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gen peptid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9초

헛개나무 추출물의 화장품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Cosmeceutical Activitie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Extracts)

  • 김세현;전동하;장민정;이진태;이창언;한진규;김진철;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36-842
    • /
    • 2010
  • 본 연구는 기능성 식 약용 소재로 널리 이용되는 헛개나무의 화장품원료로의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헛개나무 과병과 뿌리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DPPH법, ABTS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측정시 열매, 뿌리 모두 열수추출물에서 뛰어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멜라닌 색소합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tyrosinase 저해활성은 과병에탄올추출물(HDFE) 500 mg/L에서 32.0%의 억제능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뿌리에탄올추출물(HDRE)은 21.8%의 억제능을 보였다. 더 높은 농도인 1,000 mg/L에서는 과병열수추출물(HDFW), HDFE 순으로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주름개선효과에 관한 활성은 collagenase와 elastase 저해활성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elastase에서 과병에탄올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두 효소를 모두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농도에서는 collagenase의 활성이 더 크게 저해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헛개나무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미백 및 주름개선효과를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역 및 불가사리 추출 혼합물의 피부활성 증진 효능 (Enhancement effects of sea mustard and starfish mixtures on skin activity)

  • 김소정;강민경;김강은;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10-417
    • /
    • 2019
  • 해양생물 추출물의 화장품 첨가제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미역 추출물,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 및 혼합물의 피부 활성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피부 활성 증진 평가를 위하여 항염 활성, 미백효과 및 피부탄성 증진 활성을 분석하였다. 피부활성증진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로는 NO 생성 저해, 티로시나제 및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법을 적용하였다. 미역 추출물,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 및 혼합물은 실험구간인 1.0-50 ㎍/mL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미역 추출물,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 및 혼합물은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 저해, 티로시나제 및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혼합물를 사용하는 경우 미역 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크게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합해 보았을 때, 생물유래 천연추출물이 화장품 첨가제로 적용할 경우,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단일 추출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보다 더 좋은 시너지 효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천연추출물을 화장품 첨가로써 활용하는 경우 추출물의 종류 및 배합 연구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YBR의 간섬유화(肝纖維化)억제 효과(效果)에 관한 연구(硏究) (Inhibitory Effect of YBR on Hepatic Fibrogenesis)

  • 승현석;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4-330
    • /
    • 2010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fibrogenic effect and changes of inflammation-related genes by YBR I and YBR II (YBR I: Arteisiae Capillaris Herba, Atractylodis Rhizoma Alba, Hoelen/ YBR II: YBR I +Sanguisorbae Radix, Biotae Cacumen, Cirsii Japonici Herba) on HSC(hepatic stellate cells)-T6 and TAA-induced rat liver tissue. Materials and Methods : HSC-T6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distilled-water extract YBR I and YBR II extract for 24, 48 and 72 hours. After the treatment, cell viability, proliferation, procollagen levels and IL-6 levels were measured by using MTT Assay, BrdU Assay, Procollagen Type 1 C-peptide EIA kit, and Murine IL-6 ELISA Development kit. Rat liver fibrosis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TAA injection of 150mg/kg 3 times a week for 6 weeks. After the treatment, body weight, liver & spleen weights, liver function test, complete blood cell count and change of portal pressure were studied. In addition, gene expressions of ASMA, IL-6, MMP-2, TIMP-1 and TIMP-2, all of which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liver fibrosis, were analyzed by using Real-Time PCR. After YBR I and YBR IItreatment, percentages of collagen in TAA-induced rat liver tissue were measured. Results : The viability and proliferation of the HSC-T6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roduction of procollagen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6 was little influenced by YBR I and YBR II. There was no difference in rat body weight between the TAA-only group and the YBR groups. Compared with rat liver weight of TAA-only group, that of the YBR groups increased. In the YBR I group, the serum level of AST elevated by TAA inje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 the YBR I and II group, the serum level of ALP and ALT elevated by TAA injection decreased. In the YBR I group, white blood cell count elevated by TAA injection decreased but platelets increased. In the YBR I group, the portal pressure elevated by TAA inje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Decreases in the gene expression of ASMA and MMP-2 were observed in the YBR I group. The gene expression of IL-6 was little influenced by YBR I and YBR II -treated groups. In the histological finding, TAA injections caused severe fibrosis, but YBR I and YBR II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amounts of hepatic collagen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YBR I and II have inhibitory effects on the hepatic fibrogenesis.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콜라겐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의 피부주름 억제활성 (Anti-wrinkle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Derived from the Collagen Isolated from Asterias amurensis)

