
  • 저자는 상기도부의 동적변화를 관찰하여 수면시의 협착부위와 그 정도를 확인하며, 하악의 전방이동이 상기도부에 미치는 영향과 부위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총 9명의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간이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가 없음을 확인한다. 각성시 및 수면시, 하악의 안정위 및 전방이동시에서 각각 전자선 단층촬영(EBT)을 시행하여 각 조건하의 구인두의 부위별 최대 최소 단면적 및 허탈지수를 구하였다. 이때 수면의 유도를 위해 Dormicum$^{(R)}$을 정맥투여하였다. 그 결과, 각 조건에 따라 비교하였을때 수면 및 하악 전돌에 따른 상부, 중간부, 하부 상기도간의 최소 단면적 및 허탈지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하악 안정위에서 각성 및 수면상태간의 비교시에 구인두의 하부에서 단면적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었다. 한편, 각성상태에서 하악 안정시와 전돌시간의 비교시에는 중간부에서 단면적의 유의성 있는 차이과 관찰되며 수면상태에서는 하악 안정시와 전돌시 단면적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허탈지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