  • 권민철;김철희;김효성;;황보영;이현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25-629
    • /
    • 2007
  • 불가사리 골편의 콜라겐으로부터 활성 펩타이드를 분리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처리하여 조직을 단편화 시키고 이후 collagnease를 처리하였다. 초음파를 처리할 경우 40kHz의 경우 38.89%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이후 펩타이드의 분자량을 측정하여 12, 20.6, 24, 43, 58a, 100, 116 kDa에서 특정 밴드를 보였다. 이후 Sephadex G-75 컬럼을 이용하여 fraction 별로 모아 사용하였다. 세포 독성을 측정하고 시료 처리 후 형태학적 관찰을 동반한 결과 24 kDa의 경우 최고 농도인 1.0 mg/mL에서 26.7%를 나타내었으며 4번의 계대 이후에도 형태학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독성이 없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후 UVA처리 후 MMP-1의 발현을 탐색한 결과 116 kDa부터 24 kDa까지 최고농도인 1.0 mg/mL에서 40, 46.3, 56.8, 57.9, 62.4%의 control 대비 저해율을 보였다. 외부적 스트레스인 UVA에 의한 AP-1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억제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조절한 것이라 사료되어 향후 불가사리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의 향장소재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겠다.

Antioxidant Activity of Porcine Skin Gelatin Hydrolyzed by Pepsin and Pancreatin

  • Chang, Oun Ki;Ha, Go Eun;Jeong, Seok-Geun;Seol, Kuk-Hwan;Oh, Mi-Hwa;Kim, Dong Wook;Jang, Aera;Kim, Sae Hun;Park, Beom-Young;Ham, J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93-500
    • /
    • 2013
  • Gelatin is a collagen-containing thermohydrolytic substance commonly incorporated i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produ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elatin by using different reagents, such a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ABTS), 2,2-di (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fluorescein (ORAC-FL) in a porcine gelatin hydrolysate obtained using gastrointestinal enzymes. Electrophoretic analysis of the gelatin hydrolysis products showed extensive degradation by pepsin and pancreati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peptide concentration (12.1 mg/mL). Antioxidant activity, as measured by ABTS, exhibited the highest values after 48-h incubation with pancreatin treatment after pepsin digestion. Similar effects were observed at 48 h incubation, that is, 61.5% for the DPPH assay and 69.3% for the ABTS assay. However, the gallic acid equivalent (GE) at 48 h was $87.8{\mu}M$, whereas $14.5{\mu}M$ GE was obtained using the ABTS and DPPH assays, indicating about sixfold increase. In the ORACFL assay, antioxidant activity corresponding to $45.7{\mu}M$ of trolox equivalent was found in the gelatin hydrolysate after 24 h hydrolysis with pancreatin treatment after pepsin digestion, whereas this activity decreased at 48 h. These antioxidant assay results showed that digestion of gelatin by gastrointestinal enzymes prevents oxidative damage.

Paired Ig-Like Type 2 Receptor-Derived Agonist Ligands Ameliorate Inflammatory Reactions by Downregulating β1 Integrin Activity

  • Lee, Kyoung-Jin;Lim, Dongyoung;Yoo, Yeon Ho;Park, Eun-Ji;Lee, Sun-Hee;Yadav, Birendra Kumar;Lee, Yong-Ki;Park, Jeong Hyun;Kim, Daejoong;Park, Kyeong Han;Hahn, Jang-Hee
    • Molecules and Cells
    • /
    • 제39권7호
    • /
    • pp.557-565
    • /
    • 2016
  • The paired immunoglobulin-like type 2 receptor (PILR) family consists of two functionally opposite members, inhibitory $PILR{\alpha}$ and activating $PILR{\beta}$ receptors. PILRs are widely expressed in various immune cells and interact with their ligands, especially CD99 expressed on activated T cells, to participate in immune responses.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PILR-derived agonists inhibit ${\beta}1$ integrin activity as ligands for CD99. PILR-derived peptides as well as PILR-Fc fusion proteins prevented cell adhesion to fibronectin through the regulation of ${\beta}1$ integrin activity. Especially, PILRpep3, a representative 3-mer peptide covering the conserved motifs of the PILR extracellular domain, prevented the clustering and activation of ${\beta}1$ integrin by dephosphorylating FAK and vinculin, which are major components of focal adhesion. In addition, PILRpep3 inhibited transendothelial migration of monocytes as well as endothelial cell tube formation. Furthermore, upo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PILRpep3 into mice with collagen-induced arthritis,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rheumatoid arthritis was strongly suppress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LR-derived agonist ligands may prevent the inflammatory reactions of rheumatoid arthritis by activating CD99.

Abies koreana 유래 정유의 항주름 및 미백 효과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s of Essential Oil from Abies koreana)

  • 송병욱;송민정;박미진;최돈하;이성숙;김명길;황기철;김일권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4-531
    • /
    • 2018
  • 구상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가 개발되어 있지만, 피부와 연관된 연구 관점에서 효능이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B16F10 흑색종 세포(B16F10)와 인간 피부아세포주(HDF)에서 멜라닌과 주름 형성 상의 구상나무 추출물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정유는 수첨 증류법으로 추출하였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정제 하였다. $10^{-5}$배의 정유농도에서, 두 세포의 생존능은 세포독성 평가에 의해 확인 되었다. B18F10의 항멜라닌 효과는 티로시나아제 억제 분석과 티로시나아제, 티로시나아제 연관 단백질 -1과 -2(TRP-1, TRP-2)의 유전자 발현 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 정유는 알파-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 유도 그룹과 비교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5배, 아르부틴 유도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30% 정도 감소되었다. 3가지 멜라닌 유래 인자들의 mRNA 수준도 각각 증가하였다. 항주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프로콜라겐 타입 I c 펩티드 합성(PIP) 분석과 웨스턴 블록을 수행하였다. 정유를 처리한 그룹에서 PIP가 증가되었고 콜라겐 타입 1과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가 개선 되었다. 또한 정유는 $60mJ/cm^2$의 자외선 조건에서, 자외선-억제 콜라겐 타입 1의 증가와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 생성 억제를 통해 항주름 효과를 보여줬다. 따라서 구상나무 추출물은 미백과 항주름을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피부 제재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한다.

아드레노메둘린 결핍은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경화 감수성을 상승시킴 (Adrenomedullin Deficiency Increases the Susceptibility of Liver Fibrosis Induced by CCl4)

  • 지애리;황미열;김아영;이은미;이은주;이명미;성수은;김상협;박진규;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3-472
    • /
    • 2015
  • 아드레노메둘린은 모든 조직에서 발현되는 펩타이드로 이 펩타이드 수용체가 간경화 유발 시 증가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사염화탄소(CCl4) 투여로 유도되는 간경화에서 아드레노메둘린의 효과를 아드레노메둘린 유전자 한쪽이 결핍된 생쥐에서 관찰하였다. 사염화탄소를 일회투여 받은 급성 군과 6주 동안 지속적으로 투여 받은 만성군으로 나누어 효과를 관찰하였다. 간경화 정도는 병리조직적 검사와 웨스턴 블롯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급성에서는 결핍된 생쥐와 야생형 생쥐에서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다. 만성의 경우 아드레노메둘린이 결핍된 생쥐에서 심각한 간경화가 관찰되었다.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요소(AST)와 알라닌 아미노전이요소(ALT) 수치가 아드레노메둘린이 결핍된 생쥐 군에서 높게 관찰되었다. 간경화 마커 단백질인 콜라젠, 알파-SMA과 TGF-beta가 아드레노메둘린이 결핍된 생쥐 군에서 높게 관찰되었다. 또한 아드레노메둘린 결핍 생쥐 군은 심각한 지질 과산화 반응이 확인되었고 이는 글루타시오 펄옥시다아제(GSH)의 감소가 원인이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아드레노메둘린의 결핍은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경화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론할 수 있다. 이로써 아드레노메둘린은 간경화 새로운 치료 타겟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